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기초반 학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과 성경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2과 천지 창조

3과 우리들 속의 죄악

4과 모든 민족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

5과 구원의 시작

6과 구별된 백성

7과 광야에서.....

8과 이는 하나님 말씀이니라

9과 가나안 정복

10과 또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11과 하나님의 사람

12과 솔로몬의 통치와 왕국의 분열

13과 만일 여호와가 하나님이시면

14과 말씀과 개혁

15과 네가 아직도 전능자와 다투겠느냐?

16과 하나님과의 교제

17과 오직 공법을 물같이 정의를 하수같이

18과 슬프다 이 성이여

19과 하나님을 기뻐하는 것이 너희의 힘이니라

20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

본문내용

된 삶과 변화된 사회를 가져다 준다. 지금부터 우리는 변화된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의 모습을 발견하게된다. 이것으로부터 그들의 내면적 변화를 읽을 수 있을 것이다.
1. 이튿날 백성들의 한 일은 무엇이었는가?
초막절은 그들이 추수기에 즐기던 축제이자 의식이었다.(레 23:24) 그 축제의 역사는 언약의 땅에 정착한 초창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들의 선조가 광야에서 장막생활을 했음을 대조시킴으로써 백성들은 하나님께 의지하고 감사하는 마음의 자세를 다시 일깨웠다.
2. 초막절을 지키면서 백성들이 기뻐한 까닭은 무엇이었을지 생각해보자.(17절)
3. 본문의 사건을 앞에서의 영적 각성의 결과로 보았을 때 본문의 사건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
이 어떻게 변화되었음을 보여주는가? (13-16절)
성경본문 Ⅴ 느헤미야 9:1-5 <돌이킴>
1. 여호수아 이래로 처음 초막절을 지킨 본문의 사건은 말하자면 개혁의 의식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개혁이 단순히 하나의 의식으로서 끝나지 않았음에 주의하자. 초막절 후에 백성들이 한
일은 무엇인가?
2. 9:9-37의 기도문을 낭독하라. 이 기도문의 내용으로부터 이스라엘 백성들의 내면에 어떤 변화
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는가?
◎ 이야기해봅시다.
1. 본문에 따르면 무엇이 영적 부흥에 불을 붙일 수 있는가?
2.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 말씀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생각해보자. 나의 삶의 어느정도를 주장
하는가?.
3. 본문의 마지막 부분을 보았을 때 참된 부흥의 결과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
가?
4. 당신의 주변(교회, 대학부, 개인)에서 이러한 부흥의 현상을 볼 수 있는가? 그렇다면, 또는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각각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0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
☞ 새길말씀 : 나의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됨도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니 이는 물이
바다를 덮음같이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이사야 11:9).
이사야는 아모스보다 약 20-30년 뒤, 웃시야왕의 죽던 해부터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등 3대(BC 742-699)에 걸친 왕정하의 예루살렘을 무대로 40여년간 활동한 선지자이다. 이사야가 활동했던 시대 역시 정의는 땅에 떨어지고, 종교는 변질되어 있었다 (1:11-15, 3:16-17, 5:8-9, 5:11-12 etc). 이런 모습을 보며 이사야는 하나님을 代言하여 그가 본 환상과 메시지를 전한다. 그의 메시지는 심판과 전혀 새로운 회복'으로 대별할 수 있다. 심판에 관하여는 앞에서 살펴보았으므로, 이번 과에서는 그가 보여주었던 희망'에 대하여 공부하기로 한다.
Ⅰ 남은 자'로 인한 회복 <이스라엘과 새로운 세상>
1. 이사야가 심판을 말한 것은 경고가 아닌 선포'였다. 그것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었다.
(10:23) 그러나, 그는 이것을 끝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가 더불어 선포한 것은 회복이었다.
이것은 누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가?(6:11-13, 10:20, 4:3)
2. 남은 자'는 하나님께서 당신의 나라를 회복하시는 매개체이다. 이 남은자의 선택은 물론 하
나님의 주권이지만, 남은 자가 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모습이 있다. 그것은 무엇인
가?(33:14-16)
3. 심판은 이스라엘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었다. (24장;
아직도 그 때는 오지 않았다.) 그는 이상 중에 이것을 보았다. 그러나 이것 또한 전혀 새로운
회복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종(52:13)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었다. 42:1-4,
53:1-9을 묵상하고 하나님의 종'에 대해 생각해 보자. (특히 그와 나와의 관계에 관해)
4. 하나님의 말씀은 반드시 성취된다. (55:8-11) 당신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뢰가 있는
가?
특히 심판과 회복에 관해 이러한 믿음이 있는가?
Ⅱ 전혀 새로운 세상
심판이 지나가면, 세상을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다. 그것은 완전히 회복된 세상이다. 이제 이러한 세상의 모습을 살펴 보도록 하자.
1. 9:1-7, 11:1-9, 24:14-16a, 29:17-24, 32:1-4, 15-20, 35:1-2, 5-10, 55:12-13을 읽고 회복
된 세상에 대해 묵상하자. 그리고 정리해 보자. (성경공부 시간에는 꼭 함께 읽어 보자. 공동
번역성서나 표준 새번역으로 읽으면 좋겠다.)
2. 당신은 이러한 세상을 믿을 수 있는가?
◎ 이야기해봅시다.
1. 새로운 세상은 남은 자로 부터 시작된다. 당신은 남은 자가 되길 원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남은 자'의 모습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우리가 남은 자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생
각과 가치관은 어떤 것인가 이야기해보자.
2. 당신은 회복된 세상을 진정으로 갈망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당신의 신앙은 기반부터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당신이 그 세상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갖는데 방해되는 것은 무엇인가? 하늘 나라보다 더 중요하고 가치롭게 여기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야기해보자.
이스라엘은 거의 2000년이 되는 세월을 나라도 없이 세계에 흩어져 유리하는 신세로 살았다. 그러나, 그들은 결코 절망적이지 않았고 주눅이 들어 살지 않았다. 그들을 이렇게 굳게 지키고 있었던 힘은 무엇일까? 그것은 희망이다. 희망이 없는 민족은 망한다.'라는 말이 있다. 역시 희망이 없는, 천국에 대한 소망이 없는 그리스도인은 세상에 지고 만다. 소망, 그것이 우리의 바라는 바이기 때문이다.
한 아이를 잉태한 여인은 육체적인 어려움을 겪는다. 아니, 육체적인 고통을 겪는다. 늘어나는 체중, 동작의 어려움, 아플 때는 태아로 인해 약을 먹을 수도 없다. 더욱 어려운 것은 새로운 생명을 잘 보존해야 하는 정신적인 부담감일 것이다. 또한 이 여인은 해산의 고통이라는 것을 반드시 겪어야 한다. 그러나 여인은 이 모든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있다. 그것은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기쁨의 소망이 있기 때문이다. 여인의 겉모습은 자신의 몸조차 가누기 힘든 무거운 모양이라 할지라도 그 안에는 소중한 생명이 있기에, 자신의 모습을 기뻐할 수 있다.

키워드

성경,   기초반,   공법,   하나님,   소망,   시편
  • 가격3,300
  • 페이지수68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