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약물남용의 개념
2. 마약류 및 약물의 종류 및 폐해
3. 약물남용의 원인
4. 약물남용의 요인
5. 청소년 약물남용사례
6. 약물남용 현황
7. 약물남용 관련 프로그램
8. 약물남용의 대책
<토의내용>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2. 마약류 및 약물의 종류 및 폐해
3. 약물남용의 원인
4. 약물남용의 요인
5. 청소년 약물남용사례
6. 약물남용 현황
7. 약물남용 관련 프로그램
8. 약물남용의 대책
<토의내용>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제한 및 판매인의 교육과 아울러 관계기관이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단속과 점검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하여 법이 실효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유해물질에의 접근성을 차단하는 조치를 강구하도록 해야 한다.
5) 마약류 관련 대책기구
현대의 약물남용 현상은 미국에서부터 비롯되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월남전쟁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반전시위는 기성세대에 반기를 들고 시위의 상징물질을 약물로 삼았다. 대학생들의 약물남용이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들에게까지 옮겨갔고, 해외 주둔 미군들에 의해 전세계에 번지게 되었다.
이에 미국에서는 1974년 국립약물남용연구소를 설립하여 약물남용에 관한 연구, 교육, 훈련, 예방, 치료 및 재활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고 있으며, 대통령직속으로 백악관약물남용정책실, 법무부 산하에 약물남용법규시행청 등 정부의 여러 부서가 약물남용 억제를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나라는 아직 약물남용에 관한 정책을 조정, 통제할 수 있는 중앙기구가 없으므로, 미국과 같이 정책 조정, 통제기구를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직속으로 설치하여 약물남용에 대하여 효육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
6) 교육·계몽활동의 강화
약물남용 억제를 위한 교육·계몽활동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학교교육에 있어서는 별도의 약물교육 프로그램을 두어 예방교육을 실시하거나 정규 교과목의 내용 속에 약물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켜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교육은 정부기관 또는 사회단체에서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계몽영화·비디오·슬라이드 상영, 약물중독 경험자의 체험담 소개, 강연회 개최 등의 방법과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텔레비젼을 통한 홍보, 홍보책자·포스터 제작 배포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7) 각종 운동을 통한 개발 활동
약물 오·남용의 위험성과 폐허에 관해서 청소년을 포함한 국민 일반에 대한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매년 봄과 가을에 약물남용방지 홍보강화의 달을 정하여 실시한다. 청소년비행을 방지하는 운동, 사회를 밝게하는 운동 등 관련 있는 각종 운동이 실시되는 경우에 약물 오·남용방지에 관한 홍보 및 개발을 해야 한다.
또한 관계기관 및 단체는 조직의 발단에 이르기까지 홍보활동을 전개하여 국민 전체의 운동으로서 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8) 국제협력의 추진
마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의 추진에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UN마약위원회, 마약단속기관장회의 등 국제적인 각종 회의에 참가하여 적극적으로 토의 및 의견을 교환하며, 남용 약물에 관한 해외정보의 수집 등에 관한 시스템의 정비에 충실을 기해야 할 것이다.
※ 토의내용
1. 고등학교에서 일반화된 흡연과 음주는 통제해야하는가?
2. 유흥업소 출입제한에 있어 기존 20세에서 18세로 낮춘 청소년보호법의 문제점은?
3. 여성의 흡연과 음주 약물남용에 있어서?
4. 우리나라의 청소년에 있어서 약물 남용 교육에 관한 문제점?
5. 약물 중독자의 재활에 있어서 현행 우리나라가 세워야할 방향성은?
