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2000의 서비스형태와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MT-2000의 정의 및 배경

2.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
2.1 2세대와의 비교
2.2 GMPCS와 IMT-2000
2.3 FWA와 IMT-2000

3. IMT-2000의 주요특징

4. IMT-2000 서비스 특징
4.1 서비스 제공환경

5. 서비스 종류
5.1 IMT-2000 서비스 분류
5.2 IMT-2000 통신 서비스

6. 서비스 제공 방법

7. 생활의 변화

8. 서비스 예상

본문내용

접속, 송신(버스트)동기 등의 방식에 의해 시간위치제어(버스트동기제어)를 한다. 따라서 TDMA통신은 버스트동기제어와 송신측에 있어서의 통신신호의 "압축"및 수신측에 있어서의 "신장"이 그 특징이다.
 
TDMA방식은 하나의 중계장치로 다원 접속할 때 반송파가 일시에 증폭되어도 1개파이기 때문에 액세스 국수가 증가해도 중계기를 포화영역에서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로밍(Roaming): 이동전화사용자가 가입한 이동 통신망을 벗어나서 타 이동 전화망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기가 등록되어 있는 교환 시스템 이외의 서로 다른 사업자 망에 가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가 로밍 서비스이다. 로밍을 위해서는 상호 서비스 제공, 서비스된 또는 가입 구역 인수 인계, 통화권 위치 등록등이 필요하다.
UPT / 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 범용개인통신
UPT는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의 약자로 국제표준화기구인 ITU-T(구 CCITT)에서 범용개인통신(UPT)으로 정의 했다.
UPT서비스는 개인번호를 이용해 망이나 단말기에 관계없이 착발신이 가능하고 단말번호대신 UPT 번호로 과금하는 서비스다.
이동통신분야의 IMT2000이 하나의 단말기로 전세계 어디서나 통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데 비해 UPT는 통신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어떤 단말기로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IMT2000이 단말기의 이동성 극대화를 추구한다면 UPT는 개인의 이동성 극대화를 추구한다.
 
ITU-T에서는 UPT서비스를 3단계로 나누어 권고하고 있다. 현재의 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제1세대는 제한된 단기서비스로서 개인번호를 가진 사용자간을 직접 접속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세대로 발전되면 다중망을 통해 거의 완전한 광역망 서비스로 발전하며 단말기에 구애받지 않게 된다. 궁극적인 목표인 제3세대 UPT서비스에서는 음성인식이나 음성인증, 멀티미디어서비스까지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개인통신서비스가 실현된다.
GMPCS / Global Mobil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GMPCS(Global Mobil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또는 GMPC by Satellite)란 GMPCS를 위한 전용 저궤도(LEO:Low Earth Orbit) 위성을 발사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위성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사용자가 직접 위성과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위성은 방송 및 통신사업자간 국제통신 등 특수한 목적으로만 사용됐다. GMPCS는 이처럼 특수한 목적으로만 사용됐던 위성을 일반인의 이동통신에 이용하자는 목적으로 개발됐다.
GMPCS 서비스가 가진 최대 약점은 위성의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하 시설물에서의 이용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WLL / Wireless Local Loop / 무선가입자망
무선가입망( WLL:Wireless Local Loop)이란 전화국에서 전화가입자의 댁내까지를 연결하는 유선선로대신 무선시스템을 이용해 전화선을 구성해 주는 것을 말한다.
이 기술은 농어촌지역과 같이 인구밀도가 희박한 지역에 전화를 가설할 경우 가설비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70년대 초 미국 벨연구소에서 처음 고안되었지만 무선주파수의 확보가 쉽지 않았고 안테나와 무선 송수신장치의 제조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여 상용화 단계에까지 이르지 못했었다.
그러나 90년대 중반 전자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여러 제조업체에서 경제성 있는 제품을 시장에 속속 출시하고 있고, 통신사업자들도 이 WLL의 상용화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WLL의 장점을 요약하면 전자기술의 발달로 회선당 단가가 저렴한 경제성과 함께 유선선로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또한 전파가 도달하는 지역은 어디에나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통신망 구축이 유연하다.
WLL용으로 개발된 제품으로는 위성을 이용한 시스템, 고정용 마이크로웨이브를 응용한 시스템, 셀룰러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코드리스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등이 있는데 셀룰러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WDM / Wave Division Multiplexing / 파장분할다중송신
WDM(Wave Division Multiplexing)는 파장분할 다중송신이라는 뜻이며 해저 케이블을 구성하고 있는 광섬유에 기존 주파수 외에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생성시켜 가상의 라인을 만드는 것으로 즉, 기존 망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마치 새로운 케이블 망을 포설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를 말한다.
WDM방식은 광전송시 여러 개의 광신호 파장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광섬유가 제공하는 넓은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광전송기술로 지금까지의 시분할다중(TDM)방식보다 파장분할 수에 따라 대량의 신호전송이 가능해 대용량 고속전송에 유리한 면을 지니고 있다.
WDM은 망 자체를 확장시키는 외에도 망의 속도를 기존보다 5배 정도 늘릴 수 있고 특별히 새로운 망을 구축할 필요없이 케이블 망의 양쪽 끝에 WDM 장비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정한 거리 이상에서는 이 장비를 사용해도 데이터 손실 등이 불가피해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TDM(time division multipelxing)/ 시분할 다중화.
시분할 다중화 (time division multipelxing:TDM)는 전송 매체의 데이터 전송을 용량이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클 때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과정이다. 이런 경우, 전송할 데이터들을 잘게 나누어 서로 엇갈리게 끼워 넣는 식으로 하나의 링크를 공유할 수 있다.
FDM에서와 마찬가지로 같은 링크가 사용되지만, 링크는 주파수가 아닌 시간별로 구획이 나뉘어 있다.
동기 TDM과 비동기 TDM 두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1.0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