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사장의 기원
제사장의 임무
역대기 사가의 신학
다윗과 사독의 관계
솔로몬과 사독의 관계
결론
제사장의 임무
역대기 사가의 신학
다윗과 사독의 관계
솔로몬과 사독의 관계
결론
본문내용
6-13, 열왕기상1:15
을 알 수 있다. 특이할만한일은 헤브론출신의 왕립 후보자들은 죽임을 당하고 새로운 수도인 예루살렘리 출신인 솔로몬이 왕위를 계승했다는 사실이다. 아도니아가 적법한 계승자임
)열왕기상 2:15;1:5,6
에도 다윗은 마지막에 솔로몬을 지명했을까?헤브론은 본래별가적 유대인의 고향이며 남무의 정치일치적 중심지였다. 압살롬의 반란이 가능했던것도 이 이유였다. 이방인출신이 많은 예루살렘의 지위를 얻은 이방인출신의 진보세력들이 솔로몬을 성립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6. 결론
작은 부족의 제사장으로 있던 사독은 주변정세를 알아 차리고 일찍 다윗과 협상(?)을 해서 자신의 제사장직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는다. 기회를 엿보며 힘을 길러오던 그는 같은 이방인출신인 나단과 밧세바와 손을 잡고 자신의 뜻을 펼 수 있는 솔로몬을 왕으로 세울 도사를 꾸민다. 나이가 많아 판단력이 둔해진 다윗은 나단과 밧세바의 권력에 눌려 솔로몬을 후계자로 임명하고 제사장의 신분으로 솔로몬에게 기름을 붓는다. 솔로몬을 왕으로 세우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댓가로 자신의 경쟁자인 아비아달을 이장시키고 단독적으로 이스라엘의 제사장직을 독점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성서대백과 사전
신학이해7집-호남신학대학교
장신논보 집-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성서의 이해-B.W.앤더슨, 성바오로출판사
히브리성서-노만K. 갓월드. 한국신학출판사
구약개론-구덕관, 대한기독교출판사
이스라엘역사-지크프리트, 나단출판사
구약신학-침멀리, 한국신학출판사
구약사-F.F.브루스, 기독교문학선교회
구약성서이해-H.W.볼프, 대한기독교서회
을 알 수 있다. 특이할만한일은 헤브론출신의 왕립 후보자들은 죽임을 당하고 새로운 수도인 예루살렘리 출신인 솔로몬이 왕위를 계승했다는 사실이다. 아도니아가 적법한 계승자임
)열왕기상 2:15;1:5,6
에도 다윗은 마지막에 솔로몬을 지명했을까?헤브론은 본래별가적 유대인의 고향이며 남무의 정치일치적 중심지였다. 압살롬의 반란이 가능했던것도 이 이유였다. 이방인출신이 많은 예루살렘의 지위를 얻은 이방인출신의 진보세력들이 솔로몬을 성립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6. 결론
작은 부족의 제사장으로 있던 사독은 주변정세를 알아 차리고 일찍 다윗과 협상(?)을 해서 자신의 제사장직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는다. 기회를 엿보며 힘을 길러오던 그는 같은 이방인출신인 나단과 밧세바와 손을 잡고 자신의 뜻을 펼 수 있는 솔로몬을 왕으로 세울 도사를 꾸민다. 나이가 많아 판단력이 둔해진 다윗은 나단과 밧세바의 권력에 눌려 솔로몬을 후계자로 임명하고 제사장의 신분으로 솔로몬에게 기름을 붓는다. 솔로몬을 왕으로 세우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댓가로 자신의 경쟁자인 아비아달을 이장시키고 단독적으로 이스라엘의 제사장직을 독점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성서대백과 사전
신학이해7집-호남신학대학교
장신논보 집-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성서의 이해-B.W.앤더슨, 성바오로출판사
히브리성서-노만K. 갓월드. 한국신학출판사
구약개론-구덕관, 대한기독교출판사
이스라엘역사-지크프리트, 나단출판사
구약신학-침멀리, 한국신학출판사
구약사-F.F.브루스, 기독교문학선교회
구약성서이해-H.W.볼프, 대한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