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종말론과 교회성장
가. 종말론
나. 교회
다. 성장
3. 19 세기말의 종말론과 학생자원운동
가. 19 세기말의 종말론
나. 학생자원운동
4. 교회 성장의 도구로서의 종말론 형성을 위한 목회적인 제안
가. 목회자의 설교를 통한 종말론 형성
나. 복음전도와 선교를 통한 종말론 형성
2. 종말론과 교회성장
가. 종말론
나. 교회
다. 성장
3. 19 세기말의 종말론과 학생자원운동
가. 19 세기말의 종말론
나. 학생자원운동
4. 교회 성장의 도구로서의 종말론 형성을 위한 목회적인 제안
가. 목회자의 설교를 통한 종말론 형성
나. 복음전도와 선교를 통한 종말론 형성
본문내용
것이 예수요, 문자를 입은 것이 성서요, 그 시대의 언어를 입은 것이 설교다"라고 말했다. 그에 의하면 성서는 과거의 삶의 상황을 넘어서 각 시대의 삶의 정황에 선포된 사실로서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말씀은 삼중적 구조, 즉 선포된 말씀(설교), 기록된 말씀(성경), 계시된 말씀(그리스도)을 가진다.
) K. Barth, 조남홍 역, 「로마서 강해」(한들, 1997), p. 872.
종말론과 관련해 "별세"목회로 교회성장을 이룬 이중표 목사가 있다. 물론 한신교회의 교인들이 이중표 목사의 별세목회로 인해 올바른 종말론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증명할 방법은 없다. 그러나 이중표 목사가 너무나 뚜렷하게 종말론에 입각한 목회철학으로 말씀을 전하고 있기에 교인들이 어느 정도 종말론적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고 사료할 수 있다.
그는 1977년 6월에 신반포에 개척교회를 시작한 이래 현재 개척교회 46개와 해외선교사 22명을 파송하고 21년만에 분당에 7,000평건평에 3,000석의 성전을 완공하는 교회성장을 이루었는데 항상 종말론에 입각하여 말씀을 전하고 있으며 설교집인 "별세시리즈"를 13권이나 출판하였다.
) 김경재 외, 「별세신학」,(서울: 쿰람출판사, 1999), p. 36.
김균진 교수는 이중표 목사의 철학이 종말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 Ibid,. p. 171.
김이곤 교수는 그의 신학은 전적으로 '예수의 고난을 먹고사는 별세의 삶'을 목회자와 신학자들 그리고 기독교 신앙인들에게 강력하게 요구하는 하나의 종말론적 선교신학이다
) Ibid,. p. 51.
라고 말하고 있다.
나. 복음전도와 선교를 통한 종말론 형성
복음전도와 선교를 통해 종말론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예수님께서 다시 오신다고 하셨고 우리에게는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고 하셨고 그 날은 모든 민족에게 복음이 전해져야 온다고 하셨기 때문이다. 선교, 재림, 종말은 별개의 것이 아니고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종말론은 하나의 이론이 아니고 미래를 기대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자세이다. 선교역사를 살펴보면 항상 재림을 기대하며 선교에 앞장섰던 곳에는 놀라운 교회성장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켈트족이 유럽 선교를 담당했던 때에도 그랬고, 카톨릭이 열정적으로 선교했던 13세기에도 그랬고, 진젠도르프 백작을 중심으로한 모라비아 선교가에도 1792년 윌리엄 캐리를 위시한 개신교 선교에서도 그 증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Patrick Jonstone, the Church Bigger Than You Think, 이창규·유병국 역 『교회는 당신의 생각보다 큽니다』,(서울: WEC출판부, 1999), pp. 105∼121.
복음전도와 선교를 감당하는 교회는 이미 어느 정도 복음증거에 의한 종말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말론적 세계관을 가졌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종말론적 삶을 살아가느냐가 중유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1. 국내서적
김경재 외.『별세신학』. 서울: 쿰란출판사, 1999.
김명용. 『열린 신학 바른 교회론』. 서울: 장로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목창균. 『종말론 논쟁』. 서울 : 도서출판 두란노, 1998.
