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근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의 특질
*모던디자인
*포스트모던에로의 흐름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포스트모던 디자인
*나오는 글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근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의 특질
*모던디자인
*포스트모던에로의 흐름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포스트모던 디자인
*나오는 글
본문내용
, 탈권위를 지향하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이다.
포스트모던 디자인
건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차이가 가장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건축이다.
현대 모더니즘 건축의 특징은 다분히 기능적이다. 그리고 육각형의 보편성을 지닌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은 그러한 특징 하나하나에 반기를 들면서 있다. 그 결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은 을 지니고 있다.전원적이며 개성적이고 독창적 특징
광고
여기서 또 다른 포스트모더니즘의 살펴보자.
그것은 이미지의 혼재(어떤 경우엔 광고대상이 생략되기도 한다.)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에스콰이아 포토폴리오 광고중 "I'm fool to want you"라는 곡이 흐른적이 있다. 이것이 전 시대의 광고와 확연히 다른 점은 "I'm fool to want you"가 포토폴리오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점이다."~껌이라면 역시 롯데껌","맛을 보고 맛을 아는 샘표간장"과는 달리 로고송에 대상이 없으면서도 "I'm fool to want you"를 듣고 에스콰이아 포토폴리오를 떠올리게 되는 것이다.
미술
포스트모더니즘의 미술은 지각에서 체험으로,'평면의 회화화'에서 '설치의 공간화'로 구축에서 해체로, 단일공간에서 복합공간으로, 그리고 형식에서 내용으로의 전환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다음 폐이지에 있는 사진을 참고하기 바란다.)
포스트모던디자인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이상주의로 부터의 탈피이다. 모더니즘이후의 디자이너들은 이성의 보편성에 회의를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후기산업사회로의 전환은 디자인의 양상을 상당부분 뒤흔들어 놓았다. 후기산업자본은 용도에 의해 결정되는 디자인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있지도 않는' 상품의 디자인을 요구한다. 일본 SONY사에서 세계시자의 80%정도를 소화하고 있는 캠코더를 디자인한 경우가 그 예가 될수있다. 또한 그 "용도가 아주 모호"한 경우 기능은 무엇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에 부닥치게 된다. 개이용 노트북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 기계의 모던적 관심에서의 기능적 본질과 이상은 너무나 혼재되어 있고 그 혼잡성은 앞으로 더해질 것이라 예상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상호텍스트적이다. 즉 디자인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예는 광고디자인에서 디자인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018통신 광고의 경우 세 남녀의 삼각관계를 드라마적으로 서술하여 018통신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게 하는 것이다.
상호테스트적이란 것은 연쇄적 signifiant 의 강조로 볼 수 있다. 그것의 내면에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극단적인예는 내면을 보고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전자제품에서 찾을 수 있다.
포스트모던디자인이 모던디자인을 반대하고 나온 측면이 많지만 그 표면 형식은 모던디자인의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광고디자인에서는 콜라주, 데칼코마니, 마블링 등등의 우연성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들을 그대로 반영한다. 그러나 포스트디자인이 추구하는 것은 모던에서처럼 우연성을 통한 이데아의 실현이 아니다. 반대로 그러한 우연성 자체를 찾는 것이다.
나오는 글
한국과 같은 제3세계에서는 바우하우스나 울름의 모더니즘적 고찰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서구에서 들어온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유입시기에 있어서 큰 시간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한국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존재해야만 할 개연성을 반감시킨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한국사회에서는 마치 모더니즘적 시기가 존재했다 듯이 잘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건축물이나 광고적 측면에 있어서 상당히 뚜렷한 양상을 보인다. 1990년대 지어지는 가정집은 한국의 옛담장을 연상시키듯, 낮아지고 내부가 훤히 보이는 방식으로 10여년 전의 건축과는 달리 변하였다. 최근에 세워진 여의도의 증권가의 건물도 네모꼴의 형상보다는 포스트모던적 이다.
끝으로 덧붙이고 싶은 말은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외래사조라고 비난하는 이들도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세계화의 과정 속에 생활하고 있으며 생활자체가 포스트모던적인 현실 속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낡은 전통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 속에 포스트모던니적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 자기가 아는 것만이 우리의 전통이라 고집하는 사이에 세계는 빠른 속도로 우리를 앞지르는 것이다.
이제는 포스트 모던이 다른 형태로 변모할 가능성이 실감되는 시대이다.
실패와 성공으로 이루어진 우리의 역사처럼 앞으로 디자인의 여러 문제에 있어서 더욱 신선하고 휴머니즘적인 이념이 나올 거라 기대한다.
포스트모던 디자인
건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차이가 가장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건축이다.
현대 모더니즘 건축의 특징은 다분히 기능적이다. 그리고 육각형의 보편성을 지닌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은 그러한 특징 하나하나에 반기를 들면서 있다. 그 결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은 을 지니고 있다.전원적이며 개성적이고 독창적 특징
광고
여기서 또 다른 포스트모더니즘의 살펴보자.
