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제한점
II.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1. Piaget의 이론
2. Piaget 의 인지 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
1). 지능(intellegence)
2). 도식(Schema) 또는 구조
3). 동화와 조절
4). 평형(Equilibrium)
5). 내면화(internalization)
3.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 이론
1). 감각 운동 기
2). 전 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The Phase of Conctrete Operations)
4). 형식적 조작기(The Phase of Formal Operation)
III. 결론 및 제언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제한점
II.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1. Piaget의 이론
2. Piaget 의 인지 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
1). 지능(intellegence)
2). 도식(Schema) 또는 구조
3). 동화와 조절
4). 평형(Equilibrium)
5). 내면화(internalization)
3.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 이론
1). 감각 운동 기
2). 전 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The Phase of Conctrete Operations)
4). 형식적 조작기(The Phase of Formal Operation)
III.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思考에서 찾아볼 수 있다. 組合問題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形式的 操作期의 아동은 몇 가지는 고정시키고 다른 요인들을 變化시킬 수 있는 能力을 보여준다. 靑少年期를 통해서 知的 發達은 形式的 操作을 다루는 데 있어서 더욱 複雜한 데로 나아간다. 14-15세가 되면 思考에 있어서 象徵을 適用시켜 槪念들의 槪念을 발달시킨다.
III. 結論 및 提言
앞 장 에서의 論議를 기초로 하면 다음과 같은 結論을 내릴 수 있다.
Piaget의 各 認知 發達 段階에 처한 아동의 思考는 各 段階에 다라 質的으로 다른 思考를 한다. Piaget는 認知發達을 크게 4 段階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段階들은 不連續的인 段階가 아니라 發達過程의 개념화를 위해서 繼續的인 發達의 흐름을 편의상 나누어 놓은 것이다. 따라서 각 發達段階는 그 出現하는 차례에 있어서도 결코 변하지 않는다. 發達은 累積的인 방식에 따른 繼續的인 흐름으로서 새로운 段階는 앞의 단계와 統合된다. 각 發達段階는 결코 獨立的인 것이 아니며, 또한 각 段階의 特徵으로 나타나는 行動도 어떤 年齡範圍에 고정된 것도 아니다. Piaget의 認知發達段階의 特徵은 感覺運動期(0-2세)는 感覺-動作에 의한 학습, 어떤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보아도 同一하다는 것을 認識(사물의 實在性) 못함· 意圖的인 反復行動을 한다. 前操作期(2-7세)에는 知覺과 表象등의 直接經驗과 體驗的인 行動· 사물을 單一次元에서 直觀的으로 分類· 언어의 발달· 自己中心性의 思考와 言語態度· 非可逆性을 나타낸다. 具體的 操作期(7-11세) 에는 動作으로 생각했던 것을 머리로 생각할 수 있음· 論理的 思考· 可逆性 獲得, 言語의 複雜化·思考의 社會化를 나타낸다. 形式的 操作期(11-15세) 는 抽象的 槪念의 이해· 問題解決에있어서 形式的 操作이 가능· 사물의 因果關係 터득· 問題解決에 假說適用· 假說檢證能力· 推理力· 應用力의 發達등을 보인다.
여기서 Piaget 가 제시하고 있는 年齡範圍는 규준 적인 것으로서 각 段階의 특징을 나타내는 知的 行動을 대부분의 아동이 보여준다고 기대되는 기간을 나타낸다. 各 段階의 行動이 나타나는 순서는 固定的이며 따라서 經驗이나 遺傳에 關係없이 일정하지만, 段階가 나타나는 年齡은 個人的인 經驗과 遺傳에따라 다르다.
幼兒敎育이라는 것은 Piaget의 發達段階를 뛰어 넘거나 빨리 다음 단계로 들어가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식을 가르쳐 주는 것은 더욱 아니다. Schema를 풍부하게 하여 論理的 思考를 할 수 있는 보다 더 높은 수준의 Schema를 形成시켜야 한다.
