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초등학교에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적용가능성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레지오 교육의 이론적 배경
1. 레지오 교육과 구성주의
2. 레지오 교육의 원리
3. 레지오 교육의 특징

Ⅲ. 한국 초등교실 현장에 레지오의 적용가능성
1. 레지오의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수업 분석의 준거
2. 수업의 실제에서 레지오의 적용가능성 분석

Ⅳ. 결론

본문내용

수, 음식물 쓰레기, 농약 때문임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또한, 지역사회와 가정 그리고 학생 개인들이 어떻게 환경을 깨끗이 할 것인지 그 방법에 대해서도 터득하게 되었다. 학생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달성된 학습목표로 '물의 오염의 심각성'을 느끼게 되었고, 물과 환경을 깨끗이 하기 위한 마음자세를 다시 한번 확고히 하게 되었다. 그 외에 모둠 별로 소집단활동을 함으로써 사회성이 길러지게 되었고, 관찰력, 추리력, 조사 연구정신 등 학생들의 고등정신능력이 길러졌다.
IV. 결 론
지금까지 레지오 교육이 한국 초등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레지오의 이론을 탐색해 보았고, 초등학교 수업에 실제로 레지오를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분석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아동존중 아동중심 교육사상으로서의 구성주의적 발달관, 아동관, 지식관, 및 레지오 교육의 원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특징으로 기록작업, 발현적 교육과정, 표상활동, 아뜰리에 등을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위의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철학과 원리, 열린교육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원리, 그리고 레지오의 특징을 살린 수업의 원리를 면밀히 검토하여 "명확한 지식 구축을 위한 수업의 준거" 7가지를 설정하였다.
실제 우리의 교실 수업현장에 레지오 교육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 각각 5개 학급씩 10개 학급에 적용하였던 수업에서 과연 레지오의 정신이 얼마나 실현되었는지, 그리고 아이들이 명확한 지식을 구축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명확한 지식 구축을 위한 수업의 7가지 준거"에 의하여 수업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졌고 동시에 지식의 획득에 있어서도 새로운 지식이 명확하게 구성되어지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레지오 교육은 이론이나 실제에 있어서 한국의 초등학교 교실에 매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도입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되었다.
지금까지 초등교육에서도 아동이 학습의 주체여야 한다는 이상은 오랫동안 추구해왔던 초등교육의 본질적 요구였는지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실은 언제나 획일적인 교사중심의 주입식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0C말 한국 초등교육계에서 일어났던 열린교육운동은 교육의 이상을 현실과 가장 가깝게 다가오게 한 교육사적 의미를 지닌 의미 있는 교육운동이었으나 교육행정가나 교육자들의 몰이해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과도기적 과정을 통해 전반적으로 초등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교육관, 학생관, 교재관은 변화되었고, '아동중심교육'의 분위기가 확산되는데 공헌하였다. 특히, 열린교육, 수행평가, 구성주의의 용어가 현재 우리나라 교육자들에게 가장 관심 있는 용어가 되고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세 용어의 기저에 깔린 인간관, 교육관은 바로 아동중심적, 학습자중심적 교육사상으로 그 맥이 상통한다. 한국 초등교육이 추구해야할 본질적 가치로서 아동중심, 학습자중심 교육사상을 수업실제에서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수업방식이 프로젝트 수업이다. 교과로 구분된 국가 교육과정을 가진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주제중심 통합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수업의 실행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미 교육과정 재구성의 권한이 상당부분 교사에게 주어지고,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게 된 현 시점에서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활동적인 프로젝트 수업이 교사의 계획적인 연구와 열정에 의해서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레지오 에밀리아는 매우 발전된 프로젝트 수업의 한 방안이다. 레지오 교육의 특징인 표상활동, 발현적 교육과정, 아뜰리에 등의 용어는 한국 초등현장에서 생소한 개념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치원에서는 2 - 3년 전부터 그 적용가능성이 실현되어 오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그 적용가능성이 밝혀짐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이 질적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레지오 교육의 한국초등교육에의 적용가능성 탐색이 우리교육을 레지오 교육과 똑같이 하자는 것이 아니다. 이는 우리의 땅에서 21C를 살아가는 우리의 아이들에게 가장 유익하고 가장 적절한 교육을 추구하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의 과정이다.
레지오 교육의 훌륭한 점과 가치 있는 영역들을 적용하고 수정하고 계속적인 분석작업을 통해 한국 초등교육에 가장 적절한 제3의 프로그램을 계발해야 하는 것은 또 하나의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영호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999.
오문자 "유아교육의 최근동향과 레지오 에밀리아의 이론적 배경", 미간행 레지오 에밀리아 Workshop 자료1998.
C. Edward, L. Gandini & G. Forman ed.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3 (김희진 외역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정민사, 1998.)
J. Hendrick ed. First Steps Toward Teaching the Reggio Way, Prentice-Hall Publishing Corporation, 1997. (이연섭 역 레지오 접근법의 첫걸음, 정민사. 1998.)
L. Berk & A. Winsler,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 Vygotsky and Earlychildhood Education, 1995. (홍용희 역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설정 - 비고츠키와 유아교육 -, 창지사, 1995.)
L. Cadwell, Bringing Reggio Emilia Home - An Innovative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1997. (오문자 외 역 레지오 에밀리아와의 만남, 귀향, 그리고 적용, 양서원, 1999.)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8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