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도봉(道峯)
학습목표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더 읽어야 할 작품
본문내용
비하여 더욱 관념적이다. 그의 시는 언젠가는 올 메시아에 대한 찬미로 차 있다고 볼 수 도 있을 뿐이며, 이 점에 있어 그의 자연은 조지훈, 박목월이 노래한 자연과 차이가 있다. 그런 면에서 그는 이상주의자요, 뒤에 그가 사회적 불의에 항거해서 사회 정의를 부르짖는 시를 쓰게 된 사실도 이 문맥에서 이해된다.
더 읽을 거리
박두진의 '청산도(靑山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