▶ 참고문헌 ◀
- 진혜경·신지용, 1999 / 청소년 물질 남용과 정신병리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3:14∼20
- 홍경자(역), 1996 / 십대의 적극적 부모 역할 / 한국심리교육센터 출판부
-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학술집담회 자료집 및 세미나 자료
- 최일섭·최성재 공편, 1996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나남 출판사
- 연목사회복지관, 1995 / 청소년 약물남용 상담 메뉴얼 / 연목사회복지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청소년 약물 오.남용 실태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 1998 /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와 예방 / 체육부
- 김준호·덕성여대 사회과학연구소, 1995 /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사회과학연구
- 서원 / 청소년 문제론 / 한국청소년 개발원
- 김정한·류동균, 1992 / 청소년들의 흡연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안동시 남자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김재은외 4인, 1992 / 중학교 약물 예방을 위한 모형개발
- 한국문화 연구원
- 강윤주, 1996 / 청소년 흡연과 관련된 요인(서울시 일부 남녀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장상희 / 한국의 청소년 약물남용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 이춘재 / 청년심리학 / 중앙적성 출판사
- 김헌수, 1985 / 청소년과 약물사용 / 의학신보
- 김헌수·김현실, 1998 / 청소년 약물남용의 상관요인 / 중독정신의학 Vol2, No1. pp. 76∼81
- 문화체육부, 1994 / 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
- 민병근·백병기, 1981 / 비행청소년의 약물사용 빈도 및 약물사용 양상에 관한 사회정신의학적 연구 / 신경정신의학 20. pp.234∼238
- 박병현, 1995 / 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적 원인분석 /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처우에 관한 세미나 자료집(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서울 YMCA 동대문지회 청소년 약물 상담실, 1998 / 청소년 유해약물에 관한 연구
- 오동열, 1999 / 학교 청소년 약물 오.남용 예방교육 교재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덕기, 1996 / 한국의 청소년 약물남용의 현황과 치료 / 청소년 약물남용 WORK-SHOP 자료집(양산병원)
- 주왕기·김경빈·이숙영·맹영진, 1996 / 청소년 약물상담 / 청소년 대화의 광장
- 한국마약퇴치 운동본부, 1998 /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조사 결과 / 마약없는 밝은 사회(13호) pp.6∼8
- 한국청소년학회, 1993 /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 지도서 / 문화체육부
- 부산일보 1996년 5월 31일자
-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조현무, 김종철, 허윤, 황성근
- 이정애·정희숙 / 청소년들의 약물 사용실태에 대한 문헌적 연구 / 최신의학 38:1105
- 정성훈 / 청소년의 흡입제 남용
▶ 참고사이트 ◀
http://rich.shonnam.ac.kr/HRIC/health/drug.htm
http://social.chonbuk.ac.kr/department/doc/약물남용문제.htm
http://drchoi.pe.kr/adoldrug.htm
5) 마약류 관련 대책기구
현대의 약물남용 현상은 미국에서부터 비롯되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월남전쟁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반전시위는 기성세대에 반기를 들고 시위의 상징물질을 약물로 삼았다. 대학생들의 약물남용이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생들에게까지 옮겨갔고, 해외 주둔 미군들에 의해 전세계에 번지게 되었다.
이에 미국에서는 1974년 국립약물남용연구소를 설립하여 약물남용에 관한 연구, 교육, 훈련, 예방, 치료 및 재활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고 있으며, 대통령직속으로 백악관약물남용정책실, 법무부 산하에 약물남용법규시행청 등 정부의 여러 부서가 약물남용 억제를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나라는 아직 약물남용에 관한 정책을 조정, 통제할 수 있는 중앙기구가 없으므로, 미국과 같이 정책 조정, 통제기구를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직속으로 설치하여 약물남용에 대하여 효육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
6) 교육·계몽활동의 강화
약물남용 억제를 위한 교육·계몽활동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학교교육에 있어서는 별도의 약물교육 프로그램을 두어 예방교육을 실시하거나 정규 교과목의 내용 속에 약물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켜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교육은 정부기관 또는 사회단체에서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계몽영화·비디오·슬라이드 상영, 약물중독 경험자의 체험담 소개, 강연회 개최 등의 방법과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텔레비젼을 통한 홍보, 홍보책자·포스터 제작 배포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7) 각종 운동을 통한 개발 활동
약물 오·남용의 위험성과 폐허에 관해서 청소년을 포함한 국민 일반에 대한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매년 봄과 가을에 약물남용방지 홍보강화의 달을 정하여 실시한다. 청소년비행을 방지하는 운동, 사회를 밝게하는 운동 등 관련 있는 각종 운동이 실시되는 경우에 약물 오·남용방지에 관한 홍보 및 개발을 해야 한다.
