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선교를 논할 때 바울의 선교는 결코 무시되거나 경시될 수 없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부르심 이전의 바울

2, 부르심과 회심

3, 바울의 선교적 사명과 꿈

4, 바울의 설교와 선교

5, 바울서신에서 본 선교신학

6, 바울의 신학과 선교

7, 바울의 선교원리와 전략

8,맺음말

본문내용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울의 선교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한가지 요소는 고난이라는 요소이다. 바울의 선교적 생애는 고난으로 특징지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를 사도로 부르실 때부터 주님께서는 "그가 내 이름을 위하여 해를 얼마나 받아야 할 것을(he must suffer for my name) 내가 그에게 보이리라"(행 9: 16)고 하심으로써 그의 사도로서의 삶이 겪을 고난을 예고해주셨다. 그리스도를 통해 자유를 얻었지만 그 자유는 모든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기 위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종이 됨으로써 얻어지는 자유였기(고전 9: 19-23) 때문이다. 그리고 선교 즉 구원의 역사를 펼쳐갈 때 이 세상의 신 곧 사탄이 그것을 방해하려고 갖은 수단을 다 쓰는 것이 당연한 일임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리심으로 그들을 정복하시기는 했으나 마지막 날이 오기까지 그들은 여전히 선교를 위한 순종 행위에 엄청난 방해물들을 놓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바울은 이러한 세상의 권세들이 믿음과 사랑, 기도와 고난을 통하여서만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그 숱한 고난을 당할 때에 "내가 이제 너희를 위하여 받는 괴로움을 기뻐하고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그의 몸된 교회를 위하여 내 육체에 체우노라"(골 1: 24)고 하면서 그 고난을 복음을 전하는 특권에 대한 대가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 또한 오늘이라고 변할 수는 없다. 십자가는 하나의 장식품이 아니라 여전히 십자가이기 때문이다.
맺는 말
이방인의 사도로 부름받은 사도 바울의 행적과 그의 서신들을 통하여 우리는 선교사로서의 바울과 선교 신학자와 선교 전략가로서의 바울을 살펴보았다. 간단히 말해서 그의 신학도 선교적 관점에서라야 바로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서신이나 활동은 모두 그런 관심과 노력의 결정체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미 언급한대로 이방인 선교를 처음 시작한 사람은 바울이 아니다. 그러나 이방 선교를 본 궤도에 올려서 복음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일이 바울에게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결실을 맺게된 것은 확실하다. 바울이 없었다면 기독교가 유대교의 울타리를 벗어나 참된 생명의 세계 종교가 되어 만민에게 구원의 길을 여는 일은 힘들었으리라는 것도 분명하다.
이런 엄청난 사역을 위하여 학자적 두뇌와 열정으로 넘치는 가슴, 철저한 헌신을 할 수 있는 의지력 등의 자질을 골고루 갖춘 바울을 하나님께서는 택하시어 쓰시었고, 바울은 그의 부르심에 그대로 순종함으로써 인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을 받들어 이룬 것이다. 물론 바울이 선교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해답을 주지는 않았고 그런 시도도 하지 않았다. 그는 서신을 보낼 때에도 그것을 선교학 교과서나 선교 신학의 이론서의 일부로 쓰지 않았다. 결국 어떤 문제들은 아마 주님 오시는 그 날까지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한 체 남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바울에게서 배운 여러 가지 통찰력을 통하여 현대 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많은 선교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지침들을 발견할 수는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1.0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