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위상
Ⅱ. 디자인산업의 정책방향
Ⅲ. 2000년도 10대 실천과제
1. 특성화된 전문교육기관 육성
2. 디지털환경의 디자인아카데미 설립
3. 디자인전문회사의 체질 강화
4. 디자인벤처의 활성화
5. 디자인 통합정보망 구축
6. 디자인 모니터링제 실시
7. 수출유망품목의 디자인혁신 지원확대
8. 고유브랜드 육성시책 추진
9. 지역별 디자인혁신센터(DIC) 설립
10. 디자인 국제협력체제 구축
Ⅳ. 정책 추진체계
Ⅱ. 디자인산업의 정책방향
Ⅲ. 2000년도 10대 실천과제
1. 특성화된 전문교육기관 육성
2. 디지털환경의 디자인아카데미 설립
3. 디자인전문회사의 체질 강화
4. 디자인벤처의 활성화
5. 디자인 통합정보망 구축
6. 디자인 모니터링제 실시
7. 수출유망품목의 디자인혁신 지원확대
8. 고유브랜드 육성시책 추진
9. 지역별 디자인혁신센터(DIC) 설립
10. 디자인 국제협력체제 구축
Ⅳ. 정책 추진체계
본문내용
ㅇ 국내 輸出有望品目에 대해 디자인革新에서 事業化까지 일괄지원하고, 수출형 디자인을 전략적으로 개발하여 우리 상품의 수출경쟁력 제고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輸出有望品目을 선정하여 디자인革新을 전략적으로 지원
- 2000.3월 디자인개발사업 시행계획을 공고하여 디자인 혁신을 통해 수출증대효과가 큰 품목을 중점지원
* 수출유망품목은 유관기관(중기청, KOTRA, 중진공 등) 및 자체 분석자료를 토대로 선정
- 주요 수출지역별로 특화된 수출형 디자인을 개발하고 디자인기반기술, 포장기술개발을 병행하여 디자인혁신 가속화
ㅇ 개발디자인의 사업화를 위해 디자인개발이 완료된 기업을 대상으로 시제품개발 융자금 200억원 지원
8. 固有브랜드 育成 시책추진
□ 현황 및 필요성
ㅇ 아·태지역국가 브랜드 50위권(일본 제외)에 삼성·현대·LG 3개만 포함되어 있는 등 유명브랜드가 부족한 실정
ㅇ 상품과 기업브랜드 가치가 기업경영의 성패를 좌우하게 됨에 따라 우리 기업과 제품의 고유브랜드 육성 절실
□ 추진방향
ㅇ 한국을 대표하는 우수상품 발굴 및 도시·국가 이미지 혁신을 포함한 고유브랜드육성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우리 상품 및 기업의 固有브랜드 開發體制(OBM) 구축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固有브랜드商品(문화관광상품 포함)을 선정하여 금년 10월 ASEM III 행사시 전시
- '99.10월 한국밀레니엄상품(Korea Millennium Products) 30여점을 선정하여 전시회 개최 등 홍보
ㅇ 2000년말까지 우리 상품 및 기업의 고유브랜드를 획기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전략 마련
- 산업별 브랜드 육성방안을 강구하고 상품기획, 자체 디자인개발(ODM) 및 마케팅까지 연계 지원
- 문화관광상품 및 도시환경 디자인혁신방안 강구
9. 地域別 디자인革新센터(DIC) 설립
□ 현황 및 필요성
ㅇ 독자적으로 고가의 첨단장비 구축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경우 디자인 개발 및 디자인 시제품 제작이 애로요인으로 작용
ㅇ 최첨단 디지털장비를 갖추고 중소기업·디자인 전문업체 및 대학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혁신센터 설립 필요
□ 추진방향
ㅇ 주요 산업·문화단지에 地域別로 特化된 디자인革新센터를 산·학 연계방식으로 설치하여 전국적인 디자인혁신 네트워크 구축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2000.3월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에 시범 설치
- 정부는 디자인 개발에 필수적인 고가 첨단장비 구입을 지원하고 주관기관은 장소제공 및 디자인 종합컨설팅 서비스 제공
- 디자인상담, 연구개발, 시제품제작 및 사업화 등 지역디자인 개발의 중심 역할 수행
ㅇ 지역별 수요조사 및 시범사업 중간평가(2000.7월) 후 하반기에 디자인특성화 대학 및 지자체에 3∼4개소 설치
ㅇ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혁신센터를 2002년까지 10~15개소 설립
