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육신학에서의 장설(Field Theoty)
1. 교육신학이란?
2. 교육신학에서의 `장` 이해
Ⅱ. 교육신학과 교육철학의 차이점
1. 교육철학이란?
2. 교육신학과 교육철학의 두드러진 차이
1. 교육신학이란?
2. 교육신학에서의 `장` 이해
Ⅱ. 교육신학과 교육철학의 차이점
1. 교육철학이란?
2. 교육신학과 교육철학의 두드러진 차이
본문내용
고 말할 수 있다.
· 자연의 이상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 그 과정을 조성하는 것이다.
② 교육의 철학적 연구
· 사실의 본질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 타 문화적 사상과의 관계를 연구한다.
· 그것을 의미 총괄하는 것이다.
· 교육의 철학적 연구인 총괄은 즉 현실, 자연, 사실적 연구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기 때문에 교육적 철학이 교육에 관련을 가져야 온전할 수 있다.
신칸트파의 라돌프라는 사람은 교육학을 철학적 기초위에서 해석하려 했다. 과학의 입장을 버리고 교육철학적 입장만 주장했다. 그의 주장을 간략히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은 아동을 인간으로 까지 도야하는 학문이다. 교육 이전의 인간은 이성적 사고가 없기에 동물과 같고 교육을 받아야 비로소 인간이 되어가는 것이다. 인간 발달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은 철학의 임무다. 교육의 근본 임무는 문화 철학으로서 명료해 진다. 통일의 방안(내적 관련성)은 인식의 중심 통일이 철학의 임무다. 논리학, 윤리학, 미학을 통일된 원리 입장에서 적용해서 교육학의 기초로 봤다. 결국 라돌프 이론은 지·정·의를 일체로한 교육의 목적과 일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2. 敎育神學과 敎育哲學의 두드러진 差異
① 궁극적 실재의 차이점
- 교육철학
· 형이상학적 질문에서 출발한다.
· 역사와 인물, 상황에 따라서 형이상학적 질문은 달리 표현된다.
· 고전적 형식에서는 자연을(자연주의), 靈을(관념주의), 靈과 物의 종합을(실재주의), 그리고 세계(실용주의) 등을 궁극적인 실재로 이해하였다.
- 교육신학
· 궁극적 실재를 역사와 세계속에서 자기를 구현하신 하나님 자신과 그의 계시적 행위에 있다는 신앙에 전제하며 이를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② 인식론의 차이점
- 교육철학
· 인식은 인간정신의 이성과 감각을 통해 가능하다.
· 교육이 실재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이성, 추리, 비판의 작용에 의해 수행된다.
- 교육신학
· 궁극적 실재로서 신 인식은 이성으로보다 신앙으로만 가능하다고 본다.
· 교육신학에서는 일반경험을 배제할 수 없기에 교육철학적 요소를 포함하지만 계시적 요소가 우위에 있다.
③ 보완관계
교육신학은 실재이해(實在理解)에 있어서나 인식이해에 있어서 교육철학과는 전혀 다른 출발점과 내용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신학은 많은 경우 교육의 장의 구조 이해에 있어서 교육철학의 지혜를 필요로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철학은 교육신학을 보완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칼 바르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이해는 신앙 안에 내재하는 요소라고 보았다. 이로써 신앙이란 이성과 이해를 동반하는 폭 넓은 차원에서 정의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철학과 교육신학이 만나는 자리가 된다.
끝으로, 상호보완적인 면을 차원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1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first dimension → 선의 세계
· 2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second dimension → 평면의 세계(가로·폭)
· 3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third dimension → 입체의 세계(두께)
교육의 차원 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신의 무대가 달라지고 범위가 넓어진다.
· 4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fourth dimension → 계시의 세계(신의 초월적)
哲學과 神學이 형이상학적이지만 서로 다르다. 보완 의미에서 교육을 바탕으로(일반 교육학) 場(세계, 교회), 過程(일반 교육학)에 따라 構造(교육신학, 교육철학)가 달라지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1. 殷俊寬 著, 敎育神學, 大韓基督敎書會, 1990.
2. 1995-2학기 박인병 교수 「교육신학 강의안」
· 자연의 이상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 그 과정을 조성하는 것이다.