서정운. 『교회와 선교』. 서울: 두란노서원, 1993.
은준관. 『신학적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이광순· 이용원. 『선교학개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2. 번역서적
Barclay, William. The Mind of ST Paul. 박문재 역. 『바울 신학 개론』.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arth, Karl. 조남홍 역. 『로마서 강해』.서울: 한들. 1997.
Hiebert, Paul G.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채은수 역. 『문화 속의 선교』.서울 : 총신대출판사, 1998.
Howard, David M. Student Power in World Evangelism. 『학생운동과 세계복음화』.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3.
Jonstone, Patrick. the Church Bigger Than You Think. 이창규·유병국 역 『교회는 당신의 생각보다 큽니다』. 서울: WEC출판부, 1999.
McGavran, Donald. Understanding Church Growth. 전재옥, 이요한, 김종일 공역. 『교회성장이해』.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McGavran, Donald·Hunter Ⅲ, George G. Church Growth: Strategies That Work. 박은규 역. 『교회 성장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Sjogren, Bob. Unveiled at Last. 이숙희 역. 『마침내 드러나다』. 서울: 죠이선교회 출판부, 1998.
Vos, Geerhardus. The Pauline Eschatology. 이승구, 오광만 역. 『바울의 종말론』.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3.
Wagner, C. P. 『교회성장학개론』.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95.
3. 국외서적
Anderson, G. H. Mission Legacy. Maryknoll/NY: Orbis Books, 1996.
Latourette, Kenneth Scott. The Great Centur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D. 1800-A.D. 1914. New York: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941.
Rouse, Ruth·Neil, Stephen C. A History of Ecumenical Movement, 1517-1948 Philadelphia: Westerminster Press, 1967.
4. 정기간행물
김명용. "교회의 본질 인식부터 회복해야 합니다". 『목회와 신학』. 서울: 도서출판 도란노, 2000년 4월호.
"카운트다운 1900". 협력선교 25호. 서울: 해외협력선교회, 1999.
) K. Barth, 조남홍 역, 「로마서 강해」(한들, 1997), p. 872.
종말론과 관련해 "별세"목회로 교회성장을 이룬 이중표 목사가 있다. 물론 한신교회의 교인들이 이중표 목사의 별세목회로 인해 올바른 종말론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증명할 방법은 없다. 그러나 이중표 목사가 너무나 뚜렷하게 종말론에 입각한 목회철학으로 말씀을 전하고 있기에 교인들이 어느 정도 종말론적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고 사료할 수 있다.
그는 1977년 6월에 신반포에 개척교회를 시작한 이래 현재 개척교회 46개와 해외선교사 22명을 파송하고 21년만에 분당에 7,000평건평에 3,000석의 성전을 완공하는 교회성장을 이루었는데 항상 종말론에 입각하여 말씀을 전하고 있으며 설교집인 "별세시리즈"를 13권이나 출판하였다.
) 김경재 외, 「별세신학」,(서울: 쿰람출판사, 1999), p. 36.
김균진 교수는 이중표 목사의 철학이 종말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 Ibid,. p. 171.
김이곤 교수는 그의 신학은 전적으로 '예수의 고난을 먹고사는 별세의 삶'을 목회자와 신학자들 그리고 기독교 신앙인들에게 강력하게 요구하는 하나의 종말론적 선교신학이다
) Ibid,. p. 51.
라고 말하고 있다.
나. 복음전도와 선교를 통한 종말론 형성
복음전도와 선교를 통해 종말론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예수님께서 다시 오신다고 하셨고 우리에게는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고 하셨고 그 날은 모든 민족에게 복음이 전해져야 온다고 하셨기 때문이다. 선교, 재림, 종말은 별개의 것이 아니고 일직선상에 놓여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종말론은 하나의 이론이 아니고 미래를 기대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자세이다. 선교역사를 살펴보면 항상 재림을 기대하며 선교에 앞장섰던 곳에는 놀라운 교회성장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켈트족이 유럽 선교를 담당했던 때에도 그랬고, 카톨릭이 열정적으로 선교했던 13세기에도 그랬고, 진젠도르프 백작을 중심으로한 모라비아 선교가에도 1792년 윌리엄 캐리를 위시한 개신교 선교에서도 그 증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Patrick Jonstone, the Church Bigger Than You Think, 이창규·유병국 역 『교회는 당신의 생각보다 큽니다』,(서울: WEC출판부, 1999), pp. 105∼121.
