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교육 연구의 목적과 유형
Ⅲ.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과 유형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
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유형
Ⅳ.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가능성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공통점과 보완점
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상극인가, 상생인가?
Ⅴ. 맺음말
Ⅱ. 교육 연구의 목적과 유형
Ⅲ.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과 유형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
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유형
Ⅳ.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가능성
1.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공통점과 보완점
2.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상극인가, 상생인가?
Ⅴ. 맺음말
본문내용
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고기를 더 많이 잡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데에도 여러 유형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실험연구는 인과성을 잘 보여줄 수 있으나, 실험의 제약 때문에 실제성에 한계가 있다. 반면, 문화기술 연구는 인과성은 제대로 실증할 수 없으나,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관찰하여 실제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활용하면 인과성은 강화되고 실제성도 더 이상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연구 주제를 보다 충실하게 탐구하기 위해 앞으로 양적, 질적 접근을 통합한 연구들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들은 질적, 양적 접근 모두에 익숙하도록 충분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 고 문 헌>
김영천(1997).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서울: 문음사.
김윤옥 외 공저(1996).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서울: 문음사.
신경림(1993). 연구 전통의 통합. 최영희 편저, 질적 간호 연구(361-377), 서울: 수문사.
이용숙, 김영천 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최영희 편저(1993). 질적 간호연구, 서울: 수문사.
Adler, P. A. & Adler, P.(1994). Observational techniques.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377-392), Thousand Oaks, CA: Sage.
Creswell, J. W.(199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Denzin, N. K. & Lincoln, Y. S.(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Thousand Oaks, CA: Sage.
Eisner, E. W. & Peshkin, A.(1990). Introduction. In E. W. Eisner & A. Peshkin (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 the continuing debate(1-17).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all, J. P., Gall, M. D. & Borg.(1999).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a practical guide (4th e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Gay, L. R. & Airasian, P.(2000).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Goetz, J. P. & LeCompte, M. D.(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research. San Diago: Academic Press.
Goodwin, W. L. & Goodwin, L. D.(1996). Understan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uba, E. G. & Lincoln, Y. S.(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K. Denzin. & Y. S.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105-117), Thousand Oaks, CA: Sage.
Johnson, B. & Christensen, L.(2000). Educational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MA: Allyn & Bacon.
Lincoln, Y. S. & Guba, E. G.(2000).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N. K. Denzin. & Y. S.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163-188), Thousand Oaks, CA: Sage.
Mathison, S.(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 17(2), 13-17.
Miles, M., & Huberman, M.(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Salomon, G.(1991). Transcending the qualitative-quantitative debate: the analytic and systematic approaches to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20(6), 10-18.
Shulman, L. S.(1997). Disciplines of inquiry in education: a new overview. In R. M. Jaeger (Ed.), Complementary methods for research in education (2nd ed.) (3-29),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후주)
연구 주제를 보다 충실하게 탐구하기 위해 앞으로 양적, 질적 접근을 통합한 연구들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들은 질적, 양적 접근 모두에 익숙하도록 충분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 고 문 헌>
김영천(1997).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서울: 문음사.
김윤옥 외 공저(1996).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서울: 문음사.
신경림(1993). 연구 전통의 통합. 최영희 편저, 질적 간호 연구(361-377), 서울: 수문사.
이용숙, 김영천 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최영희 편저(1993). 질적 간호연구, 서울: 수문사.
Adler, P. A. & Adler, P.(1994). Observational techniques.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377-392), Thousand Oaks, CA: Sage.
Creswell, J. W.(199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Denzin, N. K. & Lincoln, Y. S.(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Thousand Oaks, CA: Sage.
Eisner, E. W. & Peshkin, A.(1990). Introduction. In E. W. Eisner & A. Peshkin (Eds.), Qualitative inquiry in education: the continuing debate(1-17).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all, J. P., Gall, M. D. & Borg.(1999).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a practical guide (4th e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Gay, L. R. & Airasian, P.(2000).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Goetz, J. P. & LeCompte, M. D.(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research. San Diago: Academic Press.
Goodwin, W. L. & Goodwin, L. D.(1996). Understan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Guba, E. G. & Lincoln, Y. S.(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K. Denzin. & Y. S.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105-117), Thousand Oaks, CA: Sage.
Johnson, B. & Christensen, L.(2000). Educational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MA: Allyn & Bacon.
Lincoln, Y. S. & Guba, E. G.(2000).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N. K. Denzin. & Y. S.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163-188), Thousand Oaks, CA: Sage.
Mathison, S.(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 17(2), 13-17.
Miles, M., & Huberman, M.(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Salomon, G.(1991). Transcending the qualitative-quantitative debate: the analytic and systematic approaches to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20(6), 10-18.
Shulman, L. S.(1997). Disciplines of inquiry in education: a new overview. In R. M. Jaeger (Ed.), Complementary methods for research in education (2nd ed.) (3-29),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후주)
추천자료
방과후 아동 보육 교사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수업관찰 및 분석방법 -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사회복지실천의 연구방법론 경향 연구
현장교육연구의 이해 및 연구보고서의 작성에 관한 고찰
교육연구방법 연습문제 1장~13장
교육연구의 개념
현장교육연구의 의미와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유형과 특징, 현장교육연구의 가치, 현장교육...
현장교육연구의 개념, 현장교육연구의 특성, 현장교육연구의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추진과...
사회조사방법 중 질적조사와 양적조사 방법 비교 설명
양적 정치학 방법론 연구보고서
교육과정과 교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Tyler 이후의 교육과정 연구]
양적논문에 관한 연구
일반 유치원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