② 교육의 철학적 연구
· 사실의 본질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 타 문화적 사상과의 관계를 연구한다.
· 그것을 의미 총괄하는 것이다.
· 교육의 철학적 연구인 총괄은 즉 현실, 자연, 사실적 연구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기 때문에 교육적 철학이 교육에 관련을 가져야 온전할 수 있다.
신칸트파의 라돌프라는 사람은 교육학을 철학적 기초위에서 해석하려 했다. 과학의 입장을 버리고 교육철학적 입장만 주장했다. 그의 주장을 간략히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은 아동을 인간으로 까지 도야하는 학문이다. 교육 이전의 인간은 이성적 사고가 없기에 동물과 같고 교육을 받아야 비로소 인간이 되어가는 것이다. 인간 발달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은 철학의 임무다. 교육의 근본 임무는 문화 철학으로서 명료해 진다. 통일의 방안(내적 관련성)은 인식의 중심 통일이 철학의 임무다. 논리학, 윤리학, 미학을 통일된 원리 입장에서 적용해서 교육학의 기초로 봤다. 결국 라돌프 이론은 지·정·의를 일체로한 교육의 목적과 일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2. 敎育神學과 敎育哲學의 두드러진 差異
① 궁극적 실재의 차이점
- 교육철학
· 형이상학적 질문에서 출발한다.
· 역사와 인물, 상황에 따라서 형이상학적 질문은 달리 표현된다.
· 고전적 형식에서는 자연을(자연주의), 靈을(관념주의), 靈과 物의 종합을(실재주의), 그리고 세계(실용주의) 등을 궁극적인 실재로 이해하였다.
- 교육신학
· 궁극적 실재를 역사와 세계속에서 자기를 구현하신 하나님 자신과 그의 계시적 행위에 있다는 신앙에 전제하며 이를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② 인식론의 차이점
- 교육철학
· 인식은 인간정신의 이성과 감각을 통해 가능하다.
· 교육이 실재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이성, 추리, 비판의 작용에 의해 수행된다.
- 교육신학
· 궁극적 실재로서 신 인식은 이성으로보다 신앙으로만 가능하다고 본다.
· 교육신학에서는 일반경험을 배제할 수 없기에 교육철학적 요소를 포함하지만 계시적 요소가 우위에 있다.
③ 보완관계
교육신학은 실재이해(實在理解)에 있어서나 인식이해에 있어서 교육철학과는 전혀 다른 출발점과 내용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신학은 많은 경우 교육의 장의 구조 이해에 있어서 교육철학의 지혜를 필요로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철학은 교육신학을 보완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칼 바르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이해는 신앙 안에 내재하는 요소라고 보았다. 이로써 신앙이란 이성과 이해를 동반하는 폭 넓은 차원에서 정의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철학과 교육신학이 만나는 자리가 된다.
끝으로, 상호보완적인 면을 차원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1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first dimension → 선의 세계
· 2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second dimension → 평면의 세계(가로·폭)
· 3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third dimension → 입체의 세계(두께)
교육의 차원 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신의 무대가 달라지고 범위가 넓어진다.
· 4차원의 세계: The world of the fourth dimension → 계시의 세계(신의 초월적)
哲學과 神學이 형이상학적이지만 서로 다르다. 보완 의미에서 교육을 바탕으로(일반 교육학) 場(세계, 교회), 過程(일반 교육학)에 따라 構造(교육신학, 교육철학)가 달라지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1. 殷俊寬 著, 敎育神學, 大韓基督敎書會, 1990.
2. 1995-2학기 박인병 교수 「교육신학 강의안」
키워드
추천자료
[서양][서양 학교교육][서양 건축][인상주의]서양의 철학(사상), 서양의 가치관, 서양의 국가...
코메니우스의 영유아교육 목적과 영유아교육내용 및 코메니우스의 영유아교육 방법
다문화교육론2공통) 다문화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슨의 성격발달...
[기독교基督敎교육심리] 정서발달을 위한 효과적 교육 원리의 모색 (효과적인 감성발달을 위...
교육敎育심리학4공통)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敎育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 교...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하고...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현황, 문제점,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대책
방통대 중간과제 가족교육론 가족교육프로그램 작성 : 가족교육론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