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와 사회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지역사회의 개념

제2장 지역사회복지의 정의

제3장 미국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역사

제4장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본문내용

의 지역사회복지
1. 민속적인 부락협동관행
1) 두레 - 단순한 형태의 민간협동체의 하나로서 촌락단위에 조직된 농민들의 상호협동체
2) 계 - 한국사회 특유의 조합적 성질을 지닌 협동조직으로서 전통적 생활구조의 사회, 경제적 특면을 집약적으로 반영한 동시에 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모든 자생적 조직의 실체적 구조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의를 가진다.
3) 품앗이 - 부락내 농민들이 노동력을 서로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
4) 향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들의 순화, 덕화, 교화를 목적으로 한 지식인들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5) 사창 - 재앙이나 흉년을 대비하여 미리 향민에게 곡식을 징수 또는 기증받아 저장해 두는 촌락단위의 구휼제도
6) 기타의 민속적인 협동관행
공굴 - 마을안에 중병자나 불구자, 과부, 그리고 초상을 당한 사람의 농사를 같은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어주는 민속
부근 - 공굴보다 봉사범위가 넓어 집을 신축할 때 또는 10세미만의 아이 죽었을 때장사, 기타 존위가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인정했을 때
향도 - 마을에 흉사가 있을 때만 무보수로 노력봉사
고지 - 궁핍한 마을사람들끼리 일단이 되어 연대책임으로 농업경영자와 노동청부의 계약을 맺고 양식이 떨어진 춘궁기에 노임으로서 양식을 선불받아 그것으로 춘궁기를 내고 농번기에 계약된 노동을 제공한다.
부조 - 누군가 집지을 때 일할 도구와 점심을 들고 가서 도와주는 것, 기타 노력동원등 무상으로 물자와 노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
2. 정부에 의한 인보제도
1) 오가통 - 정부에 의해 어느 정도 강제성을 지닌 인보제도 - 최초 세조때 실시
2) 국가단위의 상설복지기구 - 의창, 상평창, 진휼청, 동서대비원, 활인서, 혜민서, 기노소
제3절 일제시대의 지역사회복지
1. 배경
일제시대의 구호사업은 근대적인 복지이념에 의하여 시행되었다고 하기 보다는 그들의 식민정책의 일부로써 시혜 또는 자선으로서 우리 민족이 그들에 충성을 하게끔 하려는 정치적인 의미가 컸었다. 일제시대는 근대적 의미의 지역사회복지사업의 싹트기 시작한 시기라 할 수 있다.
2. 협동조합운동
1) 일본유학생들 - 1926년 협동조합운동사를 결성했으나 7,8년간의 단명으로 그치고 말았다.
2) 천도교지도자들 - 1925년경부터 농민회 조직 : 강제해산등으로 충분한 발달을 못함
3) 기독교 - YMCA를 중심으로 전개했으나 강제해산
3. 일제하의 사회복지사업
1) 사회복지지도기관
① 사회사업 상호의 연락, 통일도모
② 사회사업의 조사연구
③ 사회사업 관계자 및 일반 독지가의 간친 및 지식의 교환을 도모하고 사회사업에 대한 관심을 진작
④ 강습회, 강연회등을 개최
⑤ 사회사업에 관하여 공로가 있는 자 표창
⑥ 기관지를 발행하고 사업에 관한 도서를 출판
⑦ 필요에 의해 본협회 스스로 사업을 경영
⑧ 기타 본협회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사업
2) 구호법의 실시 - 1944년 3월 1일 실시 : 해방후 1961년에 생활보호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우리 나라의 공적부조를 맡아온 기본법으로 역사적 의의
3) 사회복지시설과 사업
4)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연구활동
① 학생들까지 사회사업에 대한 연구활발
② 조선사회사업연구소에서 1922년 9월에 1주일동안 사회사업강습회를 개최
제4절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1. 개관
현대적 사회사업의 40년간에 걸쳐 닦아온 얇은 바탕이 8.15와 6.25로 완전히 소실된 바탕위에서 한국의 현대적 사회사업이 새롭게 정립되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의 한국사회사업이라 할 수 있다.
2. 사회복지공동모금
1) 백만인 걷기운동 - 1973년 양친회가 시작한 라자로돕기회, 한국봉사회등이 준비위원회를 조직하여 시작한 것이 최초로 성과좋음.
2) 초보단계 - 자발적 계기 마련에 도움줌
3. 외원기관과 지역사회복지
1) 민간단체가 주체가 되어 활동하고 있는 외원사업은 1950년의 6.25동란으로 말미암아 자유우방국의 많은 민간구호단체가 전재난민 및 고아를 돕기 위해서 구호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 전개
2) 1960년대 후반부터 많은 외원기관이 대표자를 한국인으로 교체하여 사업전개
4. 지역사회개발사업
본격적인 체제 갗추고 지역사회개발사업이 시작되기는 1958년 9월 지역사회개발위원회 규정이 공포되면서부터이다.
5. 지역사회조직에 대한 교육
우리나라의 사회사업교육은 어느 학교나 할 것 없이 미국의 영향을 받아 거의 동일한 교과과정으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조직에 대한 교육도 초기부터 실시되어 전문지역사회조직가 배출에 일조를 하고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