이렇게 知的 構造를 變化시키고 知能을 發達시키기 위해서는 外部에서 知識의 斷片 을 말해 주는 것은 效果가 없으면, 어린이들은 自我活動(知的活動)을 통하여 具體的 對象物을 探索 操作해야 한다.
Piaget 理論의 制限点은 첫째, 그의 硏究가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며 둘째, Piaget의 知的 發達 理論이 敎育的 理論이 아니라는 것이다. 셋째, Piaget의 知的 發達 理論은 우리가 너무 일찍 가르치려고 하면 아동들은 배울 수 없고 우리가 가르치는데 너무 시기가 늦으면 아동들은 이미 알고 있다는 Dilemma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Piaget의 理論이 다른 心理學者의 硏究에 의하여 수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發達 心理學의 전체 영역에 대한 막대한 貢獻은 계속해서 科學의 歷史에 탁월한 자리를 지킬 것이다. 그가 창출해 낸 매우 創意的이고 풍부한 硏究가 없다면 그의 주제를 探究하는 많은 實驗들은 實現되지 못했음은 물론 시작되지도 못했을 것이다.
이상의 結論을 기초로 한 提言에는
1. 出生初의 유아의 實狀은 어떤 環境, 運動, 言語, 社會와 情緖 環境에 適應 可能性을 가지고 있으므로 最善을 다하여 最適의 條件을 주는 것이 敎育的 配慮일 것이다.
2. 유아의 反射的 行動은 인간의 모든 行動發達의 原形이므로 反射的 行動을 效果的으로 指導育成해야 한다.
3. 運動發達을 促進 시킬 때는 아이의 準備性에 알맞은 運動을 시키어야 된다.
4. 그동안 保育이나 育兒라고 생각한 消極的 態度를 버리고 積極的으로 유아교육이라는 立場에서 모든 行動發達에 效果的 方法을 이용하여 人間行動의 基本形을 가장 바람직한 始發을 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5. 우리 나라도 이제는 個人의 經驗에 의한 直感的인 幼兒敎育을 실시할 때는 지났고, 敎育的 意味가 있는 理論에 기초를 둔 프로그램들을 開發,普及 시행해야 할 것이다.
6. 우리나라는 現在 幼兒敎育의 公敎育化와 福祉的 次元에서의 幼兒敎育을 實施하려는 노력을 傾注하고 있으므로, 저소득층 어린이에게 효과가 큰 것으로 報告되고 있는 認知 發達理論을 기초로 한 프로그램에 대해 계속 적인 연구와 적용이 바람직하다.
7. 교사가 理論的인 체계화에 幼兒敎育의 目的, 內容, 方法을 잘 알고 있을 때 교사들의 創意力도 발휘되어 아동을 指導하게 될 것이다.
끝으로 幼兒敎育을 하는 立場에서는 그에 대한 더욱 철저한 硏究와 檢討가있어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分析은 文獻을 통한 分析이기 때문에 더 많은 實證的 資料구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너무 서둘러서 어떤 한 理論에 대해 프로그램을 開發하여 普及할 것이 아니라 상당 期間동안 豫備硏究 및 實驗期間을 거친 후에 結論을 얻은 다음 實行에 옮겨야 할 것이다.
*. 參考 文獻
* 김경중,최인숙. (1989). 유아 발달 심리. 형설 출판사.
* 김재은,이정섭,홍순정. (1992). 認知理論.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라병술. (1991). 유아 敎育의 理論과 實際. 교육 연구사.
* 라병술. (1987). 유아의 發達과 敎育에 關한 考察. 목원대논문집.
* 성숙자. (1983). Piaget의 認知發達 理論과 Lavatelli 幼兒敎育課程에 대한 小考. 성신 여자 대학교 연구 논문집.
* 손영신. (1981). Piaget 理論의 幼兒敎育에 대한 시사점과 限界. 전남 대학교.
