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城)
1) 성의 정의
2) 성의 종류와 분류
3) 각 시대의 성곽
4) 세계의 성
5) 지역 개관
6) 화성의 위치
7) 화성 축성동기
8) 화성 축성계획
9) 화성의 특징과 우수성
10) 화성의 복원
11) 화성의 여러 시설들
1) 성의 정의
2) 성의 종류와 분류
3) 각 시대의 성곽
4) 세계의 성
5) 지역 개관
6) 화성의 위치
7) 화성 축성동기
8) 화성 축성계획
9) 화성의 특징과 우수성
10) 화성의 복원
11) 화성의 여러 시설들
본문내용
. 수원성에는 서북공심돈, 남공심돈, 동북공심돈등 세군데에 공심돈이 설치되어있다.
ⅰ서북공심돈 : 화서문 동북쪽 약10m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성곽시설로, 위아래에 공안을 많이 뚫어서 바깥동정을 살피며 불랑기백자총등을 발사하는 곳으로 치위높이는 1.67m 서북 양면 에 현안을 내었고, 그 위에 전돌로 쌓아서 속을 비게하고 위에다 누각을 지었다. 벽축 의 높이는 5.45m아래의 네모난 넓이는 6.36m이다.
ⅱ남공심돈 : 팔달문의 동남측 150m거리에 있었으나 상권이 형성되면서 훼손이된후 아직까지 미복원 되어 있다. 서북공심돈과 규모와 구조가 비슷하다.
ⅲ동북공심돈 : 소라각으로 불리는 동북 공심돈은 화성의 동북쪽에 위치한 동북노대의 서쪽 72m의 거리에 있는 성곽시설물, 불랑기 백자총등을 발사하는 곳으로 성탁의위 성가퀴 안쪽으로 동그랗게 돈을 만들었는데 이중으로 돌렸다. 바깥쪽으로는 총안을 뚫어서 밝은 빛을 끌어들이는 구실을 겸했다.
10. 각 루 : 비교적 높은 위치에 누각모양의 건물을 세워 주변을 감시하기도 하고 때로는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는데 이를 각루하고한다. 동북각루, 서북각루, 사남각루, 동남각루가 있다.
ⅰ동북각루(방화수류정) : 형태가 불규칙하면서도 조화를 이루고 주변경관과 어울림이 뛰어난 건물로 조선시대 정자 건물의 높은 수준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 북쪽 수문인 화홍 문에서 동쪽으로 경사져 올라간 위치에 있다. 아래쪽으로 전에도 말했듯 용 연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성벽에 대어서 용두라는 바위 위에 누각을 세웠다. (이곳지형을 "화성성역의 궤"에서는 광교산의 기슭이 남으로 뻗어 내려 선 암산이 되었고 다시 서쪽으로 감돌아 수리를 내려가 용두에서 그치고 북쪽 을 향하여 활짝 열렸다. 용두란 것은 용연위에 불쑥 솟은 바위이다. 성이 이곳에 이르러 산과 들이 어울리게 되고, 물이 모여 아래로 흘러 대천에 이르게 되었으니 여기야말로 실지고 동북모통이의 요충지이면서 장안문을 안에 안고 화홍문과 이어져 쇠뿔처럼 마주서서 일면을 제압하고 있다. 라고 설명한다.)
ⅱ서북각루 : 화서문의 서남쪽 173.45m쯤 되는 거리의 산위 휘어 굽은 곳에 있으며, 각루 내면에는 태극을 그려져있다.
ⅲ서남각루 : 일명 화양루라고 하는데 팔달산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남암문 밖 용도의 남쪽멀리 떨어진 높은 지점에 따로 우뚝 서있다. 용도는 원래 군량운반을 위한 통로는 적에게는 감추어진 길인데 여기는 남쪽 기슭으로 끌려나와 사방을 굽어볼 수 있는 지형 으로써 만약 이곳을 적군이 선점한다면 성의 허실을 모두 적에게 드러내보이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본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통로가 되며 서남암문에 이여져 있다. 중간지점에 동서로 용도치가 하나씩 축조되어 있다.
ⅳ동남각루 : 화성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이 산세 때문에 이곳에 이르러 가파르게
끊어져 있어 성 위로 나와서 멀리 남쪽평야를 바라볼 수 있다.
11. 포루(砲樓) :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 시켜 치성과 유사하게 하면서 내부를 공심돈과 같이 비워 그 안에 화포를 감추어 두었다가 적을 공격하도록 만든 것이다. 모두 전돌을 쌓아 벽을 이루고 위에는 작은 누각식의 건물을 올렸는데 수원성에는 서포루, 북서포루, 동포루, 동북포루, 남포루 다섯포루를 설치하였다.
