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애국 계몽운동의 정치결사의 조직과 활동
2.학회의 활동과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한계성.
3.언론과 출판활동
4.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국문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5.애국계몽운동의 의의와 한계
Ⅲ. 결론
2. 본론
1.애국 계몽운동의 정치결사의 조직과 활동
2.학회의 활동과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한계성.
3.언론과 출판활동
4.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국문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5.애국계몽운동의 의의와 한계
Ⅲ. 결론
본문내용
의 건설을 목표로 내세워, 당시의 민족적 과제에 충실하였고, 근대사의 발전 방향에 합치되는 민족 운동의 이념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둘째, 애국 계몽 운동은 민족 독립 운동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신민회는 국내에서의 문화적, 경제적 실력 양성과 더불어, 국외에서의 독립군 기지 건설에 의한 군사력 양성을 당면의 목표로 삼았다. 이것은, 적절한 기회에 일제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려는 독립 전쟁론에 의거한 것이다.
셋째, 애국 계몽 운동은 장기적인 민족 독립 운동의 기반을 닦았다. 즉, 근대적 민족 교육을 발흥시켜 독립 운동의 인재를 양성하였고, 근대적 민족 산업을 진흥시켜 독립 운동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간도와 연해주에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여 항일 무장 투쟁의 기초를 닦았다. 그러나 애국 계몽 운동은 일제에 의하여 정치적, 군사적으로 예속된 상태에서 전개되었기 때문에, 항일 투쟁의 성과면에서 한계성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또, 애국계몽운동·자강운동의 성격에 대한 평가는 나뉘어져서 반제반봉건(反帝反封建)에 충실했던 애국적이고 진보적인 운동으로서 대중을 계몽하고 민족적 자각을 높였으며 부르주아 민족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에 제국주의적 침략에 대한 비판도 불철저하고 보수적인 성향도 강하며 무력 항쟁을 포기하고 문화운동만으로 활동영역을 축소하였다는 비판으로부터 심지어는 제국주의이론을 그대도 수용하여 이를 정당화해주고 있던 운동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또,애국계몽운동과 의병운동사이의 상호 관련성 문제도 대립적인지 보완적이었는지 의견이 나누어지고 있다는 것, 근대변혁운동으로서의 애국계몽운동의 명칭을 어떻게 할 것 인지등 이 문제에 관해서는 앞으로 보다 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박영석,「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민족독립운동」,『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1984.
이만열,「한말 기독교인의 민족의식 형성과정」,『한말 기독교와 민족운동』,평민서당,1986.
정창렬,「한말 변혁운동의 정치·경제적 성격」,『한국민족주의론』 1,창작과비평사,1982.
최기영,『대한제국시기 신문연구』,일지사,1991.
박찬승,「한말 자강운동론의 각 계열과 그 성격」,『한국사연구』 68,한국사연구회,1990.
신용하,「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한국학보』 9,일지사,1977(『한국근대민족운동사연구),일조각,1988년에 재수록).
신용하,「한말 애국계몽사상과 운동」,『한국사학』 1,한국정신문화연구원 사학연구실,1980(『한국근대사회사상연구』,일지사,1987년에 재수록).
신용하,「박은식의 유교구신론·앙명학론·대동사상」,『역사학보』 73,역사학회,1977.
윤경로,「105인사건에 연루된 상공업자의 활동」,『한국사연구』 56,한국사연구회,1987.
이광린,「황성신문연구」,『동방학지』 53,연세대 국학연구원,1986.
이기문,「개화기의 국문사용에 관한 연구」,『한국문화』 5,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1984.
이병근,「애국계몽시대의 국어관-주시경의 경우」,『한국학보』 12,일지사,1987.
이송희,「한말 국채보상운동에 관한 연구」,『이대사원』 15,이화여대 사학과,1978.
조동걸,「한말 계몽주의의 구조와 독립운동상의 위치」,『한국학논총』 11,국민대 힌국학연구소,1988(『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연구』,지식산업사,1989년에 재수록).
김도형,「대한제국시기 국권회복운동과 그 사상」,이화여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1985.
)『황성신문』 1904년 7월 15일자, 「송씨 연설 기사」.
2)『황성신문』 1904년 7월 23일자, 「회장 설명」. 7월 16일자, 「보안회」 ; 윤병석, 「일본인의 황무지개척권 요구에 대하여」, 『역사학보』 22, 역사학회, 1964, 49∼69쪽.
3) 신용하,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 하, 『한국학보』 9, 일지사, 1977, 125∼86쪽.
4)윤경로, 「105인사건에 연루된 상공업자의 활동」, 『한국사연구』 56, 한국사연구회, 1987, 104∼33쪽.