그것은 이미지의 혼재(어떤 경우엔 광고대상이 생략되기도 한다.)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에스콰이아 포토폴리오 광고중 "I'm fool to want you"라는 곡이 흐른적이 있다. 이것이 전 시대의 광고와 확연히 다른 점은 "I'm fool to want you"가 포토폴리오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점이다."~껌이라면 역시 롯데껌","맛을 보고 맛을 아는 샘표간장"과는 달리 로고송에 대상이 없으면서도 "I'm fool to want you"를 듣고 에스콰이아 포토폴리오를 떠올리게 되는 것이다.
미술
포스트모더니즘의 미술은 지각에서 체험으로,'평면의 회화화'에서 '설치의 공간화'로 구축에서 해체로, 단일공간에서 복합공간으로, 그리고 형식에서 내용으로의 전환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다음 폐이지에 있는 사진을 참고하기 바란다.)
포스트모던디자인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이상주의로 부터의 탈피이다. 모더니즘이후의 디자이너들은 이성의 보편성에 회의를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후기산업사회로의 전환은 디자인의 양상을 상당부분 뒤흔들어 놓았다. 후기산업자본은 용도에 의해 결정되는 디자인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있지도 않는' 상품의 디자인을 요구한다. 일본 SONY사에서 세계시자의 80%정도를 소화하고 있는 캠코더를 디자인한 경우가 그 예가 될수있다. 또한 그 "용도가 아주 모호"한 경우 기능은 무엇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에 부닥치게 된다. 개이용 노트북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 기계의 모던적 관심에서의 기능적 본질과 이상은 너무나 혼재되어 있고 그 혼잡성은 앞으로 더해질 것이라 예상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상호텍스트적이다. 즉 디자인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예는 광고디자인에서 디자인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018통신 광고의 경우 세 남녀의 삼각관계를 드라마적으로 서술하여 018통신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게 하는 것이다.
상호테스트적이란 것은 연쇄적 signifiant 의 강조로 볼 수 있다. 그것의 내면에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극단적인예는 내면을 보고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전자제품에서 찾을 수 있다.
포스트모던디자인이 모던디자인을 반대하고 나온 측면이 많지만 그 표면 형식은 모던디자인의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광고디자인에서는 콜라주, 데칼코마니, 마블링 등등의 우연성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들을 그대로 반영한다. 그러나 포스트디자인이 추구하는 것은 모던에서처럼 우연성을 통한 이데아의 실현이 아니다. 반대로 그러한 우연성 자체를 찾는 것이다.
나오는 글
한국과 같은 제3세계에서는 바우하우스나 울름의 모더니즘적 고찰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서구에서 들어온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유입시기에 있어서 큰 시간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한국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존재해야만 할 개연성을 반감시킨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한국사회에서는 마치 모더니즘적 시기가 존재했다 듯이 잘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건축물이나 광고적 측면에 있어서 상당히 뚜렷한 양상을 보인다. 1990년대 지어지는 가정집은 한국의 옛담장을 연상시키듯, 낮아지고 내부가 훤히 보이는 방식으로 10여년 전의 건축과는 달리 변하였다. 최근에 세워진 여의도의 증권가의 건물도 네모꼴의 형상보다는 포스트모던적 이다.
끝으로 덧붙이고 싶은 말은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외래사조라고 비난하는 이들도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세계화의 과정 속에 생활하고 있으며 생활자체가 포스트모던적인 현실 속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낡은 전통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 속에 포스트모던니적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 자기가 아는 것만이 우리의 전통이라 고집하는 사이에 세계는 빠른 속도로 우리를 앞지르는 것이다.
이제는 포스트 모던이 다른 형태로 변모할 가능성이 실감되는 시대이다.
실패와 성공으로 이루어진 우리의 역사처럼 앞으로 디자인의 여러 문제에 있어서 더욱 신선하고 휴머니즘적인 이념이 나올 거라 기대한다.
추천자료
[독후감] 신국원의 포스트모더니즘 독서감상문 - 기독교와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비되는 모더니즘의 특징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주의. 신표현주의의 정의와 각시대의 무용작품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의 계승과 대안
포스트모더니즘론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이해와 포스트모더니즘 작품 분석 및 비평과 논쟁 (이인화, 하일지 작...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전반적 분석]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와 역사, 교육적용, 의의, 한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에서의 특징서술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
[그림책][포스트모더니즘][유아언어교육][그림책의 읽어주기]그림책의 정의, 그림책의 특징, ...
[모더니즘][1930년대 시, 소설][1950년대 시]1930년대의 모더니즘 시, 1930년대의 모더니즘 ...
[개념미술][개념미술 정의][대지미술][포스트모더니즘][탈미니멀리즘]개념미술의 정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과 해결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