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프로그램에 대한 자기 생각 (여인천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1. 대상 프로그램
2. 프로그램 선정 이유

Ⅱ. 본 론
1.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2. 프로그램의 장점
3. 프로그램의 단점
4. 프로그램에 대한 나의 생각

Ⅲ. 결 론
1. 우리 나라 방송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이번 글을 쓰면서 느끼게 된 점들


※참고 (이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주요연표 및 왕실가계도)

본문내용

자 의견"이라는 코너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의견의 소개가 아닌 새로 시작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소개나 주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성 내용이 대다수였으며, 그에 따른 구색 맞추기식의 프로그램 비평이 약간 포함되었을 뿐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방송이 개선해야 할 점은 무수히 많다고 할 것이다.
Ⅲ. 결 론
1. 우리 나라 방송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
방송의 내용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외국의 경우를 예
) http://www.ajou.ac.kr/~sks88/stm/sympo99/sympo99_8.htm
로 들어보자. 캐나다의 Television Fund는 공익자금의 거의 전액이 TV 프로그램과 영화제작에 투자되는 것으로 이는 사업자들 입장에서 보았을 때 자신들이 낸 세금(방송허가시 출연금, 방송사업권료 등)이 신규 프로그램에 재투자된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막대한 공익자금이 세금이란 명목으로 원천징수 당함으로써 프로그램 제작에 쓰여야 할 공익자금이 다른 분야에 사용되어 국내 프로그램 업자들의 불만을 사는 것을 생각해 봤을 때 캐나다의 TV Fund는 그 실효성이 더 크다. 프랑스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프랑스에서는 민간 프로그램 투자 조합이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에 투자하고 이에 대한 대응투자의 개념으로 공기금이 활용됨으로써 공기금이 민간투자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즉, 민간투자 비용이 커질수록 투자되는 공기금 역시 증가됨으로써 투자효과가 그만큼 증대되기 때문에 민간투자가 더욱 촉진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도 이와 같은 어떤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정부에서는 외국의 경우를 살펴보고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제도를 확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관련기구 설치와 더불어 민간 측면에서도 투자와 감시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하겠다.
그리고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앞서 말했던 정부의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방송사의 옴부즈만과 같은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며, 시청자들의 수준 높은 의식개혁과 방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2. 이번 글을 쓰면서 느끼게 된 점들
나는 이번 글을 쓰면서 단지 여인천하(女人天下)에만 국한되지 않고 방송 전반에 걸쳐 비판을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는 방송을 비판적으로 보지 않았다. 이번에 이 글을 쓰게 되면서 방송을 단순히 즐기기만 하던 시청자에서 조금은 방송을 비판하고 볼 수 있는 눈과 귀를 가지게 된 것 같다. 또한 방송이라는 매체가 소리 없이 우리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완벽할 수는 없겠지만 좀더 나은 방송을 볼 수 있었으면 하고 바란다.
※ 참 고 (이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주요연표 및 왕실가계도)
▤ 1506년 (중종원년) 중종(19세)반정으로 연산군 폐위
첫 번째 왕비 신씨가 즉위 8일만에 폐위됨.
▤ 1507년(중종2년) 승과 폐지
▤ 1510년(중종5년) 삼포왜란.
▤ 1513년(중종8년) 박영문의 반란. 전국에 어사파견
▤ 1515년(중종10년)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가 산후병으로 사망.
폐비 신씨의 복위문제로 공신파와 사림파의 대립함.
김안로 兩是論 제기.
조광조 과거급제.
▤ 1516년(중종11년) 도첩제 폐지.
▤ 1517년(중종12년) 중종과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 친영례
▤ 1518년(중종13년) 개혁정치를 내세운 조광조 권력 장악.
소격서 혁파.
▤ 1519년(중종14년) 기묘사화로 조광조사망(38세)
▤ 1520년(중종15년) 죽은 장경왕후의 아들로 세자책봉(후의 인종)
▤ 1522년(중종17년) 신사무옥(안당의 난)으로 사림중진세력축출.
▤ 1523년(중종18년) 김안로와 윤임이 세자빈 간택에 개입하여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부상.
김안로의 아버지 김전(영의정) 사망.
공신파와 경빈박씨의 탄핵으로 김안로 귀양.
▤ 1525년(중종20년) 나라에서 갓의 형식을 새로 정함.
▤ 1526년(중종21년) 전국에 전염병
▤ 1527년(중종22년) 공신파의 거두 영의정 남곤 사망.
▤ 1528년(중종23년) 작서의 변으로 경빈박씨 축출.
▤ 1529년(중종24년) 김안로 정계 복귀.
▤ 1531년(중종26년) 최후의 공신파 심정 축출됨. 김안로와 윤임등 세자파 득세.
▤ 1533년(중종28년) 윤원형 별시을과에 차상급제.
윤임이 임백령의 정인 옥매향을 소실로 맞음.
▤ 1534년(중종29년) 문정왕후,경원대군 출산(후에 명종)
관복의상을 명나라법제에 따름.
▤ 1537년(중종32년) 비음모사건으로 김안로,허항,채무택등 삼간흉 사사.
▤ 1542년(중종37년) 경원대군과 형조판서 심연원의 손녀딸이 혼례.
▤ 1543년(중종38년) 대윤파(윤임)과 소윤파(윤원형)간의 갈등격화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건립.
▤ 1544년(중종39년) 중종 사망(57세)
▤ 1545년(인종2년) 인종사망(31세)
(명종원년) 명종 즉위(12세) 문정왕후의 섭정시작
윤임파의 탄핵으로 윤원로 귀양(중도부처)
을사사화로 윤임일파 축출.
▤ 1546년(명종2년) 서화담 사망(1489-1546년)
▤ 1547년(명종3년) 벽서의 獄으로 윤임과 봉성군 사사.
윤춘원의 상소로 윤원로 사사
▤ 1550년(명종6년) 명종비 중전 심씨 순회세자출산
보우 득세. 승과부활.
▤ 1553년(명종9년) 명종(20세)의 친정 시작.
명종, 중전의 외척 이량을 등용시켜 윤원형 견제.
▤ 1555년(명종11년) 을묘왜변.
▤ 1559년(명종15년) 임꺽정 활동 시작. 팔도에 도적떼 창궐로 민심흉흉.
▤ 1560년(명종16년) 퇴계, 도산서원 세움.
▤ 1561년(명종17년) 순회세자의 세자빈 간택
▤ 1562년(명종18년) 임꺽정의 난 토벌.
▤ 1563년(명종19년) 순회세자 사망. 문정왕후 중종의 능침이장 주장.
심의겸(동인파)의 탄핵으로 이량 삭탈관직 후 귀양.
▤ 1565년(명종21년) 문정왕후 사망(65세).
보우, 제주 귀양지에서 장살됨. 윤원형과 난정 자살.
▤ 1567년(명종23년) 명종(34세)사망, 선조 즉위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