또한 관계기관 및 단체는 조직의 발단에 이르기까지 홍보활동을 전개하여 국민 전체의 운동으로서 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8) 국제협력의 추진
마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의 추진에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UN마약위원회, 마약단속기관장회의 등 국제적인 각종 회의에 참가하여 적극적으로 토의 및 의견을 교환하며, 남용 약물에 관한 해외정보의 수집 등에 관한 시스템의 정비에 충실을 기해야 할 것이다.
※ 토의내용
1. 고등학교에서 일반화된 흡연과 음주는 통제해야하는가?
2. 유흥업소 출입제한에 있어 기존 20세에서 18세로 낮춘 청소년보호법의 문제점은?
3. 여성의 흡연과 음주 약물남용에 있어서?
4. 우리나라의 청소년에 있어서 약물 남용 교육에 관한 문제점?
5. 약물 중독자의 재활에 있어서 현행 우리나라가 세워야할 방향성은?
▶ 참고문헌 ◀
- 진혜경·신지용, 1999 / 청소년 물질 남용과 정신병리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3:14∼20
- 홍경자(역), 1996 / 십대의 적극적 부모 역할 / 한국심리교육센터 출판부
-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학술집담회 자료집 및 세미나 자료
- 최일섭·최성재 공편, 1996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나남 출판사
- 연목사회복지관, 1995 / 청소년 약물남용 상담 메뉴얼 / 연목사회복지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청소년 약물 오.남용 실태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 1998 /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와 예방 / 체육부
- 김준호·덕성여대 사회과학연구소, 1995 /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사회과학연구
- 서원 / 청소년 문제론 / 한국청소년 개발원
- 김정한·류동균, 1992 / 청소년들의 흡연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안동시 남자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김재은외 4인, 1992 / 중학교 약물 예방을 위한 모형개발
- 한국문화 연구원
- 강윤주, 1996 / 청소년 흡연과 관련된 요인(서울시 일부 남녀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장상희 / 한국의 청소년 약물남용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 이춘재 / 청년심리학 / 중앙적성 출판사
- 김헌수, 1985 / 청소년과 약물사용 / 의학신보
- 김헌수·김현실, 1998 / 청소년 약물남용의 상관요인 / 중독정신의학 Vol2, No1. pp. 76∼81
- 문화체육부, 1994 / 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
- 민병근·백병기, 1981 / 비행청소년의 약물사용 빈도 및 약물사용 양상에 관한 사회정신의학적 연구 / 신경정신의학 20. pp.234∼238
- 박병현, 1995 / 청소년 약물남용의 사회적 원인분석 / 청소년 약물남용의 실태, 처우에 관한 세미나 자료집(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서울 YMCA 동대문지회 청소년 약물 상담실, 1998 / 청소년 유해약물에 관한 연구
- 오동열, 1999 / 학교 청소년 약물 오.남용 예방교육 교재 /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덕기, 1996 / 한국의 청소년 약물남용의 현황과 치료 / 청소년 약물남용 WORK-SHOP 자료집(양산병원)
- 주왕기·김경빈·이숙영·맹영진, 1996 / 청소년 약물상담 / 청소년 대화의 광장
- 한국마약퇴치 운동본부, 1998 /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조사 결과 / 마약없는 밝은 사회(13호) pp.6∼8
- 한국청소년학회, 1993 /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 지도서 / 문화체육부
- 부산일보 1996년 5월 31일자
-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조현무, 김종철, 허윤, 황성근
- 이정애·정희숙 / 청소년들의 약물 사용실태에 대한 문헌적 연구 / 최신의학 38:1105
- 정성훈 / 청소년의 흡입제 남용
▶ 참고사이트 ◀
http://rich.shonnam.ac.kr/HRIC/health/drug.htm
http://social.chonbuk.ac.kr/department/doc/약물남용문제.htm
http://drchoi.pe.kr/adoldrug.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