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변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원리

Ⅲ. 판구조론이 일어나고 있는 학설로 인정될 만한 증거

본문내용

이전까지 계속되었다. 이 충돌은 뉴잉글랜드에서 시작하여 캐나다 동부와 스코틀랜드를 거쳐 노르웨이로 연결되는 주요 습곡산맥대인 칼레도이아 산맥을 형성했다. 그후 북아메리카 대륙 남부는 남아메리카와 충돌했으며, 약간의 기간이 경과한 후 아프리카가 도달하여 남부 애팔래치아 산맥이 형성되었다. 한편 오른라의 중부 유럽과 서부를 이루고 있는 작은 크기이 대륙조각들도 빈 듬을 채워 Pangaea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설명은 대략 판구조론의 모델과 잘 부합되지만, 대륙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에도 조산대가 형성된 점과 퇴적물을 공급해준 작은 육괴가 해양중에 존재해야 한다는 점의 2가지 측면에 있어서는 맞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들은 쉽게 설명될 수 있다. 판의 충돌에는 해양판- 해양판의 충돌, 해양판-대륙판의 충돌, 대륙판-대륙판의 충돌과 같이 3가지의 가능한 경우가 있다.
처음 두가지 경우에서의 패양판은 다른 해양판이나 대륙판 밑으로 섭입해며 동시에 판의 말단부에서는 퇴적물과 현무암질 해양지각의 변형이 일어난다. 남서 태평양의 뉴해브리디스호상열도는 해양판과 해양판의 충돌이 일어난 예이며,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은 오랜 기간에 걸쳐 해양판과 대륙판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 생긴 조산대이다.
인도 북부와 중국에 위치하는 인더스-히말라야-티벳지역은 인도와 아시아 사이에 존재하던 모든 해양지각들이 소모되어 대륙말단부를 갖는 2개의 판이 서로 만나게 된 시기인 약 4,000만 년전에 시작된 대륙과 대륙이 충돌에 의해 형성되었다. 충돌의 결과로 아시아의 암석권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서부에 분포하는 대규모의 주향이동단층을 따라 전위되었다.한편 히말라야 산맥은 충돌이 끝난 이후에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이 유라시아 판의 밑으로 들어가면서 형성되었다.
1. 인도 대륙이 아시아 쪽으로 이동
2. 인도 대륙이 아시아 대륙 밑으로 계속해서 드러감에 따라
주향이동 단층이 형성되고 지진이 발생
(6) 그 외의 증거
곤드와나 대륙에 발생하였던 선캠브리아의 빙하의 증거, 남미 대륙과 아프리카 사이의 산맥과 순상지의 연결을 들 수 있다.
참고서적
지구과학개론 - 교문사 - 1987 - 곽 종흠 外
지구과학개론 - - -
지질학개론 - 박문사 - 1994 - 정 창희
지질학원론 - 우성문화사 - 1989 - 김 정환 外
지형학 - 법문사 - 1984 - 권 혁재
브리태니커백과사전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 1994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