복음전도와 선교를 감당하는 교회는 이미 어느 정도 복음증거에 의한 종말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말론적 세계관을 가졌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종말론적 삶을 살아가느냐가 중유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1. 국내서적
김경재 외.『별세신학』. 서울: 쿰란출판사, 1999.
김명용. 『열린 신학 바른 교회론』. 서울: 장로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목창균. 『종말론 논쟁』. 서울 : 도서출판 두란노, 1998.
서정운. 『교회와 선교』. 서울: 두란노서원, 1993.
은준관. 『신학적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이광순· 이용원. 『선교학개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2. 번역서적
Barclay, William. The Mind of ST Paul. 박문재 역. 『바울 신학 개론』.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arth, Karl. 조남홍 역. 『로마서 강해』.서울: 한들. 1997.
Hiebert, Paul G.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채은수 역. 『문화 속의 선교』.서울 : 총신대출판사, 1998.
Howard, David M. Student Power in World Evangelism. 『학생운동과 세계복음화』.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3.
Jonstone, Patrick. the Church Bigger Than You Think. 이창규·유병국 역 『교회는 당신의 생각보다 큽니다』. 서울: WEC출판부, 1999.
McGavran, Donald. Understanding Church Growth. 전재옥, 이요한, 김종일 공역. 『교회성장이해』.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McGavran, Donald·Hunter Ⅲ, George G. Church Growth: Strategies That Work. 박은규 역. 『교회 성장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Sjogren, Bob. Unveiled at Last. 이숙희 역. 『마침내 드러나다』. 서울: 죠이선교회 출판부, 1998.
Vos, Geerhardus. The Pauline Eschatology. 이승구, 오광만 역. 『바울의 종말론』.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3.
Wagner, C. P. 『교회성장학개론』.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95.
3. 국외서적
Anderson, G. H. Mission Legacy. Maryknoll/NY: Orbis Books, 1996.
Latourette, Kenneth Scott. The Great Centur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D. 1800-A.D. 1914. New York: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941.
Rouse, Ruth·Neil, Stephen C. A History of Ecumenical Movement, 1517-1948 Philadelphia: Westerminster Press, 1967.
4. 정기간행물
김명용. "교회의 본질 인식부터 회복해야 합니다". 『목회와 신학』. 서울: 도서출판 도란노, 2000년 4월호.
"카운트다운 1900". 협력선교 25호. 서울: 해외협력선교회, 1999.
추천자료
선교적 교회론 - 목민교회
셀교회에서 G 12교회로
명동성당 경동교회 새문안교회의 역사적, 종교적, 지리적 의미 탐구
교회론 - 교회의 본질 소논문
[감리교][감리교회][감리][기독교][신학][교육사업][의료사업][봉사활동]감리교회의 등장배경...
[장로][장로교][장로교회][기독교][장로 개념][장로교회 역사][장로교회 제도][장로교회 예배...
[감리교회][신앙][신학][선교][청년운동][의료사업]감리교회의 유래, 감리교회의 신앙, 감리...
[장로교회][장로교회 예배순서][장로교회 정치][미국 장로교회][한국 장로교회]장로교회의 역...
셀교회 리서치 보고서 - 풍성한 교회
[교회][기독교][교파][교파주의][헤게모니]교회(기독교) 교파와 교파주의, 교회(기독교) 교파...
[일제하 교회, 기독교, 민족구원사상]일제하 교회(기독교)의 전래, 일제하 교회(기독교)의 민...
[교회지도자론요약] 나는 한 교회에서 40년간 이렇게 목회했다 - 부록 : 교회 지도자론
작은교회에 대한 도전들 (작은교회 연구)
[한국교회사]한국 교회의 토착화(민중신학의 등장) - 선교의 역사와 민중신학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