5)이송희, 「대한제국시기 애국계몽학회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6)주요한 편저, 『안창호전집』, 삼중당, 1971, 81쪽.
7)김상기, 「한말 사립학교의 교육이념과 신교육구국운동」, 『청계사학』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79∼80쪽.
8)『박은식전서』 중, 「학규신론」(學規新論), ‘논권징지규’(論勸懲之規), 22쪽.
9)『황성신문』 1907년 5월 27일자 논설, 「강화대운동현황」 ; 최취수, 「1910년 전후 강화지역 의병운동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지식산업사, 1988.
10)박찬승, 「한말 자강운동론의 각 계열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68, 1990, 115∼29쪽.
11)박영석, 「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민족독립운동」, 『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12)신용하,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양명학론·대동사상」, 『역사학보』 73, 역사학회, 1977, 72∼76쪽.
13)신용하, 「주시경의 애국계몽사상」,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일지사, 1987, 418∼21쪽.
14)이보경,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 『태극학보』 21, 태극학회, 1908, 16∼18쪽.
15)이기문 편, 「국문론」, 『주시경전집』 상, 아세아문화사, 1976.
16)이병근, 「애국계몽시대의 국어관-주시경의 경우」, 『한국학보』 12, 일지사, 1987년 가을호, 185∼88쪽.
17)근대변혁운동으로서의 애국계몽운동의 위상을 검토하고 그 명칭과 개념을 언급하면서 '문화계몽운동' 혹은 '계몽운동'이라는 용어가 적당하다는 견해와 시기적으로 '자강을 통한 국권회복'을 표방한 大韓自强會부터 시작된다고 볼 것을 제의하였다.1) 현재 趙東杰은 '한말 계몽주의'·'계몽운동'으로, 朴贊勝은 '자강운동'으로 사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고, 2) 북한에서는 '애국문화(계몽)운동'이라고 부르고 있다.3) 각기의 주장과 용어는 그 논의대로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되나, 연구자 모두가 만족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계몽운동'의 경우 서구 계몽운동과 개념적인 검토가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애국 계몽 운동은 민족 독립 운동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신민회는 국내에서의 문화적, 경제적 실력 양성과 더불어, 국외에서의 독립군 기지 건설에 의한 군사력 양성을 당면의 목표로 삼았다. 이것은, 적절한 기회에 일제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려는 독립 전쟁론에 의거한 것이다.
셋째, 애국 계몽 운동은 장기적인 민족 독립 운동의 기반을 닦았다. 즉, 근대적 민족 교육을 발흥시켜 독립 운동의 인재를 양성하였고, 근대적 민족 산업을 진흥시켜 독립 운동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간도와 연해주에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여 항일 무장 투쟁의 기초를 닦았다. 그러나 애국 계몽 운동은 일제에 의하여 정치적, 군사적으로 예속된 상태에서 전개되었기 때문에, 항일 투쟁의 성과면에서 한계성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또, 애국계몽운동·자강운동의 성격에 대한 평가는 나뉘어져서 반제반봉건(反帝反封建)에 충실했던 애국적이고 진보적인 운동으로서 대중을 계몽하고 민족적 자각을 높였으며 부르주아 민족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에 제국주의적 침략에 대한 비판도 불철저하고 보수적인 성향도 강하며 무력 항쟁을 포기하고 문화운동만으로 활동영역을 축소하였다는 비판으로부터 심지어는 제국주의이론을 그대도 수용하여 이를 정당화해주고 있던 운동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또,애국계몽운동과 의병운동사이의 상호 관련성 문제도 대립적인지 보완적이었는지 의견이 나누어지고 있다는 것, 근대변혁운동으로서의 애국계몽운동의 명칭을 어떻게 할 것 인지등 이 문제에 관해서는 앞으로 보다 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박영석,「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민족독립운동」,『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1984.
이만열,「한말 기독교인의 민족의식 형성과정」,『한말 기독교와 민족운동』,평민서당,1986.
정창렬,「한말 변혁운동의 정치·경제적 성격」,『한국민족주의론』 1,창작과비평사,1982.
최기영,『대한제국시기 신문연구』,일지사,1991.
박찬승,「한말 자강운동론의 각 계열과 그 성격」,『한국사연구』 68,한국사연구회,1990.
신용하,「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한국학보』 9,일지사,1977(『한국근대민족운동사연구),일조각,1988년에 재수록).
신용하,「한말 애국계몽사상과 운동」,『한국사학』 1,한국정신문화연구원 사학연구실,1980(『한국근대사회사상연구』,일지사,1987년에 재수록).
신용하,「박은식의 유교구신론·앙명학론·대동사상」,『역사학보』 73,역사학회,1977.
