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환경오염의 원인 및 결과
III. 환경문제의 성경적 영역
IV. 창조의 보전의 기독교 윤리학적 모델 형성
II. 환경오염의 원인 및 결과
III. 환경문제의 성경적 영역
IV. 창조의 보전의 기독교 윤리학적 모델 형성
본문내용
의 방향을 제시하나 부정의와 무질서를 관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의는 법적 기능이나 심판하는 기능이 우선적이 아니고 사랑의 정신으로 공동적 접근을 할 수 있는 협동을 요구한다. 그래서 창조의 보전을 위해 정의로운 협동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협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위협이나 비극을 공동으로 느끼고 자제하며 아껴싸서 협동을 할 수 있는 마음이 일어나게 하고 분위기를 조성하게 해야 한다. 또 에너지 같은 것은 효력을 더 높이어 덜 쓰도록 하여야 하고 인구도 조절하여 적합하게 해야 하고 목표를 정하여 창조의 보전을 가능하게 하며 행위의 표준까지 정하여 협력하게 할 수 있다. 정책도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화 시키도록 해야 한다. 에너지도 생존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져야 하고 지구의 숲을 구해야 하고 생물의 멸종도 피하게 해야 하고 생존을 위협하는 독성화학물질도 통제하면서 하나의 세계라는 관념에서 공동체적 협동이 일어나게 해야 한다.
소망의 관계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에서 종말론적 관계를 의미한다. 즉 종말론적 비젼을 가지고 창조의 보전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이 비젼은 하나님의 나라이다. 다시 말하면 사랑의 관계사 종말론적 관계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지금 사랑의 관계는 비젼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나라를 맛보며 현실화시켜가는 것을 보게 해야 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완성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임하도록 기도하는 가운데 창조의 보전을 이루어 가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을 평화로운 공동참여(동참)라고 하는 것이다.
창조의 보전은 개인적인 것보다는 공동적인 참여가 되어야 한다. 공동적이라는 말은 나누며 돌보는 협동이 있어야 하므로 싸움이나 갈등이 있어서는 안된다. 만일 싸움이나 갈등이 있다면 창조의 보전은 지연되거나 방해를 받으며 자연스럽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협동 가운데 평화로운 삶의 양태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행동으로 나타내어 직접 창조의 보전이 되어 갈 수 있도록 참여를 해야 한다.
지금은 이미 위기이거나 위기 직전에 있어서 많은 위협을 느끼고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현실이 직시된다면 평화로운 동참은 꼭 필요한 것이다. 사실, 창조의 보전이란 현실은 평화로운 동참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우리는 기독교 윤리학의 관점에서 창조의 아름다움을 파괴하고 해체하려는 모든 것을 서둘러서 힘을 합해 막아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더 이상의 비극을 막아야 한다.
소망의 관계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에서 종말론적 관계를 의미한다. 즉 종말론적 비젼을 가지고 창조의 보전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이 비젼은 하나님의 나라이다. 다시 말하면 사랑의 관계사 종말론적 관계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지금 사랑의 관계는 비젼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나라를 맛보며 현실화시켜가는 것을 보게 해야 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완성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임하도록 기도하는 가운데 창조의 보전을 이루어 가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을 평화로운 공동참여(동참)라고 하는 것이다.
창조의 보전은 개인적인 것보다는 공동적인 참여가 되어야 한다. 공동적이라는 말은 나누며 돌보는 협동이 있어야 하므로 싸움이나 갈등이 있어서는 안된다. 만일 싸움이나 갈등이 있다면 창조의 보전은 지연되거나 방해를 받으며 자연스럽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협동 가운데 평화로운 삶의 양태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행동으로 나타내어 직접 창조의 보전이 되어 갈 수 있도록 참여를 해야 한다.
지금은 이미 위기이거나 위기 직전에 있어서 많은 위협을 느끼고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현실이 직시된다면 평화로운 동참은 꼭 필요한 것이다. 사실, 창조의 보전이란 현실은 평화로운 동참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우리는 기독교 윤리학의 관점에서 창조의 아름다움을 파괴하고 해체하려는 모든 것을 서둘러서 힘을 합해 막아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더 이상의 비극을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