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상담 남성과 여성의 피임법 초경때 부모가 할 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피임의 의미

2. 피임의 역사

3. 여성의 피임법

4. 남성의 피임법

5. 초경때 부모가 할 일

6. 축복해야 할 일들

본문내용

볼 수 있다. 성을 알아야 한다면서도 모르는 것 이 좋다는 모순된 사고를 하고 있다.
특히 여성들에 대해서는 성적 백치아로 자라주기를 바라는 성향이 이 사회에 팽배해있다. 성교육이 소위 순결교육과 동일시되는 지경이다.
그러나 많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녀를 성적 백치아로 가정하고 기르는 것은 성적으로 방종한 인간을 만들어내는 지름길이다. 더욱이 홍수같 이 범람하는 정보매체들의 그릇되고 과장된 성정보, 성의 상업화로 제 대로 된 성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이미 성교육에 대해 언급한 바있다. 성교육을 통해 성을 감정이 아닌 과학의 입낭에서 대하게 된다는 것이 세계보건 기구의 연구결과다. 건강한 성, 성교육이란 여러가지 의미로 설명된 다. 단순히 성행위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성교육은 아니다. 효율적 의 사소통능력, 사람간의 다른 생각과 감정을 존중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도 성교육이다.
성교육을 통해 자신에 대한 사랑과 보살핌은 물론 남에 대한 배려를 고양시킨다면 성교육은 결국 전인적인 인격교육에 다름아닌 것이다. 성교육이란 가정에 대한 교육이기도 하다. 사람은 어떤 행태로든 가정 을 이루고 살게 된다. 그에 대한 교육은 바로 성교육에서 시작된다.
마지막으로 성에 대한 새로운 선언, 앞으로의 남녀관계에 영향을 미칠 개념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유엔의 주도 하에 열린 95년 북경세 계여성대회엣 [21세기 여성발전 행동강령]이 채택된 바 있다. 여기서 성을 표기하는데 [Gender]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지금까지 사용하던 Sex가 생물학적으로 남녀를 구분하는 의미라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또 하나 놀랄만한 사항은 제97조의 성적권리라는 용어. 여성들은 강요 나 차별, 폭력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임신, 출산, 건강을 포함한 성생 활문제 전반을 결정할 권리를 갖는다는 조항이다. 현실화된다면 엄청 난 변화를 초래할 힘있는 선언이다. 성적권리! 여성, 남성 모두 곰곰 이, 또 깊이 새겨볼 말이다.
[십대의 성] 왜 성교육이 필요한가?
십대 아이들은 성에관한 내용이라면 고민하고 괴로워하는 경우가 많다. 또 그들만의 고민을 쉽게 드러내거나 이야기 하려 하지 않는다. 아마도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더 많은거 같다. 그렇다면 성교육은 십대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인가? 이러한 질문은 사실 때늦은 느낌이 든다. 왜냐하면 오래전 부터 이루어져 왔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화나 매스컴 등을 통해서 이루어져 왔다고 말할수 있다. 또한 언어나 그림등을 통해서도 그들은 알게 모르게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친구들 사이에서는 조금 조숙한 친구가 경험담등을 이야기 해 주거나 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여과되지 않은 무분별한 성지식을 그대로 습득한다는 것이다. 성에 대한 지식의 습득에 있어서 사실 우리는 부모나 교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과는 다르게 이들은 오히려 자녀의 성적인 지식습득에 대하여 일종의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다. 감수성이 예민한 십대가 성에 대한 지식을 잘 못 받아들여 탈선의 길로 들어서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두려움으로 빚는 성에 대한 무교육이 십대의 자녀들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이들은 성에 대한 지식을 위에서도 언급 하였듯이 각종 매스컴이나 잡지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게 되고 이것이 마치 전부인양 오인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작 우려했던 걱정등이 생기게 되는 경우도 있다. 정말로 올바른 성에 대한 교육은 바로 멀리 있지 않은 부모와 자녀간에 이루어 져야 한다.
십대들은 성에 대한 많은 고민을 품고 있다. 그러나 어디서든지 쉽게 그 고민을 풀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부모앞에 털어 놓고 이야기 한다는 것이 그들은 수치스럽기도 하며 어려운 일이기에 더욱 혼자만의 고민속에 빠지게 되곤 한다. 부모는 자녀 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다. 가장 가까이에서 자녀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것이 올바른 자녀교육이 될것이며 이로인해 올바른 성에 대한 지식을 자녀들이 갖게될 것이다.
'성(性)'이란 무엇입니까?
안녕 하세요?
저는 여중 2학년 재학중인 예비숙녀입니다. 제가 상담편지를 드리는 이유는 성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성'이란 무엇입니까? 어쩌다 뉴스를 보면 성폭행을 했다느니 어쩌니 그러는데, 성이 무엇이길래 우리 사회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몰라요. 저는 성에 대해 확실히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얼마전 지나가는 사람들이 하는 말을 우연히 듣은 것인데 '성병'이란 무엇인가요? 병이란 것은 알겠지만 그 외에는 모르겠어요. 성병에 대해서 알고 싶고,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저의 궁금증을 풀어 주세요. - H드림 -
<상담>
보내 준 H의 글 잘 받아보았습니다.
중학교 생활을 시작한 예비숙녀에겐 궁금한 것이 무척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H양이 질문한 성에 대해선 성장기에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궁금하게 여기는 것이기 때문에 어색할 필요는 없어요.
'성'이란 인간이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에서 시작합니 다. 처음 태어나서 성징(성의 특징)이 잘 나타나지 않아 남자와 여자가 잘 어울리지만 차츰 성장하면서 내적인 변화와 함께 생리적, 그리고 외모의 변화로 남성과 여성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우리 인간은 늘 자신이 갖고 있지 않은 것 혹은 자신과 다른 것에 대해 호기심과 동경을 갖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점차 성숙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남성은 자신과 다른 여성에 대해, 여성은 또 다른 이성인 남성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되는 거죠. 이 호기심이 강해지면 이성교제가 시작되는 것이겠죠?
이성교제시엔 여자친구에게 대하는 것보다 더 신중한 예의와 절제를 필요합니다. 만약 그렇지 못하고 쉽게 성을 생각하고 자신의 몸가짐을 잘못하게 될 때 뜻하지 않게 성폭행을 당하게 되고 심지어 성병에 걸 리게 되는 것입니다.
H양은 성병에 대해서 걱정할 것은 없어요. 아마 H양은 성에 대해 바로 알고, 바르게 행동함으로써 멋진 숙녀로 성장할 것으로 믿어요.
꼬마 예비숙녀를 사랑합니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