- 산업디자인진흥원을 연계운영기관으로 선정하여 센터간 연계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시너지효과 창출
10. 디자인 國際協力體制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ㅇ 국내 산업디자인 수준은 선진국 대비 70%수준으로 경쟁국인 홍콩, 싱가폴보다 낙후
ㅇ 디자인 선진국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선진디자인 기법을 전파함으로써 국내 디자인수준 제고 필요
□ 추진방향
ㅇ 주요 디자인선진국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디자인관련 국제행사를 지속적으로 유치함으로써 세계 디자인 情報交流 및 協力의 중심지화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2000.3월 국빈 유럽 4개국 순방시 이탈리아와 산업디자인협력에 관한 공동선언문 채택(양국 산업부장관 서명)
- 금년중 이탈리아와 공동선언문에 포함된 디자인관련 협력활동을 구체화하기 위한 MOU 체결 추진
- 2000.4월 ICSID이사회 개최시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과 독일·불란서 진흥기관간 업무협정 체결추진
ㅇ 2000년 세계그래픽디자인대회(icograda), 2001년 세계산업디자인총회(ICSID) 등 양대 국제디자인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
- 2000.10월 개최예정인 icograda대회를 ASEM III 및 제2회 산업디자인진흥대회와 연계하여 개최
ㅇ 향후 성남시 등 디자인특화도시와 협력하여 국제행사 유치 추진
Ⅳ. 政策 推進體系
□ 産業디자인振興法 개정 등 관련제도의 整備
ㅇ 디자인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구축을 위해 금년내 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
- 디자인 전문회사제도 개선, 디자인아카데미 설립 및 디자인모니터링제 등 정책 수행근거 마련
ㅇ 디자인 교육 및 자격제도, 벤처기업 평가기준 등 각종 디자인 관련제도 개선
□ 디자인혁신 및 기반조성을 위한 投資 擴大
ㅇ 우리상품의 디자인·브랜드 혁신 및 디자인 인프라 구축에 정부 재정지원 확대 ('99 : 총 768억원 → 2000 : 총 852억원)
ㅇ 기업의 디자인경영 확산을 유도하여 디자인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 ('99 : 2조원 → 2000 : 3조원)
□ 國內 및 海外 디자인 네트워크 構築
ㅇ 국내에는 산·학·관·지역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협력체제(Design Highway)를 구축
- 행자부(디자인도우미), 정통부(디자인정보화), 노동부(디자인자격제), 문광부(ASEMⅢ 전시회) 등 관련부처와의 협조체제 구축
- DIC 설치, 국제행사 유치등을 통해 주요 공단·지자체와의 협력체제 확보
- 대기업·중소기업·벤처기업 관련기관간 협력체제 강화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및 벤처기업협회내에 디자인분과위원회 설치추진 ('99년 전경련내 산업디자인특별위원회 기설치)
ㅇ 국제적으로는 세계 디자인협력을 주도할 수 있는 체제(World Design Route) 구축
- 1차적으로 이태리, 프랑스, 독일 등 디자인 주요선진국과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환태평양권으로 확대
- 국내에서 개최예정인 각종 국제행사를 활용하여 국제협력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수행
Design Infra
法·制度 整備
디자인投資 擴大
·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
·디자인교육·자격제등 개선
< 2000년 >
·정부지원 : 852억원
·민간투자 : 3조원
디자인
强國실현
國 內
海 外
< Design Highway > ·산·학·관 협력체제
·지역간 협력체제
< World Design Route > ·양자간 협력체제