* 유안율. (1987). 人間 發達 신강. 문음사.
* 이성진,이찬교,정원식. (1990). 敎育과 心理.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이영,조연순. (1991).아동의 世界. 양서원.
* 이영두. (1983). Piaget 와 幼兒敎育. 형설 출판사.
III. 結論 및 提言
앞 장 에서의 論議를 기초로 하면 다음과 같은 結論을 내릴 수 있다.
Piaget의 各 認知 發達 段階에 처한 아동의 思考는 各 段階에 다라 質的으로 다른 思考를 한다. Piaget는 認知發達을 크게 4 段階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段階들은 不連續的인 段階가 아니라 發達過程의 개념화를 위해서 繼續的인 發達의 흐름을 편의상 나누어 놓은 것이다. 따라서 각 發達段階는 그 出現하는 차례에 있어서도 결코 변하지 않는다. 發達은 累積的인 방식에 따른 繼續的인 흐름으로서 새로운 段階는 앞의 단계와 統合된다. 각 發達段階는 결코 獨立的인 것이 아니며, 또한 각 段階의 特徵으로 나타나는 行動도 어떤 年齡範圍에 고정된 것도 아니다. Piaget의 認知發達段階의 特徵은 感覺運動期(0-2세)는 感覺-動作에 의한 학습, 어떤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보아도 同一하다는 것을 認識(사물의 實在性) 못함· 意圖的인 反復行動을 한다. 前操作期(2-7세)에는 知覺과 表象등의 直接經驗과 體驗的인 行動· 사물을 單一次元에서 直觀的으로 分類· 언어의 발달· 自己中心性의 思考와 言語態度· 非可逆性을 나타낸다. 具體的 操作期(7-11세) 에는 動作으로 생각했던 것을 머리로 생각할 수 있음· 論理的 思考· 可逆性 獲得, 言語의 複雜化·思考의 社會化를 나타낸다. 形式的 操作期(11-15세) 는 抽象的 槪念의 이해· 問題解決에있어서 形式的 操作이 가능· 사물의 因果關係 터득· 問題解決에 假說適用· 假說檢證能力· 推理力· 應用力의 發達등을 보인다.
여기서 Piaget 가 제시하고 있는 年齡範圍는 규준 적인 것으로서 각 段階의 특징을 나타내는 知的 行動을 대부분의 아동이 보여준다고 기대되는 기간을 나타낸다. 各 段階의 行動이 나타나는 순서는 固定的이며 따라서 經驗이나 遺傳에 關係없이 일정하지만, 段階가 나타나는 年齡은 個人的인 經驗과 遺傳에따라 다르다.
幼兒敎育이라는 것은 Piaget의 發達段階를 뛰어 넘거나 빨리 다음 단계로 들어가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식을 가르쳐 주는 것은 더욱 아니다. Schema를 풍부하게 하여 論理的 思考를 할 수 있는 보다 더 높은 수준의 Schema를 形成시켜야 한다.
이렇게 知的 構造를 變化시키고 知能을 發達시키기 위해서는 外部에서 知識의 斷片 을 말해 주는 것은 效果가 없으면, 어린이들은 自我活動(知的活動)을 통하여 具體的 對象物을 探索 操作해야 한다.
Piaget 理論의 制限点은 첫째, 그의 硏究가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며 둘째, Piaget의 知的 發達 理論이 敎育的 理論이 아니라는 것이다. 셋째, Piaget의 知的 發達 理論은 우리가 너무 일찍 가르치려고 하면 아동들은 배울 수 없고 우리가 가르치는데 너무 시기가 늦으면 아동들은 이미 알고 있다는 Dilemma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Piaget의 理論이 다른 心理學者의 硏究에 의하여 수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發達 心理學의 전체 영역에 대한 막대한 貢獻은 계속해서 科學의 歷史에 탁월한 자리를 지킬 것이다. 그가 창출해 낸 매우 創意的이고 풍부한 硏究가 없다면 그의 주제를 探究하는 많은 實驗들은 實現되지 못했음은 물론 시작되지도 못했을 것이다.
