신약석의 노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약석의의 필요성(3월5일)

2. 해석사

3. 역사비평법(Historical Critical Method)


4. 본문비평(Textual Criticism)

5. 문학비평(Literary Criticism)

7. 양식비평

8. 편집비평 (Redaction Criticism)

9. 문법비평 (Grammar Criticism)

10. 자구해석

11.신학사상 및 교훈 (석의에서 설교로)

본문내용

헬라적 성서적 용례
① 단어의 어원을 분석해야 한다.단어의 의미에 접근하게 된다. 언제나 필요한 것은 아니다. 기독교화 되므로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기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② 헬라사회에서의 의미 - 기독교 용어가 되기전에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알아낸다. TDNT,LEXICON을 가지고 성경에 들어오기 전에 헬라사회에서 어떤 용례로 사용되었는지 알수 있다. 기독교에 들어오면서 똑같은 단어가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기에 주의를 요한다
③ 구약성서에서의 용례 .
④ 신약에서의 용례.
- 성구사전을 놓고,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알아낸다
⑤ 본문에서의 의미 - 문맥을 가지고 결정을 한다.
주의 사항
ⅰ. 낱말의 어원에 너무 집착하지 말 것.
ⅱ. 그 낱말의 고전 헬라사회에서의 용례에 너무 집착하지 말것. 기독교에서는 헬 라 사회에서 사용한 단어들에서 신조어들을 많이 만들어 사용했다.
ⅲ.낱말의 보편적인 용법을 생각할 것.
ⅳ. 그 낱말의 동의적인 사용에 주의할 것. 다른 단어로 나타낼수도 있는 그 단어 를 결정했을때는 어떤의도가 있다.
ⅴ. 모든 문장에는 매 단어의 한가지 뜻만있다. 한가지 뜻을 결정해야 한다. 그러 나,예외가 있다. 요한복음은 한 단어를 가지고 두가지 의미를 나타내려고 했다.
ⅵ. 비유나 은유들은 그 형식에 맞도록 해석을 해야한다.
ⅶ. 같은 단어라고 항상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다. 문맥에 따라 다른 뜻 을 지닐수 있다.
(2)역사적 사회적 의미
그 단어가 사용하는 사회에서의 의미를 알아낸다. 역사적 상황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같은 단어일지라도 사회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가 있다.
이것을 알기위해 두가지 질문이 있다
①본문에 나오는 사건들의 역사적 상황들은 어떠한가 ?
internal historical espect
②본문을 기록하던 시대의 역사적 상황은 어떠한가 ? external historical espect
바울서신의 경우는 이 두가지가 일치한다.
복음서의 경우는 다르다. 본문의 배경은 40년대이지만, 본문을 기록하던 시대는 70년이후 초대교회시대이다.
역사적 상황을 알므로 본문의 배경을 알수 있게 된다.
지금의 상황에서 우상의 제물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바울당시의 헬라도시들이라고 하는 사회적인 상황을 이해하면 우상의 제물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줄 알게된다.
예수 당시의 나병,열병은 당시의 의학수준에 따르면 심각한 병인 것이다.
인자,죄인,세리도 역사비평을 하지 않으면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알수 없다.
따라서, 사회적 상황,풍습,문화를 알필요가 있다.
(3) 종교사적인 의미(종교사비평)
신약성서 본문과 주변세계의 전통들(유대교,쿰란,묵시문서,헬라의 신비주의,신비종교,로마종교,영지주의등)을 비교함으로써 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그리고 의존관계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고 기독교적 전승과 비기독교적 전승사이에 어떤 접촉점이 있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것을 알아내기위해 두가지를 질문한다.
① 그 두 본문(성경본문과 근동의 문서)은 어떤 요소들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으며, 어떤 점에서 서로 다르거나 모순되는가 ?
② 그 두 본문사이에는 어떤 역사적인 관계가 있는가 ?
한 본문이 영향을 받아서 인가 ? 별개의 것인가를 알아내는 것이다.
ex) 로고스는 주전 6세기의 헬라크리투스 - 이 세상을 유지하는 일반적인 원리,우주질서의 원리인 반면
스토아 학파에서는 - 하나님의 이성,
필로는 하나님의 장자 제2의 하나님, 하나님의 형상,중보자
지혜서 - 하나님과 함께 천지창조에 역사했던 존재.
비기독교전승에도 로고스가 나온다. 두 본문을 비교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낸다. 공통점과 차이점이 어떻게 생겼는지, 필로를 참고했는지 , 하나님께 받은 계시인지 파악하여, 성경기자가 주려고 했던 의미를 파악한다.
(4) 실습 마28:19
단어 하나하나에 대해서 자구해석을 해야한다.
ta edne 자구해석을 하려 할 때,
헬라사회에서 무엇을 가리키는 알아야 한다. 헬라인 아닌 타국인을 다 에드네라 한다.
성서에서의 용례 - 70인역을 놓고 구약에서의 용례알아본다. 이스라엘을 포함한 민족인가 , 제외한 민족인가. 유대인아닌 모든 비유대인들을 가리킴.
신약에서의 용례 이스라엘을 제외한 모든 민족을 가리킨다.
본문에서의 문맥을 가지고 결정 - 마태의 이스라엘관을 보면, 마태는 아주 강한 반유대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유대인들은 구원을 받지 못한다. 마태복음에서의 에드네는 유대인을 포함하지 않은 모든 세상민족을 가리킨다고 결정을 할 수 있다.
마태의 의미를 알수 있다. 마태는 여기에 유대인 선교를 거부하고 있다.선교명령가운데 유대인을 제외시키고 있음을 알게된다.
종교사비평은 할 필요가 없는 단어이다.
11.신학사상 및 교훈 (석의에서 설교로)
석의의 목적은 본문이 당시의 독자들에게 무엇을 의미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기에 자구해석까지 모든 석의자는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자가 당시의 독자들에게 주려 했던 신학사상 및 교훈을 인출하게된다. 석의자는 본문이 당시의 독자들에게 줄려 했던 메시지와 교훈뿐 아니라, 그것이 지금까지의 교회에 끼쳤던 메시지와 교훈(영향사) 및 오늘의 독자에게 주는 사상, 및 교훈(설교)을 알아내야 한다.
연구사항 1) 석의에서 설교를 옮겨갈 시 사용하는 질문은 무엇인가 ?
(1) What does the text say ?
저자 당시의 독자에게 주려교 했던 교훈은 무엇인가 ?
(2) What have others brought to the text ?
과거 다른 사람들은 그 본문에서 어떤 메시지를 가져왔는가 ?
(3) What does it mean today ?
오늘 현재의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 이 단계가 설교
주의할 것은 상황의 일치이다. 저자 당시 그 글을 쓰던 당시의 상황과 오늘의 상황의 일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일치되어야만 그 본문을 오늘날 전할 수 있다.
계시록은 당시는 박해의 상황이다. 문자적인 상황의 일치는 없더라도 먼 의미에서 다른면에서 우리에게 내적인 사탄의 유혹이 있다는 상황을 설정한 뒤에 본문을 적용해야 한다.
.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