·다자간 협력체제
Design Network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輸出有望品目을 선정하여 디자인革新을 전략적으로 지원
- 2000.3월 디자인개발사업 시행계획을 공고하여 디자인 혁신을 통해 수출증대효과가 큰 품목을 중점지원
* 수출유망품목은 유관기관(중기청, KOTRA, 중진공 등) 및 자체 분석자료를 토대로 선정
- 주요 수출지역별로 특화된 수출형 디자인을 개발하고 디자인기반기술, 포장기술개발을 병행하여 디자인혁신 가속화
ㅇ 개발디자인의 사업화를 위해 디자인개발이 완료된 기업을 대상으로 시제품개발 융자금 200억원 지원
8. 固有브랜드 育成 시책추진
□ 현황 및 필요성
ㅇ 아·태지역국가 브랜드 50위권(일본 제외)에 삼성·현대·LG 3개만 포함되어 있는 등 유명브랜드가 부족한 실정
ㅇ 상품과 기업브랜드 가치가 기업경영의 성패를 좌우하게 됨에 따라 우리 기업과 제품의 고유브랜드 육성 절실
□ 추진방향
ㅇ 한국을 대표하는 우수상품 발굴 및 도시·국가 이미지 혁신을 포함한 고유브랜드육성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우리 상품 및 기업의 固有브랜드 開發體制(OBM) 구축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固有브랜드商品(문화관광상품 포함)을 선정하여 금년 10월 ASEM III 행사시 전시
- '99.10월 한국밀레니엄상품(Korea Millennium Products) 30여점을 선정하여 전시회 개최 등 홍보
ㅇ 2000년말까지 우리 상품 및 기업의 고유브랜드를 획기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전략 마련
- 산업별 브랜드 육성방안을 강구하고 상품기획, 자체 디자인개발(ODM) 및 마케팅까지 연계 지원
- 문화관광상품 및 도시환경 디자인혁신방안 강구
9. 地域別 디자인革新센터(DIC) 설립
□ 현황 및 필요성
ㅇ 독자적으로 고가의 첨단장비 구축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경우 디자인 개발 및 디자인 시제품 제작이 애로요인으로 작용
ㅇ 최첨단 디지털장비를 갖추고 중소기업·디자인 전문업체 및 대학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혁신센터 설립 필요
□ 추진방향
ㅇ 주요 산업·문화단지에 地域別로 特化된 디자인革新센터를 산·학 연계방식으로 설치하여 전국적인 디자인혁신 네트워크 구축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2000.3월 「국제산업디자인대학원」에 시범 설치
- 정부는 디자인 개발에 필수적인 고가 첨단장비 구입을 지원하고 주관기관은 장소제공 및 디자인 종합컨설팅 서비스 제공
- 디자인상담, 연구개발, 시제품제작 및 사업화 등 지역디자인 개발의 중심 역할 수행
ㅇ 지역별 수요조사 및 시범사업 중간평가(2000.7월) 후 하반기에 디자인특성화 대학 및 지자체에 3∼4개소 설치
ㅇ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혁신센터를 2002년까지 10~15개소 설립
- 산업디자인진흥원을 연계운영기관으로 선정하여 센터간 연계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시너지효과 창출
10. 디자인 國際協力體制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ㅇ 국내 산업디자인 수준은 선진국 대비 70%수준으로 경쟁국인 홍콩, 싱가폴보다 낙후
ㅇ 디자인 선진국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선진디자인 기법을 전파함으로써 국내 디자인수준 제고 필요
□ 추진방향
ㅇ 주요 디자인선진국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디자인관련 국제행사를 지속적으로 유치함으로써 세계 디자인 情報交流 및 協力의 중심지화
□ 추진실적 및 계획
ㅇ 2000.3월 국빈 유럽 4개국 순방시 이탈리아와 산업디자인협력에 관한 공동선언문 채택(양국 산업부장관 서명)
- 금년중 이탈리아와 공동선언문에 포함된 디자인관련 협력활동을 구체화하기 위한 MOU 체결 추진
