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아프리카 지역
▶ 아시아 지역
▶ 성병
▶ 물에 대한 질병.
▶ 아시아 지역
▶ 성병
▶ 물에 대한 질병.
본문내용
. 또한 회충, 촌충증 등의 기생충 감염도 흔하므로 물과 음식에 주의하여야 하며, 끓인 물이나 잘 요리된 음식을 먹는 것이 안전한다.
· 장티푸스
중미 지역은 장티푸스의 호발 지역이다. 멕시코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약 2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외의 국가들에서도 많은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특히 시골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장티푸스 예방접종을 미리 하는 것이 좋다.
3. 성 접촉에 의한 질병
· AIDS
중미 전지역에 AIDS 환자의 발생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 1993년 3월까지 13,0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그외의 국가에서도 빈도의 차이는 있으나 AIDS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중미 지역에서 AIDS의 위험군인 직업여성, 동성연애자, 마약 상용자의 접촉을 삼가하여야 한다.
4. 기타
· 고산병
멕시코를 포함하여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역이 많은 곳이다. 고산지대에 갑자기 오름으로써 발생하는 고산병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P.17).
Ⅱ. 카리브해 연안 지역
쿠바(Cuba), 도미니카 공화국(Dominican Republic), 아이티(Haiti), 자마이카(Jamaica),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 바하마(Bahamas)
이 지역은 기후와 풍광이 좋아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각광받는 곳이다. 관광지로 개발된 탓에 비교적 전염성 질환의 발생이 적은 편이나 다음의 몇 가지 감염은 주의하여야 한다.
1. 성 접촉에 의한 질병
· AIDS
전지역에 AIDS 환자의 발생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아이티의 경우 AIDS의 위험지역이며, 이 지역에서 AIDS 위험군인 직업여성, 마약 사용자, 동성연애자와의 접촉은 위험할 수 있다.
2. 벌레나 모기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이 지역은 말라리아의 호발 지역이 아니다. 그러나 아이티와 도미니카공화국의 일부 지역은 말라리아가 발생한다. 관광지의 경우 비교적 안전하며, 시골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특별한 예방약은 필요치 않다.
· 뎅기열
이 지역에서 뎅기열은 집단 발생한 보고가 있다.
3. 음식이나 물에 의한 질병
· 여행자 설사
전지역에서 여행자 설사나 이질이 호발한다. 따라서 물과 음식에 주의하여야 한다.
·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증은 도미니카공화국, 과달루페, 푸에르토리코 등지에서 흔하다. 민물에서의 수영은 위험할 수 있다.
Ⅲ. 열대 남미 지역
가이아나(Guyana), 기아나(French Guiana), 베네수엘라(Venezuela), 볼리비아(Bolivia), 브라질(Brazil), 수리남(Suriname), 에쿠아도르(Equador), 콜롬비아(Colombia), 파라과이(Paraguay), 페루(Peru)
이 지역은 열대 아프리카와 함께 여러 가지 열대 풍토병 및 전염성 질환이 호발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에는 각종 질환에 대한 충분한 사전지식과 예방대책이 있어야 한다.
1. 벌레나 모기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전지역이 말라리아의 호발지역이다. 브라질의 경우 특히 아마존 유역에서 많은 수의 환자가 발생하며, 대개의 국가에서 클로로퀸에 내성을 보이는 열대열 말라리아가 주종을 이룬다. 말라리아에 걸려서 빈혈이 심해지면 수혈을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AIDS 등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황열
열대 남미 지역은 아프리카에 이은 황열 주요 발생지역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황열이 발생하므로, 이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미리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주변의 황열발생지역(P.6)에서 입국하는 여행객에게 황열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한다.
· 리슈마니아증
열대 남미 전지역은 리슈마니아증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브라질의 동부와 북부 파라지역이 특히 많은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 외 볼리비아의 라파스 북부, 코차밤바, 페루의 안데스 산맥 서부지역, 에쿠아도르의 서부지역(에스메랄다스) 등과 기타 국가의 시골에서 모두 발생한다.
