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노인복지시설 호스피스 의의와 서비스 종류
1. 노인시설 호스피스 서비스의 의의
2. 노인시설 호스피스 서비스의 종류
Ⅲ. 노인복지시설 호스피스와 지역사회연계망
Ⅳ. 연구방법
Ⅴ. 결과분석
VI.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Ⅱ. 노인복지시설 호스피스 의의와 서비스 종류
1. 노인시설 호스피스 서비스의 의의
2. 노인시설 호스피스 서비스의 종류
Ⅲ. 노인복지시설 호스피스와 지역사회연계망
Ⅳ. 연구방법
Ⅴ. 결과분석
VI.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1
36
24
20
4
25
26
31
3
10
중복응답
(2) 시설장비 및 구성
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실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로 시설의 환경적인 면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데 노인복지시설에서 이미 보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시설 및 장비현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표 17>에서 보듯이 대부분 노인시설에서는 아래와 같은 시설들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시설 및 장비를 활용하는 것은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노인시설이라는 특수성으로 노인들이 사망했을 때 장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많기 때문에 임종실, 영안실, 장의용차량을 구비하고 있는 일부의 시설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시설 장비현황은 실제 호스피스기관의 장비 및 시설현황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있어(윤은경, 2001) 노인시설에서 호스피스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표 18> 노인시설의 장비 및 시설현황
빈 도
침대 및 기본물품
상담실
목욕시설
임종실
영안실
식당
예배실 및 기도실
작업치료실
정원
간호사실
산책로
물리치료실
가족공간
회의실
이송용차량
휠체어
장의용차량
에어매트리스
사무실
자원봉사자실
88
85
96
24
47
96
60
37
80
93
70
95
31
60
70
97
7
74
98
53
중복응답
VI. 결론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복지시설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초자료와 앞으로 호스피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려고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 실시여부를 살펴본 결과 많은 시설들이 시설내 프로그램이나 단순한 영적케어로 활용하고 있었으나, 일부 시설의 경우에는 시행할 공간부족 등을 이유로 시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둘째, 시설관리자에게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거의 대부분은 좋은 프로그램으로 생각하여 시행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서비스 제공시 운영재정을 고려하여 일반노인에 대한 이용료를 질문한 결과, 병원보다는 저렴해야 하지만 현실적인 요금수준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스피스에 대한 의료보험수가 제도화라든지 호스피스 제공기관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이 거의 없는 것이 그 이유가 되고 있다.
셋째, 서비스 종류를 보면 호스피스를 제공하고 있는 시설과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 두 집단 모두 신체간호와 약물투여, 영적케어와 정서적지지 등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결과는 일반 호스피스 기관의 서비스 내용과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노인복지시설에서는 일반 호스피스 기관과 두드러진 서비스종류로 일상생활수발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에 대한 노인들의 욕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을 조사한 결과, 노인시설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으로 직원의 구성이 중요한데 실제로 노인들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직원으로는 시설직원들 모두가 해당이 되었으며, 시설에 질문한 결과도 모든 시설직원이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시설에서 구비되어 사용하고 있는 장비 역시 일반 호스피스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비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윤은경, 2001)으로 나타나 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 실현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복지시설의 확충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시설에서 임종을 준비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인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노인복지시설의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으로는 정부의 제도화, 보조금지원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실천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노인복지시설협회 등의 민간단체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표준화시켜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보건복지부(1998), 『호스피스 정보서비스 시스템 개발』.
양옥경(2000),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엄영란(1994),“말기환자 간호에서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은경(2001), “노인복지시설의 호스피스 운영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윤진영(1998),“호스피스활동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사례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향숙(2000),“우리나라 호스피스 Social Worker의 역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천영호(2000),“한국 호스피스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통계청(2000), 연령별 사망자수.
______(2001), 장래인구추계.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2001), 연도별 시설노인 사망자수.
황나미(1995), 『말기환자 관리를 위한 호스피스의 제도화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黑川由紀子 編(1998), 『老いの臨床心理』, 日本評論社.
Becker, Janet E.(1999),“Oncology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Hospice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Larry, Bent J. and Nackerud, Boyle D.(1997),“Hospice Care in Nursing Homes : Differential Utilization of Hospice Services in Nursing Homes". The Hospice Journal. 12(3). pp.4 1∼57.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1994), State Operations Manual.