이상의 結論을 기초로 한 提言에는
1. 出生初의 유아의 實狀은 어떤 環境, 運動, 言語, 社會와 情緖 環境에 適應 可能性을 가지고 있으므로 最善을 다하여 最適의 條件을 주는 것이 敎育的 配慮일 것이다.
2. 유아의 反射的 行動은 인간의 모든 行動發達의 原形이므로 反射的 行動을 效果的으로 指導育成해야 한다.
3. 運動發達을 促進 시킬 때는 아이의 準備性에 알맞은 運動을 시키어야 된다.
4. 그동안 保育이나 育兒라고 생각한 消極的 態度를 버리고 積極的으로 유아교육이라는 立場에서 모든 行動發達에 效果的 方法을 이용하여 人間行動의 基本形을 가장 바람직한 始發을 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5. 우리 나라도 이제는 個人의 經驗에 의한 直感的인 幼兒敎育을 실시할 때는 지났고, 敎育的 意味가 있는 理論에 기초를 둔 프로그램들을 開發,普及 시행해야 할 것이다.
6. 우리나라는 現在 幼兒敎育의 公敎育化와 福祉的 次元에서의 幼兒敎育을 實施하려는 노력을 傾注하고 있으므로, 저소득층 어린이에게 효과가 큰 것으로 報告되고 있는 認知 發達理論을 기초로 한 프로그램에 대해 계속 적인 연구와 적용이 바람직하다.
7. 교사가 理論的인 체계화에 幼兒敎育의 目的, 內容, 方法을 잘 알고 있을 때 교사들의 創意力도 발휘되어 아동을 指導하게 될 것이다.
끝으로 幼兒敎育을 하는 立場에서는 그에 대한 더욱 철저한 硏究와 檢討가있어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分析은 文獻을 통한 分析이기 때문에 더 많은 實證的 資料구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너무 서둘러서 어떤 한 理論에 대해 프로그램을 開發하여 普及할 것이 아니라 상당 期間동안 豫備硏究 및 實驗期間을 거친 후에 結論을 얻은 다음 實行에 옮겨야 할 것이다.
*. 參考 文獻
* 김경중,최인숙. (1989). 유아 발달 심리. 형설 출판사.
* 김재은,이정섭,홍순정. (1992). 認知理論.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라병술. (1991). 유아 敎育의 理論과 實際. 교육 연구사.
* 라병술. (1987). 유아의 發達과 敎育에 關한 考察. 목원대논문집.
* 성숙자. (1983). Piaget의 認知發達 理論과 Lavatelli 幼兒敎育課程에 대한 小考. 성신 여자 대학교 연구 논문집.
* 손영신. (1981). Piaget 理論의 幼兒敎育에 대한 시사점과 限界. 전남 대학교.
* 유안율. (1987). 人間 發達 신강. 문음사.
* 이성진,이찬교,정원식. (1990). 敎育과 心理.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이영,조연순. (1991).아동의 世界. 양서원.
* 이영두. (1983). Piaget 와 幼兒敎育. 형설 출판사.
추천자료
(피아제)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아동발달 A형]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의 심층 비교분석
[아동발달 A형]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의 비교분석
인지주의 학습 이론(Piaget & Vogotsky), 행동주의 이론(Thorndike & Skinner & ...
피아제 vs 비고츠키 -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접근
영유아발달 중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piaget(피아제)의 이론 중에서 영유아기에 해당하는...
인간과교육 3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한 고찰과 교육적 시사점
[인간과교육 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인간과교육3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한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
[영아발달]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을 영아발달 중심으로 논하고, 영아들이 활동할 ...
[인간과 교육]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인지발달단계]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인지발달과정 -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