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컨벤션기획사 국가기술자격제도 도입·시행 계획
2.컨벤션전문인력(컨벤션기획사)의 수급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2.컨벤션전문인력(컨벤션기획사)의 수급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본문내용
해
2. 여행실무 관련사항
출 제 기 준
자격종목 : 컨벤션기획사 2급
직무분야 : 전문사무
검정방법 : 실 기
적용시점 : . . .
시험과목
주 요 항 목
세 부 항 목
컨벤션실무
1. 컨벤션 기획서 작성
1. 목표 및 컨셉 설정에 관한 사항
2. 행사 기본계획 수립
3. 세부 추진계획 작성
2. 영문서신 작성 능력
1. 영문서신 작성
2. 영문 행사 개요 작성
컨벤션전문인력(컨벤션기획사)의 수급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연구개요
ㅇ 연구기관 : 한국컨벤션학회(회장 : 안경모)
ㅇ 연구기간 : 2001. 9. 18 ∼ 12. 17(3개월)
ㅇ 연구방법
- 연구자료 : 설문조사(1차) / 관광공사의 2000년 3년간 국제회의·전시회 개최자료, '99∼2000국제행사자료(2차)
- 연구분석방법 : 빈도분석, 회귀분석, 시계열분석
□ 연구결과
1. 컨벤션산업 현황분석
가. 컨벤션산업 시장규모
ㅇ 미국 : 1,221억달러(GDP의 0.3%)
ㅇ 한국 : 12억달러(GDP의 0.3% 가정)
나. 컨벤션 개최현황
< 주최기관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
구 분
빈도수
퍼센트
누적퍼센트
주
최
기
관
연구소/개발원
76
26.0
26.0
학회
49
16.8
42.8
대학교
24
8.2
51.0
공공기관
52
17.8
68.8
협회
23
7.9
76.7
기업
15
5.1
81.8
위원회
28
9.6
91.4
사단법인/재단법인
6
2.1
93.5
과학원/한림원
5
1.7
95.2
기타
14
4.8
100.0
계
292
100.0
※ 3년간 주제별 개최비율 : 과학/기술(25%), 예술/문화/교육 順
< 주최기관별 전시회 개최현황 >
구 분
빈도
퍼센트
누적 퍼센트
주
최
기
관
협회
23
19.7
19.7
위원회
7
6.0
25.6
전시기획업체
44
37.6
63.2
공공기관
10
8.5
71.8
언론사
15
12.8
84.6
전시시설업체
14
12.0
96.6
기타
4
3.4
100.0
계
117
100.0
※ 3년간 주제별 개최비율 : 과학/기술, 예술/문화/교육(10%) 順
다. 컨벤션전문인력 분석
ㅇ 현황분석(Successful Meetings 2001조사)
- 조사대상 : 1,374명(협회회의기획사 30%, 기업 20%, 독립 23%, 기타 27%)
- 직업형태 : full-time 44%, part-time 56%
- 회의기획업무 종사연수 : 평균 13년(현직장 근무년수 평균 11년)
- full-time기획사 평균보수 : 남성 $65,470, 여성 $52,270
- 근무연수별
근무년수
1 ∼ 5
6 ∼ 10
11 ∼ 20
20년 이상
보수액
$ 40,640
$ 52,580
$ 59,890
$ 67,190
- 직무만족도 : 87%(불만 7.3%)
ㅇ 성별분포 및 평균연령, 보수수준(Meetings & Conventions 2000 Meetings Market Report)
< 기획사 성별분포 및 평균연령 >
기업회의 기획사
협회회의 기획사
성
별
남
48%
38%
여
52%
62%
평균연령
47세
45세
< 기획사 종류별 보수수준 >
기획사 구분
기업회의 기획사
협회회의 기획사
독립회의 기획사
금 액
$ 56,120
$ 46,539
$ 60,230
ㅇ 기획사의 자질
- 책임감(4.65), 외국어(4.50), 회의기획(4.42), 회의기획(4.42), 회의진행관리(4.34), 변화의 대처(4.32), 추진력(4.31), 창의력(4.15), 서비스정신(4.12) 順
2. 컨벤션 수요 및 전문인력의 수요분석 및 예측
가. 분석체계
ㅇ ①국제회의, 전시회, 기타행사 전망예측 → ②행사별 컨벤션기획사 평균소요인력 산출 → ③연도별 요구되는 소요인력 배출 → ④컨벤션기획사 배출인력 예측 → ⑤컨벤션기획사 수급동향전망
나. 컨벤션기획사 수요전망(연도별 행사별 개최전망×평균소요인력)
구분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국
제
회
의
건수
320
344
366
388
409
1급수요(명)
326
351
373
396
417
2급수요(명)
621
667
710
752
793
전
시
회
건수
119
123
127
131
134
1급수요(명)
131
135
139
144
147
2급수요(명)
334
346
357
368
377
기
타
행
사
건수
136
149
