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 공동체의 신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유대종파의 기원

Ⅲ. 유대종파
1.바리새파
2.사두개파
3.엣세네파
4.젤롯당(열심당)

Ⅳ. 유대 공동체의 신앙
1.유일신 신앙
2.토라와 회당
3.성전과 제사장
4.메시아

Ⅴ. 유대와 예수
1.예수 가르침의 내용에 대한 개관
2.유대 지도자들과 예수
3.대중들과 예수

Ⅵ. 유대 공동체를 통한 복음서

Ⅶ. 나오는 말

본문내용

아야 할 것이다. 예수가 당시의 유대 율법을 망치려고 온 것이 아니라 메시야를 향한 모든 구약의 말씀들(율법과 구전)을 마무리짓기 위해서 (성서의 말로는 완성시키기 위해서) 오셨다는 것을 유대 공동체에 깨달음 주어야 할 것임을 알았다.
우리가 복음서라고 부르는 책들은 저술 당시 비교적 새로운 종류의 문학에 속했다. 전형적인 전기 문학과는 달리, 복음서에는 당시의 역사적 배경이라든가, 인물의 성격과 특징에 대한 분석, 그리고 그 주인공의 내면적인 사상에 대한 정밀 묘사 등이 경려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고대의 기적을 행하던 사람들의 실제 혹은 가정된 행동들을 칭송하는 헬라의 기적 설화들하고도 또 다르다.
)로버트 건드리, pp.141-142.
Ⅶ. 나오는 말
예수시대의 유대 공동체 모두가 고전적인 율법에 얽매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현세계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예수를 올바르게 바라보지 못하고, 도리어 외도하였다. 확고한 선민사상과 정치적인 권력의 메시야 사상과 지나친 배타주의 등이 가져온 결과가 예수의 가르침이 자신의 가르침에 역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리스도의 예수, 메시야적 예수를 인정하지 않고 도리어 적으로 몰아내 버린다. 유대 지도자들의 가르침에 물들여진 유대인들도 한때 예수의 기적과 말씀에 전적으로 지지하며 따랐지만 심판대에 오른 예수의 모습에 유대인들은 자신의 옛 지도자들의 품안에 다시금 쓸려 들어간다.
로마 헬라 문화로 인한 이방의 죄악으로부터 하나님에 대한 자신들의 순결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많은 율법(규율)과 금욕생활을 한 종파들은 세상과 너무 동떨어진 생활로 인하여 하나님의 구원의 사역을 한계점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예로 예수의 가르침에 견주어 판단한다면 '세상 끝까지 증인이 되라'는 말씀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수도생활을 한 공동체일 수록 배타주의는 심하였다. 이들에게도 예수는 자신들과 동일한 사상을 가진 자라고 인정할 수 없었을 것이다.
완성되지 못한 율법에 자신들의 규율을 가중시켜 거기에만 전념하며, 메시야를 기다리고 하나님을 섬긴 유대의 공동체가 결국에는 예수를 정죄하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게까지 하였다. 이들의 꺾이지 않은 자존심으로 하나님의 역사적인 구원사적 사역은 이루어지고 이것이 신약성서가 기록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참 고 도 서
1. 신성종. 「新約歷史」 서울:개혁주의신행협회, 1988.
2. 레이몬드 설버그. 「신구약중간사」 김의원역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3. 로버트 H. 건드리. 「신약개론」 김일우역 서울:도서출판엠마오, 1993.
4. 윌리암 엘. 콜만. 「성경시대의 상황과 풍습」 서울:서울서적, 1987.
5. 존 드레인. 「예수와 4복음서」 이중수역 서울:두란노서원, 1990.
6. 죠쉬 맥도웰 . 돈 스튜어트 공저. 「이방종교」 이호열역 서울:기독지혜사,
1989.
7. 챨스 F. 파이퍼. 「신구약중간사」 조명수역 서울: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2.
8. 하워드 클락 키이. 「신약성서 이해」 서중석역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90.

키워드

유대,   공동체,   신앙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