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가 현대패션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의 개념에 대한 고찰

Ⅲ.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가 현대패션에 미친 조형적 특징

Ⅳ. 결 론

본문내용

소재·
문양
인위적으로 파열시킨 면직물, 물빠진듯한 낡은 소재, 홀치기 염색 직물
편물, 천연직물
크링클 코튼
가죽, 바디페인팅, 델라베 코드로이, 진 등 천연소재, See -through 소재
자연소재, 금속성 소재, 미래적 소재



Grunge look, Poor look, Hobo look, 빈티지 룩, 패치워크 look, Layered look,
Structureless look, 상쿠튀르
(재봉을 하지 않은) Style,
Shapeless look,
상포름(형이없는)Style
에콜로지풍, 전원풍 Eco look, Tatoo look, 아프로 모히칸 스타일
신비주의 스타일, 장식적 스타일




J. Galliano, Issey Miyake,
K. Tatsuno, R. Kawakubo,
S, Kuwahara J. Richmond
Issey Miyake, Kimijima,
Kosuke Tsumura, J. Galliano,
Yoshiki Hishinuma
Y.S. Laurent, Fendi, Kenzo,
Complice, Liz Collins, Tokubo ler Vol
J. Galliano, T. Mugler,
Under Cover K. Murkudis
J. P. Gaultier,
Ⅳ. 결 론
- 281 -
본 연구는 1960년대 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난 미술운동인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의 특성을 분석하고 아르떼 포베라가 현대패션에 미친 조형성을 고찰하여 미래복식의 예측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을 목적하였다. 아르떼 포베라는 누보리얼리즘이나 팝아트가 사용하였던 획일적인 제품이나 폐품과는 다른 빈곤하고 보잘 것 없는 재료, 특히 자연대상물을 주로 사용하여 산업사회와 예술상품화에 대한 반발로서 빈곤함, 보잘 것 없음을 절대적 가치로서 표현하고 작품에 있어서 전통적인 조형성의 기준을 거부하고 사회, 정치, 경제 등 그 당시에 내재되어있는 본질적인 현실문제를 다루는 실험적인 작업을
시도한 운동이었다.
아르떼 포베라 작가의 작품을 통해 분석된 현대패션의 표현성은 1) 빈곤하고 하찮은 재료 자체의 물성 강조, 2) 무 형식적 반 형태(anti-form), 3) 자연성의 추구, 4) 재료나 형태가 갖는 상징적 의미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아르떼 포베라의 기법에 의한 현대패션의 특징을 이미지의 표현적 방법으로 분류하면 빈곤성, 반 형태성, 자연성, 상징성으로 표현된다.
첫째, 빈곤성은 패치워크, 손바느질의 투박성, 의도적 미스매치, 표현수단이나 표현효과의 극소화, 중고 스타일 등을 통한 소재의 빈곤성과 형태의 빈곤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표현은 인간의 빈곤, 소외감의 직접적 표현, 소비사회에 대한 반발, 부와 빈에 대한 이중적 코드양식이라는 내적 의미를 갖는다. 둘째. 반 형태성은 인체의 왜곡을 통한 비 정형적 실루엣과 배열과 착장의 오류를 통한 변용과 전위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표현은 전통성의 거부, 합리성 개념의 무시, 착장의 논리 부정, 미. 추 개념의 해체라는 내적 의미를 갖는다. 셋째, 자연성은 아플리케, 수·공예기법, 신체 노출 등을 통해 자연소재의 적용과 원시적 표현이라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표현은 자연과의 융합, 유토피아적 추구, 현대 문명에의 회의에서 오는 비문명 세계의 대한 동경이라는 내적 의미를 갖는다. 넷째, 상징성은 기성 오브제의 도입, 다양한 재료의 도입, 소재 사용의 왜곡, 복식과 타 영역간의 경계 해체 등을 통해 인간의 소외현상이나 시대상황의 은유적 표현이라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표현은 영역의 해체, 복식요소의 상호 텍스트성, 소재의 적절성에 대한 기존 관념의 탈피, 복합성, 애매성, 불규칙성, 열린 개념으로써의 공간구성이라는 내적 의미를 갖는다.
그 당시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일상의 현실과 사건을 직면하게 하여 예술의 사회화를 이루고자 한 아르떼 포베라의 예술정신은 패션의 표현영역에 정신적 세계를 담아냄으로써 정신적 표현과 일상적 삶의 구분을 거부하고자 하는 현대패션의 흐름과 그 맥을 함께 한다 하겠다.
참고문헌
김미경 (1991). 아르떼뽀베라의 개념과 조형적 특징
현대미술논집, 제1집.
박래경 (1988. 5). 이태리 전위미술의 제 양상, 공간.
스미드, R. (1994)., 현대미술의 흐름, 김춘일(역). 서
울: 문예출판사.
스텐고스, N. (1994). 현대미술의 개념, 성완경, 김안
례(역), 서울: 문예출판사.
안기매 (1987). 미니멀리즘으로 향한 움직임, 현대미술
의 동향, 정병관 외, 서울: 미진사.
엄소희·김문숙 (2000). 현대패션의 패러다임, 서울: 경
춘사.
이일 (1982). '이탈리아의 同一性展, 공간, (1982년 1월).
최혜원 (1996)., Arte Povera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Briganti, G. (1989), Cultural Provocation : Italian Art of
the Early Sixties. In Italian Art in the 20th Century, ed. by E. Braun Munich : Prestel.
Celant, Germano (1976). Jannis Kounellis, Studio Inter-
national, No. 971.
Celant, ARTE POVERA (1985). Milano : Umberto Alle-
mandi & C.
Celant (1989). Mario Merz, New York: Rizzoli.
Celant (1989). Guiseppe Penone., Milano : Electa.
Daval (1986). J.-M.(〔n.d.〕). Sculpture, The Affirmation
of Sculpture, Arte Povera, trans., by Michael Heron, New York: Rizzoli.
Hammacher (1989). A. M., Modern sculpture, Harry &
Abrams.
Semin, D. (1992). L'arte povera Paris:Centre Georges
Pompidou.
- 282 -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0.2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