161
172
184
1급수요(명)
144
158
171
182
195
2급수요(명)
324
355
383
409
438
※ 행사별 평균 소요인력
- 컨벤션기획사 1급(국제회의 1.02명, 전시회 1.1명, 기타행사 1.06명)
- 컨벤션기획사 2급(국제회의 1.94명, 전시회 2.81명, 기타행사 2.38명)
다. 연간 요구되는 컨벤션기획사 수요(컨벤션기획사 수요전망 / 표준업무량)
구분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국
제
회
의
건수
320
344
366
388
409
1급수요(명)
58
63
67
70
74
2급수요(명)
159
171
182
193
203
전
시
회
건수
119
123
127
131
134
1급수요(명)
41
42
44
45
46
2급수요(명)
133
138
142
147
150
기
타
행
사
건수
136
149
161
172
184
1급수요(명)
33
36
39
41
43
2급수요(명)
101
111
120
128
137
※ 컨벤션기획사 표준업무량
- 컨벤션기획사 1급(국제회의 5.6건, 전시회 3.2건, 기타행사 4.4건)
- 컨벤션기획사 2급(국제회의 3.9건, 전시회 2.5건, 기타행사 3.2건)
라. 컨벤션기획사 수급전망
< 컨벤션기획사 수급현황 >
2001
2002
2003
2004
2005
컨벤션
기획사
1급
수요인원
132
141
150
156
163
공급인원
47
47
47
157
267
컨벤션
기획사
2급
수요인원
393
420
444
468
490
공급인원
400
520
685
1130
1375
마. 회귀분석 결과(수요예측)
ㅇ 컨벤션기획사 1급 인력수요는 국제행사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1명 정도 소요 예상
ㅇ 컨벤션기획사 2급 수요는 국제행사의 종류에 따라 상이
- 국제회의 : 참가국수에 영향
- 전 시 회 : 참가자수중 내국인의 수에 영향
2. 여행실무 관련사항
출 제 기 준
자격종목 : 컨벤션기획사 2급
직무분야 : 전문사무
검정방법 : 실 기
적용시점 : . . .
시험과목
주 요 항 목
세 부 항 목
컨벤션실무
1. 컨벤션 기획서 작성
1. 목표 및 컨셉 설정에 관한 사항
2. 행사 기본계획 수립
3. 세부 추진계획 작성
2. 영문서신 작성 능력
1. 영문서신 작성
2. 영문 행사 개요 작성
컨벤션전문인력(컨벤션기획사)의 수급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연구개요
ㅇ 연구기관 : 한국컨벤션학회(회장 : 안경모)
ㅇ 연구기간 : 2001. 9. 18 ∼ 12. 17(3개월)
ㅇ 연구방법
- 연구자료 : 설문조사(1차) / 관광공사의 2000년 3년간 국제회의·전시회 개최자료, '99∼2000국제행사자료(2차)
- 연구분석방법 : 빈도분석, 회귀분석, 시계열분석
□ 연구결과
1. 컨벤션산업 현황분석
가. 컨벤션산업 시장규모
ㅇ 미국 : 1,221억달러(GDP의 0.3%)
ㅇ 한국 : 12억달러(GDP의 0.3% 가정)
나. 컨벤션 개최현황
< 주최기관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
구 분
빈도수
퍼센트
누적퍼센트
주
최
기
관
연구소/개발원
76
26.0
26.0
학회
49
16.8
42.8
대학교
24
8.2
51.0
공공기관
52
17.8
68.8
협회
23
7.9
76.7
기업
15
5.1
81.8
위원회
28
9.6
91.4
사단법인/재단법인
6
2.1
93.5
과학원/한림원
5
1.7
95.2
기타
14
4.8
100.0
계
292
100.0
※ 3년간 주제별 개최비율 : 과학/기술(25%), 예술/문화/교육 順
< 주최기관별 전시회 개최현황 >
구 분
빈도
퍼센트
누적 퍼센트
주
최
기
관
협회
23
19.7
19.7
위원회
7
6.0
25.6
전시기획업체
44
37.6
63.2
공공기관
10
8.5
71.8
언론사
15
12.8
84.6
전시시설업체
14
12.0
96.6
기타
4
3.4
100.0
계
117
100.0
※ 3년간 주제별 개최비율 : 과학/기술, 예술/문화/교육(10%) 順
다. 컨벤션전문인력 분석
ㅇ 현황분석(Successful Meetings 2001조사)
- 조사대상 : 1,374명(협회회의기획사 30%, 기업 20%, 독립 23%, 기타 27%)
- 직업형태 : full-time 44%, part-time 56%
- 회의기획업무 종사연수 : 평균 13년(현직장 근무년수 평균 11년)
- full-time기획사 평균보수 : 남성 $65,470, 여성 $52,270
- 근무연수별
근무년수
1 ∼ 5
6 ∼ 10
11 ∼ 20
20년 이상
보수액
$ 40,640
$ 52,580
$ 59,890
$ 67,190
- 직무만족도 : 87%(불만 7.3%)
