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조선전기의 시조
2. 조선후기의 시조
3. 조선전기의 가사
4. 조선후기의 가사
III 결 론
II 본 론
1. 조선전기의 시조
2. 조선후기의 시조
3. 조선전기의 가사
4. 조선후기의 가사
III 결 론
본문내용
편가사가 등장한다는 점도 중요한 특징이다.
조선전기의 가사들이 대부분 노래로 부르거나 읊조리는 방식으로 수용되었던 데 비해 이후 의 가사들은 이야기로서 읽히는 작품이 상당수 등장한다. 분량상으로 너무나 방대하여 악곡에
실어 노래로 부르거나 천천히 거닐면서 나직이 읊조리에는 적당하지 못하고 대본을 가지고 읽
어 내려야 하는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후기에 창작된 작품들 가운데에도 이전시기의 작품들과 동질성을 계속유지하는 작품들도 있
었음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단지, 위에서는 변화된 모습에만 중점을 두어 서술하였음을 밝혀 둔다.
III 결 론
조선조 시조와 가사는 그 시기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크게 전기화 후기로 나누었으며 17세 기말 이후는 후기로 그 이전은 전기로 나누어서 서술하였으며 각 시기별 특성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선전기의 시가 특성
구분
평 시 조
양 반 가 사
작자
양반사대부, 기녀층
양반사대부, 승려
내용
임금에대한 충성, 지시인의 고뇌, 태평
성대의 찬양, 남녀의 사랑, 유교논리의
강조
임금에대한 충성, 산수자연에 대한 동경
유교이념의 선전, 불교교리의 선전
형태
3장의형태(초장, 중장, 종장)
100행내외의 길이
2. 조선후기의 시가 특성
구분
사설시조
서민가사
작자
중인이하 서민층
중인이하 서민층
내용
남녀의 사랑과 이별, 정치적비판, 시집
살이의 어려움, 세상풍자
일상생활의 제반사, 허구적 인물의 등장
형태
중장이 길어짐
100행이상의 장편
위와 같이 시조와 가사는 조선조 전시대에 걸쳐서 존재했으며 국문시가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시조, 가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우리시가 문학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밑바 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조, 가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해하 고 계승시키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할 수 있다.
VI 참고문헌
1. 손종흠, [조선조 시가의특성] 교육과 지상강좌, 한국방송대학교 1998.
2. 김경미,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25-436, 1997.
3. 최동원, [고시조논고] 삼영사, 1990.
4. 신연우,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37-448, 1997.
5. 강명관, [사설시조와 중간계층]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3.
6. 윤덕진,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49-460, 1997.
7. 김유경,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61-472, 1997.
조선전기의 가사들이 대부분 노래로 부르거나 읊조리는 방식으로 수용되었던 데 비해 이후 의 가사들은 이야기로서 읽히는 작품이 상당수 등장한다. 분량상으로 너무나 방대하여 악곡에
실어 노래로 부르거나 천천히 거닐면서 나직이 읊조리에는 적당하지 못하고 대본을 가지고 읽
어 내려야 하는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후기에 창작된 작품들 가운데에도 이전시기의 작품들과 동질성을 계속유지하는 작품들도 있
었음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단지, 위에서는 변화된 모습에만 중점을 두어 서술하였음을 밝혀 둔다.
III 결 론
조선조 시조와 가사는 그 시기와 사회적 배경에 따라 크게 전기화 후기로 나누었으며 17세 기말 이후는 후기로 그 이전은 전기로 나누어서 서술하였으며 각 시기별 특성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선전기의 시가 특성
구분
평 시 조
양 반 가 사
작자
양반사대부, 기녀층
양반사대부, 승려
내용
임금에대한 충성, 지시인의 고뇌, 태평
성대의 찬양, 남녀의 사랑, 유교논리의
강조
임금에대한 충성, 산수자연에 대한 동경
유교이념의 선전, 불교교리의 선전
형태
3장의형태(초장, 중장, 종장)
100행내외의 길이
2. 조선후기의 시가 특성
구분
사설시조
서민가사
작자
중인이하 서민층
중인이하 서민층
내용
남녀의 사랑과 이별, 정치적비판, 시집
살이의 어려움, 세상풍자
일상생활의 제반사, 허구적 인물의 등장
형태
중장이 길어짐
100행이상의 장편
위와 같이 시조와 가사는 조선조 전시대에 걸쳐서 존재했으며 국문시가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시조, 가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우리시가 문학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밑바 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조, 가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해하 고 계승시키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할 수 있다.
VI 참고문헌
1. 손종흠, [조선조 시가의특성] 교육과 지상강좌, 한국방송대학교 1998.
2. 김경미,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25-436, 1997.
3. 최동원, [고시조논고] 삼영사, 1990.
4. 신연우,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37-448, 1997.
5. 강명관, [사설시조와 중간계층]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3.
6. 윤덕진,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49-460, 1997.
7. 김유경,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p461-472,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