- 2000.4월 ICSID이사회 개최시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과 독일·불란서 진흥기관간 업무협정 체결추진
ㅇ 2000년 세계그래픽디자인대회(icograda), 2001년 세계산업디자인총회(ICSID) 등 양대 국제디자인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
- 2000.10월 개최예정인 icograda대회를 ASEM III 및 제2회 산업디자인진흥대회와 연계하여 개최
ㅇ 향후 성남시 등 디자인특화도시와 협력하여 국제행사 유치 추진
Ⅳ. 政策 推進體系
□ 産業디자인振興法 개정 등 관련제도의 整備
ㅇ 디자인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구축을 위해 금년내 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
- 디자인 전문회사제도 개선, 디자인아카데미 설립 및 디자인모니터링제 등 정책 수행근거 마련
ㅇ 디자인 교육 및 자격제도, 벤처기업 평가기준 등 각종 디자인 관련제도 개선
□ 디자인혁신 및 기반조성을 위한 投資 擴大
ㅇ 우리상품의 디자인·브랜드 혁신 및 디자인 인프라 구축에 정부 재정지원 확대 ('99 : 총 768억원 → 2000 : 총 852억원)
ㅇ 기업의 디자인경영 확산을 유도하여 디자인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 ('99 : 2조원 → 2000 : 3조원)
□ 國內 및 海外 디자인 네트워크 構築
ㅇ 국내에는 산·학·관·지역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협력체제(Design Highway)를 구축
- 행자부(디자인도우미), 정통부(디자인정보화), 노동부(디자인자격제), 문광부(ASEMⅢ 전시회) 등 관련부처와의 협조체제 구축
- DIC 설치, 국제행사 유치등을 통해 주요 공단·지자체와의 협력체제 확보
- 대기업·중소기업·벤처기업 관련기관간 협력체제 강화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및 벤처기업협회내에 디자인분과위원회 설치추진 ('99년 전경련내 산업디자인특별위원회 기설치)
ㅇ 국제적으로는 세계 디자인협력을 주도할 수 있는 체제(World Design Route) 구축
- 1차적으로 이태리, 프랑스, 독일 등 디자인 주요선진국과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환태평양권으로 확대
- 국내에서 개최예정인 각종 국제행사를 활용하여 국제협력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수행
Design Infra
法·制度 整備
디자인投資 擴大
·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
·디자인교육·자격제등 개선
< 2000년 >
·정부지원 : 852억원
·민간투자 : 3조원
디자인
强國실현
國 內
海 外
< Design Highway > ·산·학·관 협력체제
·지역간 협력체제
< World Design Route > ·양자간 협력체제
·다자간 협력체제
Design Network
추천자료
한국정보산업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문화 컨텐츠 산업의 기획과 정책
[미국 컨텐츠산업][미국 콘텐츠산업][한국 컨텐츠산업][한국 콘텐츠산업][컨텐츠][콘텐츠]미...
[방송영상산업][방송영상산업 육성][방송영상산업 지원][방송영상산업 지원 정책][방송환경][...
[방송환경][방송이념][방송체제][방송정책][방송산업]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이념, 방송체...
[전북]전북지역(전라북도)의 도시, 전북지역(전라북도)의 대표음식과 영웅설화, 전북지역(전...
한국적 디자인의 발전 방향
성매매방지정책-성산업 종사자의 입장에서
뉴미디어산업의 현황과 정책 및 전망
계층정책_사회복지산업,해외사례비교,복지사회
[기술개발전략]기술개발전략과 정보보호기술, 환경기술, 기술개발전략과 항공기재료산업, 통...
우리나라의 열린 원격교육의 현황과 산업교육 방향 - 경영환경변화 속의 경영과 원격
[일본의 산업발전전략] 일본의 신산업창출정책, 신산업육성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