ㅇ 성별분포 및 평균연령, 보수수준(Meetings & Conventions 2000 Meetings Market Report)
< 기획사 성별분포 및 평균연령 >
기업회의 기획사
협회회의 기획사
성
별
남
48%
38%
여
52%
62%
평균연령
47세
45세
< 기획사 종류별 보수수준 >
기획사 구분
기업회의 기획사
협회회의 기획사
독립회의 기획사
금 액
$ 56,120
$ 46,539
$ 60,230
ㅇ 기획사의 자질
- 책임감(4.65), 외국어(4.50), 회의기획(4.42), 회의기획(4.42), 회의진행관리(4.34), 변화의 대처(4.32), 추진력(4.31), 창의력(4.15), 서비스정신(4.12) 順
2. 컨벤션 수요 및 전문인력의 수요분석 및 예측
가. 분석체계
ㅇ ①국제회의, 전시회, 기타행사 전망예측 → ②행사별 컨벤션기획사 평균소요인력 산출 → ③연도별 요구되는 소요인력 배출 → ④컨벤션기획사 배출인력 예측 → ⑤컨벤션기획사 수급동향전망
나. 컨벤션기획사 수요전망(연도별 행사별 개최전망×평균소요인력)
구분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국
제
회
의
건수
320
344
366
388
409
1급수요(명)
326
351
373
396
417
2급수요(명)
621
667
710
752
793
전
시
회
건수
119
123
127
131
134
1급수요(명)
131
135
139
144
147
2급수요(명)
334
346
357
368
377
기
타
행
사
건수
136
149
161
172
184
1급수요(명)
144
158
171
182
195
2급수요(명)
324
355
383
409
438
※ 행사별 평균 소요인력
- 컨벤션기획사 1급(국제회의 1.02명, 전시회 1.1명, 기타행사 1.06명)
- 컨벤션기획사 2급(국제회의 1.94명, 전시회 2.81명, 기타행사 2.38명)
다. 연간 요구되는 컨벤션기획사 수요(컨벤션기획사 수요전망 / 표준업무량)
구분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국
제
회
의
건수
320
344
366
388
409
1급수요(명)
58
63
67
70
74
2급수요(명)
159
171
182
193
203
전
시
회
건수
119
123
127
131
134
1급수요(명)
41
42
44
45
46
2급수요(명)
133
138
142
147
150
기
타
행
사
건수
136
149
161
172
184
1급수요(명)
33
36
39
41
43
2급수요(명)
101
111
120
128
137
※ 컨벤션기획사 표준업무량
- 컨벤션기획사 1급(국제회의 5.6건, 전시회 3.2건, 기타행사 4.4건)
- 컨벤션기획사 2급(국제회의 3.9건, 전시회 2.5건, 기타행사 3.2건)
라. 컨벤션기획사 수급전망
< 컨벤션기획사 수급현황 >
2001
2002
2003
2004
2005
컨벤션
기획사
1급
수요인원
132
141
150
156
163
공급인원
47
47
47
157
267
컨벤션
기획사
2급
수요인원
393
420
444
468
490
공급인원
400
520
685
1130
1375
마. 회귀분석 결과(수요예측)
ㅇ 컨벤션기획사 1급 인력수요는 국제행사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1명 정도 소요 예상
ㅇ 컨벤션기획사 2급 수요는 국제행사의 종류에 따라 상이
- 국제회의 : 참가국수에 영향
- 전 시 회 : 참가자수중 내국인의 수에 영향
추천자료
한국 고용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빈곤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외국사례
[일본 기업][일본 재벌][기업경영]일본 기업 분석 고찰(일본의 기업연금제도, 일본기업의 직...
[노인복지]일본 개호보험제도의 도입과 실천현장의 변화 및 과제
[기업연금제도][외국 기업연금제도 사례]기업연금제도의 의미, 기업연금제도의 의의, 기업연...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민연금] 국민연금제도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
컨벤션 현황과 발전방안
컨벤션 기획사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대하여
[법조인][사회동향][법조윤리][법조일원화][법조인양성제도]법조인의 정의, 법조인의 고용현...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롤스의 정의론,생활보호제도,기초생활보장대상자의 선정기준 및 현황 ppt
2014년 7월 시행된 기초연금(수급자격)에 대해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