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작하는 말
2.산업사회의 모습
3.정보사회와 지식사회는 동전의 양면
4.남자는 도태되는 종, 성차별 해소
5.지식사회는 다원사회
6.지식경영, 명령과 통제의 종말
7.정보수집능력·지식가공능력·학습능력
2.산업사회의 모습
3.정보사회와 지식사회는 동전의 양면
4.남자는 도태되는 종, 성차별 해소
5.지식사회는 다원사회
6.지식경영, 명령과 통제의 종말
7.정보수집능력·지식가공능력·학습능력
본문내용
중하고, 핵심역량만 남기고, 자기가 잘못하는 나머지 분야는 아웃소싱(outsourcing)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식기업의 경영전략은 바로 지식공유 전략입니다.
노나카 이쿠지로는, "기업안에서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도록 장(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현재 최고점에 와 있는 미국의 뉴 이코노미(신경제)는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정보축적과 공유, 지원을 주축으로 하고 있으나 지식경영은 이 단계를 넘어 지식창조와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을 궁극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보수집능력·지식가공능력·학습능력
그런 정보·지식사회에서 승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은 3가지입니다.
첫째, 지식과 정보의 수집능력입니다. 백수십년 전에는 전쟁 정보를 남보다 한발 앞서 수집하기 위해 비둘기를 날려보냈지만, 지금은 브리타니카 사전 33권 1질을 단 2초만에 전송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고대사회에서 사용하던 연기 신호를 이용하여 일기 예보를 설명하는 53개의 단어를 만드는 데는 약 7분이 소요됩니다. 2시간짜리 영화를 연기 신호로 보낸다면 반세기가 걸릴 것입니다. 오늘날의 전화선은 연기 신호보다 6만배 더 빠르고, 동축 케이블과 인공위성을 연결하면 5십만배 더 빠릅니다. 현재 실험 중에 있는 최상의 광섬유는 1조배나 더 빠르다고 합니다. 대역폭(bandwidth)이 지니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한계는 압축(compression)이라는 기술을 통해 극복됩니다. 이런 시대에는 정보의 소재파악능력(know-where)과 정보에 대한 접근능력(access ability)이 중요합니다.
둘째, 그 정보와 지식들을 가공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지식가공능력입니다. 피터 드러커 교수는 "한국은 땀과 근육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이미 모두 달성했으므로, 앞으로는 지식을 이용하여 선진국을 상대로 경쟁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기억력이 아니라 창의력과 응용력이 더 강조되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끊임없이 배우는 학습능력이다. 오늘 최첨단 기술이 내일이면 무용지물이 되는 세상입니다. 사무용 기기를 예로 들면, 필자가 30년 전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할 때는 주판으로 일을 했지만, 그후 전자계산기로, 메인컴퓨터로, 미니컴퓨터로, 지금은 PC나 휴대용 컴퓨터로 하고 있다. 그것도 매 2∼3년마다 신제품이 나오는데, 다아는 바와 같이, 그때마다 가격은 더 싸고 성능은 더 좋아지고 있습니다.
지식사회의 3가지 능력을 다시 한번 요약하면, 지식의 수집능력, 가공능력, 그리고 학습능력입니다.
맺는 말
피터 드러커의 최근 저서 『21세기 지식경영』(Management Challenges for 21st Century)에서 한 구절을 인용하면서 제 말씀을 마치겠습니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대혼란 시대에 변화는 하나의 규범이다. 그것은 고통스럽고 위험스러우며, 무엇보다 엄청나게 고된 작업을 요구한다. 그러나 변화의 추구를 조직이 수행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지 않으면 그 조직이 국가이든, 기업이든, 대학이든, 병원이든 간에 생존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단언합니다. 「과거에의 집착은 곧 미래의 낙오자」라는 뜻이지요.
사회가 채집수렵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사회가 변할 때마다 그 시대와 사회의 승자는, 「과거와 단절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사람」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생산요소의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인류의 모델은, 채집수렵사회의 사냥꾼에서 시작하여, 농경사회의 농사꾼으로, 산업사회의 기계공과 사무원으로, 그리고 정보·지식사회의 글로벌 지식근로자로 변신하고 있는 것입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노나카 이쿠지로는, "기업안에서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도록 장(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현재 최고점에 와 있는 미국의 뉴 이코노미(신경제)는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정보축적과 공유, 지원을 주축으로 하고 있으나 지식경영은 이 단계를 넘어 지식창조와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을 궁극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보수집능력·지식가공능력·학습능력
그런 정보·지식사회에서 승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은 3가지입니다.