· 샤가스병
열대 남미 전지역에서 샤가스병이 발생한다.
2. 음식이나 물에 의한 질병
· 여행자 설사
전지역에서 여행자 설사와 각종 기생충 질환이 호발한다. 브라질, 베네주엘라, 볼리비아, 에쿠아도르, 콜롬비아, 페루 등지에서 1993년 콜레라가 집단 발생하였다. 따라서 생수, 우유제품, 덜 익은 음식 등은 매우 위험하며 물과 음식에 주의하여야 한다.
· 장티푸스
열대 남미 지역은 장티푸스의 호발지역이다. 도시지역에만 머무르는 경우 큰 위험이 없으나 시골을 여행하면 장티푸스 예방접종을 미리 하는 것이 좋다.
·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증이 브라질, 수리남, 중북부 베네수엘라에서 발생한다. 민물에서의 수영은 위험할 수 있다.
3. 성 접촉에 의한 질병
· AIDS
전지역에서 AIDS가 호발한다. 특히 브라질, 가이아나, 기아나 등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따라서 AIDS 위험군인 직업여성, 마약상용자, 동성연애자의 접촉을 금해야 하며, 특히 말라리아가 걸리는 경우 수혈을 받게 되면 이를 통하여 AIDS가 전염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Ⅳ. 온대 남미 지역
아르헨티나(Argentina), 우루과이(Uruguay), 칠레(Chile), 포클랜드(Falkland Islands)
이 지역은 남미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온대 지역으로 열대 남미에 비하여 비교적 전염성 질환의 발생이 적다. 발생가능한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음식이나 물에 의한 질병
· 여행자 설사
칠레에서는 여행자 설사가 호발한다. 아르헨티나 북부와 칠레에서 콜레라의 보고도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이 비교적 흔하다. 그외의 국가에서는 비교적 안전하다.
2. 벌레나 모기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아르헨티나의 북부지방 시골에서는 10월에서 5월 사이에 삼일열 말라리아가 발생한다. 클로로퀸에 잘 듣는 형이므로 예방약으로 사용한다. 그외의 국가에서는 말라리아가 생기지 않는다.
· 샤가스병
우루과이와 칠레에서는 샤가스병이 발생한다. 그 외의 지역에서는 보고가 없다.
· 장티푸스
중미 지역은 장티푸스의 호발 지역이다. 멕시코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약 2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외의 국가들에서도 많은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특히 시골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장티푸스 예방접종을 미리 하는 것이 좋다.
3. 성 접촉에 의한 질병
· AIDS
중미 전지역에 AIDS 환자의 발생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 1993년 3월까지 13,0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그외의 국가에서도 빈도의 차이는 있으나 AIDS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중미 지역에서 AIDS의 위험군인 직업여성, 동성연애자, 마약 상용자의 접촉을 삼가하여야 한다.
4. 기타
· 고산병
멕시코를 포함하여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역이 많은 곳이다. 고산지대에 갑자기 오름으로써 발생하는 고산병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P.17).
Ⅱ. 카리브해 연안 지역
쿠바(Cuba), 도미니카 공화국(Dominican Republic), 아이티(Haiti), 자마이카(Jamaica),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 바하마(Bahamas)
이 지역은 기후와 풍광이 좋아 세계적인 관광 명소로 각광받는 곳이다. 관광지로 개발된 탓에 비교적 전염성 질환의 발생이 적은 편이나 다음의 몇 가지 감염은 주의하여야 한다.
1. 성 접촉에 의한 질병
· AIDS
전지역에 AIDS 환자의 발생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아이티의 경우 AIDS의 위험지역이며, 이 지역에서 AIDS 위험군인 직업여성, 마약 사용자, 동성연애자와의 접촉은 위험할 수 있다.
2. 벌레나 모기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이 지역은 말라리아의 호발 지역이 아니다. 그러나 아이티와 도미니카공화국의 일부 지역은 말라리아가 발생한다. 관광지의 경우 비교적 안전하며, 시골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특별한 예방약은 필요치 않다.
· 뎅기열
이 지역에서 뎅기열은 집단 발생한 보고가 있다.
