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액체의 표면장력 측정:[그림 7.16]:
gamma = LEFT { {72 TIMES { 10}^{-5 }~N/m~:물-공기~경계면 ~~~~~~~~ } atop { { (40 SIM 50) TIMES { 10}^{-5 }~MN/m~:혈장-공기 ~경계면 } atop {(25 SIM 45) TIMES { 10}^{-5 }~N/m~:공기중~세제액~~~~~~ } } RIGHT }
. [그림 7.17a,b]:
gamma ~ PROPTO ~A
. [그림 7.18]: <폐의 P-V 곡선>: 이력현상(hysteresis)
. [그림 7.19]: <폐정상인, 폐기종 및 RDS가 있는 환자의 P-V 곡선>:
7.6 호흡기전(breathing mechanism)
. 호흡 무의식적 조절: 호흡의 생리적 조절: 뇌의 호흡중추의 pH외 많은 요인.
폐(lungs) 허탈(collapse)하려는 수 백만개의 폐포로 구성됨.
. [그림 7.20]: <폐의 물리적 성질을 설명하는 모식도>:
폐의 허탈방지:
LEFT { { ①~폐와~흉벽간의~표면장력} atop {② ~폐안의~공기압력~~~~~~~ } RIGHT }
. [그림 7.21]: <호흡기전의 단순한모형>:
기흉(pneumothorax) : 자발적 기흉(spontaneous pneu.): [그림 7.22]
. 폐 - 흉막계 용수철계 [그림 7.23]:
. 발살바 수기(Valsalva maneuver)
7.7 기도저항(Airway resistance)
. 폐 내의 공기흐름 전기회로 내의 전류흐름: Ohm's law
압력차: P 전압차: V
용적변화율: V/ t 전류(전하변화율): I
기도저항:
{ R}_{g } = { TRIANGLE P} over { TRIANGLE V/ TRIANGLE t }
[Pa/l/s] 전류저항:
{ R}_{e } = { TRIANGLE V} over { i } [ OMEGA ]
.
{ R}_{g } =330~(Pa/l/s)=3.3(cm { H}_{2 }O/l/s)
[정상 성인)
{ R}_{g } PROPTO
(관의 크기, 기체의 점(성)도)
{ R}_{g } ==
[코부분( 50%), 상부기도( 20%), 기도말단( 10%),]
. 폐의 시(간)상수(time constant):
tau~ == { R}_{g }~C
. [문제 7.10-7.11]:
7.8 호흡 일(Work of breathing)
. 안정시 인체 총 소모 에너지의 약 2% : 폐-흉벽-횡격막계 스프링계:[그림 7.24]:
. [그림 7.25]: <호흡 일에 대한 개선 모형>
C = 폐-흉벽 - 횡격막계의 스프링: R = 압력
I = 이동부의 관성: M = 호흡근(육)
. [그림 7.26]: <정상인과 폐 기종환자의 산소 소모량>
7.9 일반적인 폐 질환의 물리
. 40세 이상의 15%가 폐질환자(USA) 폐의 물리적 변화
. 폐질환
(1) 신생아의 호흡부전증후군(RDS):
(2) 폐기종(emphysema): [그림 7.27a,b]: <정상인과 폐기종환자의 폐>
폐 조직 파괴로 폐 공간이 증가: 폐탄성 감소 C 0 ; Rg 0
안정시 폐활량의 60%로 팽창: FRC 0; IRV 0
기도저항 증가로 호기중 기도가 좁아지고 쉽게 허탈 됨: VC 0
흡연자에게 많이 발생.
(3) 천식(asthma):기도저항(큰 기도 주위의 평활근 수축) 의 증가: 호기곤란
C = 0 ; FRC 0
(4) 폐섬유증(fibrosis): 폐포사이의 막이 두꺼워짐: C 0 ; Rg = 0
폐 모세혈관에서 산소확산 감소:
증상: 고통스런 호흡 (호흡곤란증: dyspnea); 운동 중 짧은 호흡.