National Hospice Organization.(1997), Hospice Operations Manual.
http://www.familydoctor.org/handouts/250.html
http://www.inh.co.jp/handpcu/kaiin.html
36
24
20
4
25
26
31
3
10
중복응답
(2) 시설장비 및 구성
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실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로 시설의 환경적인 면을 고려할 수 밖에 없는데 노인복지시설에서 이미 보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시설 및 장비현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표 17>에서 보듯이 대부분 노인시설에서는 아래와 같은 시설들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시설 및 장비를 활용하는 것은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노인시설이라는 특수성으로 노인들이 사망했을 때 장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많기 때문에 임종실, 영안실, 장의용차량을 구비하고 있는 일부의 시설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시설 장비현황은 실제 호스피스기관의 장비 및 시설현황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있어(윤은경, 2001) 노인시설에서 호스피스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표 18> 노인시설의 장비 및 시설현황
빈 도
침대 및 기본물품
상담실
목욕시설
임종실
영안실
식당
예배실 및 기도실
작업치료실
정원
간호사실
산책로
물리치료실
가족공간
회의실
이송용차량
휠체어
장의용차량
에어매트리스
사무실
자원봉사자실
88
85
96
24
47
96
60
37
80
93
70
95
31
60
70
97
7
74
98
53
중복응답
VI. 결론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복지시설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초자료와 앞으로 호스피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려고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 실시여부를 살펴본 결과 많은 시설들이 시설내 프로그램이나 단순한 영적케어로 활용하고 있었으나, 일부 시설의 경우에는 시행할 공간부족 등을 이유로 시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둘째, 시설관리자에게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거의 대부분은 좋은 프로그램으로 생각하여 시행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서비스 제공시 운영재정을 고려하여 일반노인에 대한 이용료를 질문한 결과, 병원보다는 저렴해야 하지만 현실적인 요금수준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스피스에 대한 의료보험수가 제도화라든지 호스피스 제공기관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이 거의 없는 것이 그 이유가 되고 있다.
셋째, 서비스 종류를 보면 호스피스를 제공하고 있는 시설과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 두 집단 모두 신체간호와 약물투여, 영적케어와 정서적지지 등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결과는 일반 호스피스 기관의 서비스 내용과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노인복지시설에서는 일반 호스피스 기관과 두드러진 서비스종류로 일상생활수발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에 대한 노인들의 욕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을 조사한 결과, 노인시설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으로 직원의 구성이 중요한데 실제로 노인들이 서비스를 제공받은 직원으로는 시설직원들 모두가 해당이 되었으며, 시설에 질문한 결과도 모든 시설직원이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시설에서 구비되어 사용하고 있는 장비 역시 일반 호스피스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비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윤은경, 2001)으로 나타나 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 실현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복지시설의 확충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시설에서 임종을 준비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인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노인복지시설의 호스피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으로는 정부의 제도화, 보조금지원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실천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노인복지시설협회 등의 민간단체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표준화시켜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보건복지부(1998), 『호스피스 정보서비스 시스템 개발』.
양옥경(2000),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엄영란(1994),“말기환자 간호에서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은경(2001), “노인복지시설의 호스피스 운영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윤진영(1998),“호스피스활동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사례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향숙(2000),“우리나라 호스피스 Social Worker의 역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천영호(2000),“한국 호스피스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통계청(2000), 연령별 사망자수.
______(2001), 장래인구추계.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2001), 연도별 시설노인 사망자수.
황나미(1995), 『말기환자 관리를 위한 호스피스의 제도화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黑川由紀子 編(1998), 『老いの臨床心理』, 日本評論社.
Becker, Janet E.(1999),“Oncology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Hospice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Larry, Bent J. and Nackerud, Boyle D.(1997),“Hospice Care in Nursing Homes : Differential Utilization of Hospice Services in Nursing Homes". The Hospice Journal. 12(3). pp.4 1∼57.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1994), State Operations Manual.
National Hospice Organization.(1997), Hospice Operations Manual.
http://www.familydoctor.org/handouts/250.html
http://www.inh.co.jp/handpcu/kaiin.html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유형'에 관한 보고서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역사, 지방정부의 지역사회복지 방향
[지역사회 복지론] 워렌(R. L. Warren)이 설명한 지역사회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척도에 ...
로스만의 지역사회개발모델의 안내자, 조력자, 전문가, 사회치료자 이 네가지를 적절히 사용...
[지역사회복지론]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조사 : 지역사회문제의 해결방안 (...
[지역사회교육론 - 4학년공통]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교육 부문에서 지역의 발전을 위해 ...
[지역사회복지론] 외국 중 1개의 국가를 선택하여 지역사회복지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고 우리...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에 대해 서술하시오 :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 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반드시 학생...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광의, 협의)를 설명하고 시설복지와 재가복지의 장단...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조직의 정의와 역사, 지역사회실천모델(로스만모델, 웨일과 갬블모델)
[지역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및 실천원칙 지역사회복지협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