3. 음식이나 물에 의한 질병
· 여행자 설사
전지역에서 여행자 설사나 이질이 호발한다. 따라서 물과 음식에 주의하여야 한다.
·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증은 도미니카공화국, 과달루페, 푸에르토리코 등지에서 흔하다. 민물에서의 수영은 위험할 수 있다.
Ⅲ. 열대 남미 지역
가이아나(Guyana), 기아나(French Guiana), 베네수엘라(Venezuela), 볼리비아(Bolivia), 브라질(Brazil), 수리남(Suriname), 에쿠아도르(Equador), 콜롬비아(Colombia), 파라과이(Paraguay), 페루(Peru)
이 지역은 열대 아프리카와 함께 여러 가지 열대 풍토병 및 전염성 질환이 호발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에는 각종 질환에 대한 충분한 사전지식과 예방대책이 있어야 한다.
1. 벌레나 모기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전지역이 말라리아의 호발지역이다. 브라질의 경우 특히 아마존 유역에서 많은 수의 환자가 발생하며, 대개의 국가에서 클로로퀸에 내성을 보이는 열대열 말라리아가 주종을 이룬다. 말라리아에 걸려서 빈혈이 심해지면 수혈을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AIDS 등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황열
열대 남미 지역은 아프리카에 이은 황열 주요 발생지역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황열이 발생하므로, 이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미리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주변의 황열발생지역(P.6)에서 입국하는 여행객에게 황열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한다.
· 리슈마니아증
열대 남미 전지역은 리슈마니아증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브라질의 동부와 북부 파라지역이 특히 많은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 외 볼리비아의 라파스 북부, 코차밤바, 페루의 안데스 산맥 서부지역, 에쿠아도르의 서부지역(에스메랄다스) 등과 기타 국가의 시골에서 모두 발생한다.
· 샤가스병
열대 남미 전지역에서 샤가스병이 발생한다.
2. 음식이나 물에 의한 질병
· 여행자 설사
전지역에서 여행자 설사와 각종 기생충 질환이 호발한다. 브라질, 베네주엘라, 볼리비아, 에쿠아도르, 콜롬비아, 페루 등지에서 1993년 콜레라가 집단 발생하였다. 따라서 생수, 우유제품, 덜 익은 음식 등은 매우 위험하며 물과 음식에 주의하여야 한다.
· 장티푸스
열대 남미 지역은 장티푸스의 호발지역이다. 도시지역에만 머무르는 경우 큰 위험이 없으나 시골을 여행하면 장티푸스 예방접종을 미리 하는 것이 좋다.
·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증이 브라질, 수리남, 중북부 베네수엘라에서 발생한다. 민물에서의 수영은 위험할 수 있다.
3. 성 접촉에 의한 질병
· AIDS
전지역에서 AIDS가 호발한다. 특히 브라질, 가이아나, 기아나 등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따라서 AIDS 위험군인 직업여성, 마약상용자, 동성연애자의 접촉을 금해야 하며, 특히 말라리아가 걸리는 경우 수혈을 받게 되면 이를 통하여 AIDS가 전염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Ⅳ. 온대 남미 지역
아르헨티나(Argentina), 우루과이(Uruguay), 칠레(Chile), 포클랜드(Falkland Islands)
이 지역은 남미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온대 지역으로 열대 남미에 비하여 비교적 전염성 질환의 발생이 적다. 발생가능한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음식이나 물에 의한 질병
· 여행자 설사
칠레에서는 여행자 설사가 호발한다. 아르헨티나 북부와 칠레에서 콜레라의 보고도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이 비교적 흔하다. 그외의 국가에서는 비교적 안전하다.
2. 벌레나 모기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아르헨티나의 북부지방 시골에서는 10월에서 5월 사이에 삼일열 말라리아가 발생한다. 클로로퀸에 잘 듣는 형이므로 예방약으로 사용한다. 그외의 국가에서는 말라리아가 생기지 않는다.
· 샤가스병
우루과이와 칠레에서는 샤가스병이 발생한다. 그 외의 지역에서는 보고가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