원인: 암 치료 때 방사선에 폐의 반복 노출
. [문제 7.12]:
gamma = LEFT { {72 TIMES { 10}^{-5 }~N/m~:물-공기~경계면 ~~~~~~~~ } atop { { (40 SIM 50) TIMES { 10}^{-5 }~MN/m~:혈장-공기 ~경계면 } atop {(25 SIM 45) TIMES { 10}^{-5 }~N/m~:공기중~세제액~~~~~~ } } RIGHT }
. [그림 7.17a,b]:
gamma ~ PROPTO ~A
. [그림 7.18]: <폐의 P-V 곡선>: 이력현상(hysteresis)
. [그림 7.19]: <폐정상인, 폐기종 및 RDS가 있는 환자의 P-V 곡선>:
7.6 호흡기전(breathing mechanism)
. 호흡 무의식적 조절: 호흡의 생리적 조절: 뇌의 호흡중추의 pH외 많은 요인.
폐(lungs) 허탈(collapse)하려는 수 백만개의 폐포로 구성됨.
. [그림 7.20]: <폐의 물리적 성질을 설명하는 모식도>:
폐의 허탈방지:
LEFT { { ①~폐와~흉벽간의~표면장력} atop {② ~폐안의~공기압력~~~~~~~ } RIGHT }
. [그림 7.21]: <호흡기전의 단순한모형>:
기흉(pneumothorax) : 자발적 기흉(spontaneous pneu.): [그림 7.22]
. 폐 - 흉막계 용수철계 [그림 7.23]:
. 발살바 수기(Valsalva maneuver)
7.7 기도저항(Airway resistance)
. 폐 내의 공기흐름 전기회로 내의 전류흐름: Ohm's law
압력차: P 전압차: V
용적변화율: V/ t 전류(전하변화율): I
기도저항:
{ R}_{g } = { TRIANGLE P} over { TRIANGLE V/ TRIANGLE t }
[Pa/l/s] 전류저항:
{ R}_{e } = { TRIANGLE V} over { i } [ OMEGA ]
.
{ R}_{g } =330~(Pa/l/s)=3.3(cm { H}_{2 }O/l/s)
[정상 성인)
{ R}_{g } PROPTO
(관의 크기, 기체의 점(성)도)
{ R}_{g } ==
[코부분( 50%), 상부기도( 20%), 기도말단( 10%),]
. 폐의 시(간)상수(time constant):
tau~ == { R}_{g }~C
. [문제 7.10-7.11]:
7.8 호흡 일(Work of breathing)
. 안정시 인체 총 소모 에너지의 약 2% : 폐-흉벽-횡격막계 스프링계:[그림 7.24]:
. [그림 7.25]: <호흡 일에 대한 개선 모형>
C = 폐-흉벽 - 횡격막계의 스프링: R = 압력
I = 이동부의 관성: M = 호흡근(육)
. [그림 7.26]: <정상인과 폐 기종환자의 산소 소모량>
7.9 일반적인 폐 질환의 물리
. 40세 이상의 15%가 폐질환자(USA) 폐의 물리적 변화
. 폐질환
(1) 신생아의 호흡부전증후군(RDS):
(2) 폐기종(emphysema): [그림 7.27a,b]: <정상인과 폐기종환자의 폐>
폐 조직 파괴로 폐 공간이 증가: 폐탄성 감소 C 0 ; Rg 0
안정시 폐활량의 60%로 팽창: FRC 0; IRV 0
기도저항 증가로 호기중 기도가 좁아지고 쉽게 허탈 됨: VC 0
흡연자에게 많이 발생.
(3) 천식(asthma):기도저항(큰 기도 주위의 평활근 수축) 의 증가: 호기곤란
C = 0 ; FRC 0
(4) 폐섬유증(fibrosis): 폐포사이의 막이 두꺼워짐: C 0 ; Rg = 0
폐 모세혈관에서 산소확산 감소:
증상: 고통스런 호흡 (호흡곤란증: dyspnea); 운동 중 짧은 호흡.
원인: 암 치료 때 방사선에 폐의 반복 노출
. [문제 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