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군시대와 삼한시대
2. 삼국시대
3. 통일신라시대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6. 일본 강점시대
7. 광복이후 미군정시대
8.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시대
2. 삼국시대
3. 통일신라시대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6. 일본 강점시대
7. 광복이후 미군정시대
8.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시대
본문내용
입이 이루어져 위생국 설치, 공중보건의 사업범위 확대 계기, 각종 급성전염병의 유행(영양부족, 환경위생 악화, 국민보건의식 결여)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시대】
* 보건후생부 사회부(보건국, 노동국, 후생국, 부녀국, 주택국, 비서실)
* 1951년 - 전국 500여 개소의 보건진료소(민간 봉사기관) 설치 : 공중보건과 일부 진료사업
수행
1952년 - 결핵예방 BCG접종 팀 전국의 각 시도에 구성
1953년 - 대한결핵협회 발족
1962년 - 보건소법 개정, 도시(1:인구 10만 명), 농촌(1: 1개 군)설치, 예방보건사업 치중
진료업무 제외로 인해 지역주민의 욕구 충족을 시켜 주지 못하고 외면 받음
1963년 12월 - 의료보험법 제정 실시 미루어짐
1977년 - 일부 국민에 한하여 의료보험과 의료보호에 의한 의료보장 시행 시작
가족계획사업 추진, 무의면 해소책의 적극적 시도와 기타 전염병에 대한 중점적
관리 사업 실행
1978년 - 세계보건기구 회의 개최(알마아타)
1982년 12월 - 농어촌 보건의료 특별조치법 공포, 보건 진료원 파견(보건의료 서비스 공급),
공중보건의제도 신설(무의촌지역의 해소)
1984년 - 모자보건센터 건립 운영
1989년 7월 1일 - 전 국민 의료보험 실시, 국민복지 증진, 사회복지제도 확충, 국민 생활의
기본적 수요 충족
* 보건의료분야의 사업내용
- 공중보건위생 사업의 강화를 통한 질병의 예방, 상하수도 등의 확장과 정비, 보건의료 인력과 시설의 적당한 배분과 원활한 공급, 의료전달체계의 연구 및 개선, 산업재해의 방지, 각종 환경오염 및 공해로부터의 안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시대】
* 보건후생부 사회부(보건국, 노동국, 후생국, 부녀국, 주택국, 비서실)
* 1951년 - 전국 500여 개소의 보건진료소(민간 봉사기관) 설치 : 공중보건과 일부 진료사업
수행
1952년 - 결핵예방 BCG접종 팀 전국의 각 시도에 구성
1953년 - 대한결핵협회 발족
1962년 - 보건소법 개정, 도시(1:인구 10만 명), 농촌(1: 1개 군)설치, 예방보건사업 치중
진료업무 제외로 인해 지역주민의 욕구 충족을 시켜 주지 못하고 외면 받음
1963년 12월 - 의료보험법 제정 실시 미루어짐
1977년 - 일부 국민에 한하여 의료보험과 의료보호에 의한 의료보장 시행 시작
가족계획사업 추진, 무의면 해소책의 적극적 시도와 기타 전염병에 대한 중점적
관리 사업 실행
1978년 - 세계보건기구 회의 개최(알마아타)
1982년 12월 - 농어촌 보건의료 특별조치법 공포, 보건 진료원 파견(보건의료 서비스 공급),
공중보건의제도 신설(무의촌지역의 해소)
1984년 - 모자보건센터 건립 운영
1989년 7월 1일 - 전 국민 의료보험 실시, 국민복지 증진, 사회복지제도 확충, 국민 생활의
기본적 수요 충족
* 보건의료분야의 사업내용
- 공중보건위생 사업의 강화를 통한 질병의 예방, 상하수도 등의 확장과 정비, 보건의료 인력과 시설의 적당한 배분과 원활한 공급, 의료전달체계의 연구 및 개선, 산업재해의 방지, 각종 환경오염 및 공해로부터의 안전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교육의 역사와 문제
한국 성리학의 특징과 역사적 기능
영국과 한국의 사회복지역사
한국 도시주거의 역사와 주거관리
한국과 일본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비교
한국 중국 일본의 역사교육
일본과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한국 재벌의 역사, 특징, 유래, 변화,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문제점, 시사점, 나의...
한국 광복군의 활동과 그 역사적 의의
한국 경제발전 과정의 역사에 대해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중 1980년대 이후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대해 기술하고 학습자 거주 지역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학...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대해 기술하고 학습자 거주지역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학...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