윤경로,「105인사건에 연루된 상공업자의 활동」,『한국사연구』 56,한국사연구회,1987.
이광린,「황성신문연구」,『동방학지』 53,연세대 국학연구원,1986.
이기문,「개화기의 국문사용에 관한 연구」,『한국문화』 5,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1984.
이병근,「애국계몽시대의 국어관-주시경의 경우」,『한국학보』 12,일지사,1987.
이송희,「한말 국채보상운동에 관한 연구」,『이대사원』 15,이화여대 사학과,1978.
조동걸,「한말 계몽주의의 구조와 독립운동상의 위치」,『한국학논총』 11,국민대 힌국학연구소,1988(『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연구』,지식산업사,1989년에 재수록).
김도형,「대한제국시기 국권회복운동과 그 사상」,이화여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1985.
)『황성신문』 1904년 7월 15일자, 「송씨 연설 기사」.
2)『황성신문』 1904년 7월 23일자, 「회장 설명」. 7월 16일자, 「보안회」 ; 윤병석, 「일본인의 황무지개척권 요구에 대하여」, 『역사학보』 22, 역사학회, 1964, 49∼69쪽.
3) 신용하,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 하, 『한국학보』 9, 일지사, 1977, 125∼86쪽.
4)윤경로, 「105인사건에 연루된 상공업자의 활동」, 『한국사연구』 56, 한국사연구회, 1987, 104∼33쪽.
5)이송희, 「대한제국시기 애국계몽학회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6)주요한 편저, 『안창호전집』, 삼중당, 1971, 81쪽.
7)김상기, 「한말 사립학교의 교육이념과 신교육구국운동」, 『청계사학』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79∼80쪽.
8)『박은식전서』 중, 「학규신론」(學規新論), ‘논권징지규’(論勸懲之規), 22쪽.
9)『황성신문』 1907년 5월 27일자 논설, 「강화대운동현황」 ; 최취수, 「1910년 전후 강화지역 의병운동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지식산업사, 1988.
10)박찬승, 「한말 자강운동론의 각 계열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68, 1990, 115∼29쪽.
11)박영석, 「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민족독립운동」, 『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12)신용하,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양명학론·대동사상」, 『역사학보』 73, 역사학회, 1977, 72∼76쪽.
13)신용하, 「주시경의 애국계몽사상」,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일지사, 1987, 418∼21쪽.
14)이보경,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 『태극학보』 21, 태극학회, 1908, 16∼18쪽.
15)이기문 편, 「국문론」, 『주시경전집』 상, 아세아문화사, 1976.
16)이병근, 「애국계몽시대의 국어관-주시경의 경우」, 『한국학보』 12, 일지사, 1987년 가을호, 185∼88쪽.
17)근대변혁운동으로서의 애국계몽운동의 위상을 검토하고 그 명칭과 개념을 언급하면서 '문화계몽운동' 혹은 '계몽운동'이라는 용어가 적당하다는 견해와 시기적으로 '자강을 통한 국권회복'을 표방한 大韓自强會부터 시작된다고 볼 것을 제의하였다.1) 현재 趙東杰은 '한말 계몽주의'·'계몽운동'으로, 朴贊勝은 '자강운동'으로 사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고, 2) 북한에서는 '애국문화(계몽)운동'이라고 부르고 있다.3) 각기의 주장과 용어는 그 논의대로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되나, 연구자 모두가 만족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계몽운동'의 경우 서구 계몽운동과 개념적인 검토가 수반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3.1 운동(삼일운동)의 전개와 민족사적 의의
해방이후의 사회운동-반탁운동
[중국]5.4 운동과 신문화 운동의 사회학적 고찰
[쿠르드족][쿠르드족 특징][쿠르드족문제][쿠르드족 역사][쿠르드족 분리운동]쿠르드족의 특...
[시민사회운동]아시아 시민사회의 발전과 평화운동의 가능성 고찰
청년운동과 학생운동-일제시기를 중심으로-
[중국문학][기행문학][노신][도연명][백화문운동][소설 삼언][중국문학의 미래]중국문학과 기...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실제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지역사회복지운동적 측면에...
[세계의이해/1학년 A형]간디의 비폭력불복종 운동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
[구한말]구한말(대한제국)의 위정척사운동, 구한말(대한제국)의 유교개혁운동, 구한말(대한제...
[흑도회, 흑도회 결성내용, 흑도회 결성과정, 흑도회 활동, 흑도회와 흑도, 흑도, 민주운동, ...
갑오농민전쟁 vs 동학농민운동,태평천국운동과 갑오농민전쟁, 갑오농민전쟁의 전개와 결과
미투운동 확산배경 및 해결과제[미투운동,metoo,me too,성범죄,성추행,성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