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삶이라는 차원에서 결코 정당화될 수 없는 것이라 하겠다. 동성애가 인간의 기초적인 삶의 제도로서 책임과 유대에 근거한 가정보다는 당사자간의 관계에만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무책임한 성의 사용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로,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결혼이나 가정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는 삶의 제도를 보편적으로 수용할 수 있겠는가의 문제는 교회와 사회생활에 심각한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것들이다. 넷째, 결혼 외 성적 관계의 유형으로서의 동성애는 다양한 문제들을 불러오고 있다. 왜냐하면 동성애 문제가 성향에 관계된 것이라면 이러한 성향을 극복하면서 신앙과 믿음으로 살기 위하여 독신으로 살아가는 삶을 선택하는 경우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성적 욕망을 억압하는 것이 반드시 신앙적인 행위라고 볼 수는 없지만, 성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행위를 유발해도 좋다는 것은 윤리적 판단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맺는말
목회적 차원에서 동성애의 문제에 직면할 경우, 일방적 편견을 가지고 대해서는 안될 것이라 숙고된다. 동성애적 성향과 행위를 구별하고, 나아가 행위와 인격을 구별할 수 있을 때 보다 깊은 목회적 차원에서의 치유가 이루어지리라고 믿는다. 매듭지어 말한다면, 기독교 윤리학적 입장에서는 결코 어떠한 인간이라도 목회적 배려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관점에서 동성애주의자들도 목회의 대상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동성애 기독교적 가정관, 사회관, 성도덕의 관점에서는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질 수 없다는 점도 아울러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맺는말
목회적 차원에서 동성애의 문제에 직면할 경우, 일방적 편견을 가지고 대해서는 안될 것이라 숙고된다. 동성애적 성향과 행위를 구별하고, 나아가 행위와 인격을 구별할 수 있을 때 보다 깊은 목회적 차원에서의 치유가 이루어지리라고 믿는다. 매듭지어 말한다면, 기독교 윤리학적 입장에서는 결코 어떠한 인간이라도 목회적 배려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관점에서 동성애주의자들도 목회의 대상으로 여겨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동성애 기독교적 가정관, 사회관, 성도덕의 관점에서는 정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질 수 없다는 점도 아울러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성희롱에 대해..
다양한 가족유형
멜로드라마, 영화 더 칼라 퍼플 분석
건강한 성 (서울산업대학교 심리학)
간통죄 합헌인가, 위헌인가
[인간게놈프로젝트][인간게놈][인간게놈프로젝트의 윤리적 문제][생명윤리][유전자][DNA]인간...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에 대하여 PPT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의미와 실태,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감시체계와...
세계화(Globalization)에 따른 한국교회 선교의 패러다임 변화
현대 문화와 복음전도 (문화에 대한 이해, 현대문화의 이해, 복음전도에 대한 이해, 현대 문...
[책 요약] 여성다운 여성이 되려면 (저자 엘리사베스 엘리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