첫째, 지식과 정보의 수집능력입니다. 백수십년 전에는 전쟁 정보를 남보다 한발 앞서 수집하기 위해 비둘기를 날려보냈지만, 지금은 브리타니카 사전 33권 1질을 단 2초만에 전송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고대사회에서 사용하던 연기 신호를 이용하여 일기 예보를 설명하는 53개의 단어를 만드는 데는 약 7분이 소요됩니다. 2시간짜리 영화를 연기 신호로 보낸다면 반세기가 걸릴 것입니다. 오늘날의 전화선은 연기 신호보다 6만배 더 빠르고, 동축 케이블과 인공위성을 연결하면 5십만배 더 빠릅니다. 현재 실험 중에 있는 최상의 광섬유는 1조배나 더 빠르다고 합니다. 대역폭(bandwidth)이 지니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한계는 압축(compression)이라는 기술을 통해 극복됩니다. 이런 시대에는 정보의 소재파악능력(know-where)과 정보에 대한 접근능력(access ability)이 중요합니다.
둘째, 그 정보와 지식들을 가공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지식가공능력입니다. 피터 드러커 교수는 "한국은 땀과 근육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이미 모두 달성했으므로, 앞으로는 지식을 이용하여 선진국을 상대로 경쟁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기억력이 아니라 창의력과 응용력이 더 강조되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끊임없이 배우는 학습능력이다. 오늘 최첨단 기술이 내일이면 무용지물이 되는 세상입니다. 사무용 기기를 예로 들면, 필자가 30년 전 처음으로 직장생활을 할 때는 주판으로 일을 했지만, 그후 전자계산기로, 메인컴퓨터로, 미니컴퓨터로, 지금은 PC나 휴대용 컴퓨터로 하고 있다. 그것도 매 2∼3년마다 신제품이 나오는데, 다아는 바와 같이, 그때마다 가격은 더 싸고 성능은 더 좋아지고 있습니다.
지식사회의 3가지 능력을 다시 한번 요약하면, 지식의 수집능력, 가공능력, 그리고 학습능력입니다.
맺는 말
피터 드러커의 최근 저서 『21세기 지식경영』(Management Challenges for 21st Century)에서 한 구절을 인용하면서 제 말씀을 마치겠습니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대혼란 시대에 변화는 하나의 규범이다. 그것은 고통스럽고 위험스러우며, 무엇보다 엄청나게 고된 작업을 요구한다. 그러나 변화의 추구를 조직이 수행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지 않으면 그 조직이 국가이든, 기업이든, 대학이든, 병원이든 간에 생존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단언합니다. 「과거에의 집착은 곧 미래의 낙오자」라는 뜻이지요.
사회가 채집수렵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사회가 변할 때마다 그 시대와 사회의 승자는, 「과거와 단절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사람」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생산요소의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인류의 모델은, 채집수렵사회의 사냥꾼에서 시작하여, 농경사회의 농사꾼으로, 산업사회의 기계공과 사무원으로, 그리고 정보·지식사회의 글로벌 지식근로자로 변신하고 있는 것입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지식사회와 자기관리
지식의 종류(물리적지식 논리수학적지식 사회적지식)
지식사회란 무엇인가
사회운동과 사회과학지식
[지식사회 대학교육]지식사회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 분석(지식사회와 조직사회...
[인간자원개발]지식기반사회 인간자원개발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직종][일][직업][직업능력][직종][21세기 직업세계][신직업][직업 전망][유망직업][유망직종...
직업의 의미, 직업의 현대적 의의, 변화하는 직업 세계, 직업관의 의미와 유형, 직업변화에 ...
사회적 특성의 변화 - 지식사회 리더십
[잠재][잠재의식][잠재GDP][잠재국내총생산][지식기반사회][심리검사]잠재와 잠재의식, 잠재...
[행정구조, 연성적 행정구조, 문화행정구조]행정구조와 연성적 행정구조, 행정구조와 권위주...
[노사문화]노사문화의 중요성, 노사문화의 지식사회화, 노사문화의 사례1(LG전자, 엘지전자),...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과거에 비해 달라진점과 이유를 쓰시오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과거에 비해 달라진 점은 무엇이며 달라진 이유를 쓰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