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활권(Biosphere)과 자원
2. 수권과 생물
3. 수권동물의 생활과 환경(어류를 중심으로)
4. 참고문헌
2. 수권과 생물
3. 수권동물의 생활과 환경(어류를 중심으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90% 정도)
- 분자식 C30H50의 탄화수소이고, 융점은 - 75℃ 이므
로 체내에서 항상 액상의 기름상태로 존재
㉡ wax ester : - 폐어류에 존재
- 저밀도 지방산
2) 빛
■ 해산동물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 먹이관계에 영향
- 낮과 밤의 주기적 변화, 계절적 변화에 따라 영향
예) 수산생물의 산란, 이동, 행동, 반응
★ 참고 ; 장일성어류(long-day fish)
단일성어류(short-day fish)
주광성(phototaxis) - positive phototaxis
- negative phototaxis
3) 수 온
■ 해수(바닷물)의 수온 변동폭은 육수(담수)환경보다 작다.
예외) 하구역
■ 수온은 수산생물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해양환경요인
예) 생물의 생존, 번식, 산란, 성장, 분포
★ 참고 ; 대부분의 해산생물은 변온동물(poikilotherm)
조류, 포유류은 항온동물(homeotherm)
■ 변온동물은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남
예) 어류의 경우 ; 피부신경세포내에 온도수용기가 있어 0.03∼0.07℃범위
의 온도차를 감지
■ 해양생물은 종류에 따라 생활 가능한 수온범위가 있음
예) 열대성, 온수성, 냉수성
★ 참고 ; 광온성(eurythermal)→ 온도에 대한 내성범위가 넓은 생물
예) 온수성생물(잉어, 붕어)
협온성(stenothermal)→ 온도에 대한 내성범위가 좁은 생물
예) 열대성생물(산호초, 열대어)
냉수성생물(연어, 송어)
■ 수온의 변화는 어류에게 다음과 같은 면에 영향을 줌
① 신경자극
② 신진대사
③ 행동
④ 섭이율 등등
4) 염 분
■ 대양(외해)은 염분의 변화가 비교적 안정
- 염분에 의한 수산생물의 영향은 거의 없다.
■ 연안수역은 담수유입에 의해 염분의 변화폭이 큼
- 외해역에 비해 염분내성이 강한 생물이 서식, 분포
- 여름철 우기시 조간대지역의 부착생물 대량 폐사
☞ 삼투압조절 실패
★ 참고 ; 광염성(euryhaline)→ 염분에 대한 내성범위가 넓은 생물
예) 연안생물
협염성(stenohaline)→ 염분에 대한 내성범위가 좁은 생물
예) 외해생물
4. 참고문헌
- 고철환 외 9명, 해양생물학. pp. 39-72.
- Peter, B. Moyle, Fishes(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pp. 383-393.
- R. J. Wootton, Fish Ecology. pp. 25-32.
- 분자식 C30H50의 탄화수소이고, 융점은 - 75℃ 이므
로 체내에서 항상 액상의 기름상태로 존재
㉡ wax ester : - 폐어류에 존재
- 저밀도 지방산
2) 빛
■ 해산동물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 먹이관계에 영향
- 낮과 밤의 주기적 변화, 계절적 변화에 따라 영향
예) 수산생물의 산란, 이동, 행동, 반응
★ 참고 ; 장일성어류(long-day fish)
단일성어류(short-day fish)
주광성(phototaxis) - positive phototaxis
- negative phototaxis
3) 수 온
■ 해수(바닷물)의 수온 변동폭은 육수(담수)환경보다 작다.
예외) 하구역
■ 수온은 수산생물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해양환경요인
예) 생물의 생존, 번식, 산란, 성장, 분포
★ 참고 ; 대부분의 해산생물은 변온동물(poikilotherm)
조류, 포유류은 항온동물(homeotherm)
■ 변온동물은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남
예) 어류의 경우 ; 피부신경세포내에 온도수용기가 있어 0.03∼0.07℃범위
의 온도차를 감지
■ 해양생물은 종류에 따라 생활 가능한 수온범위가 있음
예) 열대성, 온수성, 냉수성
★ 참고 ; 광온성(eurythermal)→ 온도에 대한 내성범위가 넓은 생물
예) 온수성생물(잉어, 붕어)
협온성(stenothermal)→ 온도에 대한 내성범위가 좁은 생물
예) 열대성생물(산호초, 열대어)
냉수성생물(연어, 송어)
■ 수온의 변화는 어류에게 다음과 같은 면에 영향을 줌
① 신경자극
② 신진대사
③ 행동
④ 섭이율 등등
4) 염 분
■ 대양(외해)은 염분의 변화가 비교적 안정
- 염분에 의한 수산생물의 영향은 거의 없다.
■ 연안수역은 담수유입에 의해 염분의 변화폭이 큼
- 외해역에 비해 염분내성이 강한 생물이 서식, 분포
- 여름철 우기시 조간대지역의 부착생물 대량 폐사
☞ 삼투압조절 실패
★ 참고 ; 광염성(euryhaline)→ 염분에 대한 내성범위가 넓은 생물
예) 연안생물
협염성(stenohaline)→ 염분에 대한 내성범위가 좁은 생물
예) 외해생물
4. 참고문헌
- 고철환 외 9명, 해양생물학. pp. 39-72.
- Peter, B. Moyle, Fishes(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pp. 383-393.
- R. J. Wootton, Fish Ecology. pp. 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