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브람스의 삶과 음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브라암스의 생애와 음악
1. 성장기
2. 초기 작품 활동
3. 클라라 슈만
4. 한슬릭과 빈의 친구들
5 브라암스와 바그너
6. 클라라의 죽음과 브라암스의 죽음

3. 브라암스의 대표적인 작품
1. 교향곡
2. 실내악곡
3. 민요와 가곡

4. 맺음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실내악의 특징은 먼저, 그의 작품은 고전시대에 확립된 형식에 기초한다는 것이다.3) 그의 실내악 작품들은 Op.30, Op.78, Op.88, Op.100과 Op.102의 No.2가 3악장의 구성을 갖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4악장의 구성으로 고전 양식을 따르고 있다. 그 형식구조를 살펴보면 소나타 형식이 그의 기악곡에 기본적인 형식이 되는데 Op.40을 제외한 모든 다악장 형식의 기악곡의 제 1악장이 소나타 형식으로 쓰여졌다. 그렇다고 해서 Op.40의 악장 구성에 어떤 새로운 내용이 도입된 것이 아니라 고전시대의 일반적인 악장 구성인 소나타 형식 - 느린 악장 - 스케르쪼 또는 미뉴엣 - 론도 형식 또는 소나타 형식'의 구성 순서를 뒤집어 놓은 것에 불과한 론도 형식 - 스케르쪼 - 느린 악장 - 소나타 형식'의 구성을 갖는다.
제 2, 3악장은 주제와 변주, 론도 형식, 스케르쪼, 소나타 형식과 휴걸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었으나 주로 3부 형식이 지배적이다. 제 4악장은 론도 형식과 소나타 형식이 주로 사용되었고 주제와 변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구성을 보인다.5)
③ 민요와 가곡
가곡은 지금 어찌나 길을 잘못 들었는지 우리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민요라는 한가지 이상 만큼은 단단히 머리속에 간직해야 한다. 브라암스는 클라라 슈만에게 그의 입장을 이렇게 밝혔다. 꼭 독일의 것만도 아니지만 민요의 소박함과 그것의 자연스럽고 건강한 음향은 브라암스의 평생 동안 그를 위한 횃불 노릇을 했다. 이것은 민요의 자질이 춤의 화법을 통해 표현되는 기악곡의 영역에서도 사실이다.6)
보헤미아 음향의 공헌과 더불어 빈과 헝가리의 화법은 그의 사상과 감각에 있어서 어찌나 철저히 하나로 융합했는지 그것들이 형성하는 효과는 노골적으로 강조하지 않을 때도 생생하게 남아 있다. 그의 리듬 패턴의 다양한 성격과 구조상의 배합에서 나타나는 다채로움과, 동일하지 않은 박자를 사용하려는 경향과 선정한 악절들을 늘이거나 줄이는 기교를 브라암스가 습득한 것은 이 세계로부터였다.7)
따라서 모든 곡에 걸쳐서 브라암스의 음악에는 자주 헝가리의 집시 음악의 어법이 보인다. 그러나 그와 아울러 프로테스탄트의 코랄에 여향받은 작법도 있다. 그의 가곡에는 자연이나 사랑외에 체관이라든가 죽음의 예상을 노래한 것도 있다. 모두가 민요중의 선율을 갖고 독일 가곡의 전통을 정통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피아노 반주에 암시적인 뜻을 담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저음부의 진행이 커다란 뜻을 갖은 일이 적지 않다.
브라암스에겐 합창곡이나 중창곡, 독창곡도 많은데 합창곡은 반주없는 것에서부터 여러가지 편성의 반주를 가진 것까지 있고, 성서 혹은 그밖의 종교적인 가사를 가진 것도 적지 않으며 브라암스의 종교관을 아는 데 중요한 작품도 있다. 중세로부터 바로크의 음악연구에 유래되는 교묘한 다성적인 처리가 있으며, 그에 의해서 장대한 효과와 장중한 분위기를 내는 것도 많다. 사상적으로 특히 주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독일 진혼곡'에서 처음으로 죽음에 대해 남겨진 사람에 대한 위로가 주제로서 등장했다는 것이며, 그 후도 이것은 브라암스가 좋아하는 주제가 되었다. 그의 이 독일 진혼곡'의 의의는 프로테스탄트였던 그가 죽은 자를 위한 미사'라는 카톨릭 개념으로부터 그의 진혼곡을 이탈시킨 점이다.
그는 또한 라틴어의 사용을 거부하므로써 종교예식을 위해서 사용될 수가 있었는데 이것은 처음부터 죽은 자를 위해 제도화된 예식이 아니라 엄숙한 추모를 하려는 뜻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클라라 슈만에게 설명했던 그의 회의적인 태도를 보면 쉽게 이를 알 수 있다. 어쨌든 관습적인 라틴어 못지않게 독일어로 된 내용도 역시 우리들을 만족시켜 줄 수 있읍니다.
4. 맺음말
브라암스는 낭만주의 시대에서 독일 고전주의를 고수한 보수파의 대표자로서 음악사적으로 신고전주의의 계기가 되는 위대한 작곡가이다. 브라암스 음악은 멘델스존, 슈만의 독일 낭만파 가운데에서 비교적 보수적인 경향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북독일 출신이라는 것과 그가 받은 교육에 큰 관계가 있었다. 당시의 커다란 풍조였던 리스트나 바그너의 음악에 무관심이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결국 그것은 브라암스의 기질에 맞지 않았다. 브라암스는 15세기 이래 슈만에 이르기까지의 대가들 작품에 끌리고 그 전통위에서 자기의 독자적인 방향을 발견해 내려고 했던 것이다.
그의 음악은 무겁고 애수가 깃든 분위기이며 독일의 민중적인 영감이 일관한다. 따라서 북독일적인 남성미, 당당함, 장엄함과 구수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그의 특징적인 음악의 발로는 바로 시대적 거센 흐름속에서도 자신의 깊은 곳으로부터의 내면적인 요구에 귀를 기울인 작곡가적 양심의 발로인 것이다.
끝으로 위대한 작곡가로서의 브라암스와 그의 음악의 미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아울러 그의 음악에 대한 애호와 그의 작품의 많은 연주를 기대해 본다.
5. 참고 문헌
1) Gl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5th ed.,Eric Blom,1968,ST Martin's press
2) 연주곡 연구를 통한 요하네스 브라암스의 피아노 음악의 재평가,김 우성,1985,경희대학교 대학원
3) 요하네스 브라암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Op.78 G장조에 대한 분석연구,박 내숙,1988,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 요하네스 브라암스의 피아노 음악에 대한 연구,박 채영,1984,단국대학교 대학원
5) 요하네스 브라암스의 Horn Trio Op.40에 대한 분석연구,김 혜은,1989,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6) 요하네스 브라암스의 가곡작품중 3곡에 대한 분석연구,조 용란,1985,한양대학교 대학원
7) 요하네스 브라암스의 Lieder und Gesange' Op.57에 대한 분석연구,김 명희,1989,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8) 브라암스의 생애와 주요작품에 대한 고찰,최 서윤,1984,경희대학교 대학원
9) 월간 음악,월간 음악사,1974.5,p43
10) 월간 음악,월간 음악사,1974.6,p53
11) 음악의 유산,중앙 일보사,1985.,p35
12) 음악대사전,신진 출판사,1972.5,p661
Signature

키워드

음악,   브람스,   ,   음악,   민요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1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