12. 포루(鋪樓): 이포루는 화포를 장착한 것이 아니고 치성위에 대를 만들고 그 위에 건물을 세운 것을 가리키는데 치성의 군사들을 가려 적이 불수 없도록 하기 위해 세운 것이며 모두 다섯 군데에 설치하였다. 동북포루는 각건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방화수류정 동쪽으로 지세가 갑자기 높아져서 용두를 굽어보는 곳에 위치하였다. 그밖에 서암문 남쪽에 서포루, 북서포루, 서쪽에 복포루, 창룡문 남쪽에 동1포루, 봉돈 남쪽에 동2포루가 있다.
(성가퀴위에 지은 누각을 말하며 성내에서 이동 왕래하는 아군의 동향을 적이 못보게 한 것이 성가퀴인데, 포루는 그곳에 설치한 초소나 군사의 대기소와 같은 곳인 것 같다.)
13. 봉 돈(烽墩): 행궁을 지키고 성을 파수하며 주변을 정찰하여 인근에 사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시설로 다섯 개의 커다란 구멍을 두어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성벽 일부를 치성처럼 밖으로 돌출 시키고 아래는 돌로 쌓고 위는 전돌을 성벽보다 높이 쌓아 상부에 성가퀴를 두었다. 내부는 3층으로 만들어서 제일 높은 곳에 다섯 개의 화두를 설치하였다. 다섯 개의 화두가운데 평상시에는 남쪽의 첫째것만 사용하는데, 저녁마다 남쪽의 화두에서 횃불을 올리면 동쪽으로 용인 석상산의 육봉에서 봉화를 응하고 서쪽으로는 수원부의 흥대에 있는 바다 봉화독에서 응하게 된다. 이곳은 성곽 높이보다 훨씬 높게 쌓아 올려졌고, 성곽 밖으로 5.5m나 돌출 되어 마치 성가퀴처럼 생겼다. 옛날에는 급한 정보를 봉화로 연락하였는데, 바다로는 본부의 흥천대의 해봉과 연락하였는데 해봉은 너무 멀어 화성서쪽의 서봉산 위에 간봉을 두고 연락을 중계하였다. 봉돈은 동이포루와 동삼치의 사이에 있는 시설물로 파수를 설치하여 정찰과 정보를 전담의 임무를 수행하던 곳이다.
14. 화령전 : 조선조 순조는 원년(1801)에 정조대왕의 유덕을 받들기 위해서 건립한 것이며 전각의 이름을 화령전으로 하고, 그 안에 정조의 진영을 봉안하고 해마다 제향을 드렸던 곳이다. 정전의 "운한각"이란 편액의 글씨는 순조의 친필로 되어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현재는 고인인 대통령의 친필이 쓰여있다. 경내에는 풍화당이란 건물이 있는데 이곳은 순조가 풍악을 즐기든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15. 화성행궁: 조선조 제22대 정조 18년에 동왕 20년사이에 화성을 축성하고 행궁을 건립하였다.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여 선왕의 원침에 자주 참배하고, 이 행궁에 주박했다고 한다. 지금 한참 복원 중에 있다.
참고 문헌
한국의 성곽(빛깔있는 책들 102-27) : 반영환 외, 대원사, 1991
한국의 성곽과 봉화 전4권 :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편, 고려서적, 1990
한국성곽의 연구 : 손영식,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꿈의문화유산,화성: 유봉학, 일지사 1995
세계문화유산 화성: 수원시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 사전
ⅰ서북공심돈 : 화서문 동북쪽 약10m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성곽시설로, 위아래에 공안을 많이 뚫어서 바깥동정을 살피며 불랑기백자총등을 발사하는 곳으로 치위높이는 1.67m 서북 양면 에 현안을 내었고, 그 위에 전돌로 쌓아서 속을 비게하고 위에다 누각을 지었다. 벽축 의 높이는 5.45m아래의 네모난 넓이는 6.36m이다.
ⅱ남공심돈 : 팔달문의 동남측 150m거리에 있었으나 상권이 형성되면서 훼손이된후 아직까지 미복원 되어 있다. 서북공심돈과 규모와 구조가 비슷하다.
ⅲ동북공심돈 : 소라각으로 불리는 동북 공심돈은 화성의 동북쪽에 위치한 동북노대의 서쪽 72m의 거리에 있는 성곽시설물, 불랑기 백자총등을 발사하는 곳으로 성탁의위 성가퀴 안쪽으로 동그랗게 돈을 만들었는데 이중으로 돌렸다. 바깥쪽으로는 총안을 뚫어서 밝은 빛을 끌어들이는 구실을 겸했다.
10. 각 루 : 비교적 높은 위치에 누각모양의 건물을 세워 주변을 감시하기도 하고 때로는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는데 이를 각루하고한다. 동북각루, 서북각루, 사남각루, 동남각루가 있다.
ⅰ동북각루(방화수류정) : 형태가 불규칙하면서도 조화를 이루고 주변경관과 어울림이 뛰어난 건물로 조선시대 정자 건물의 높은 수준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 북쪽 수문인 화홍 문에서 동쪽으로 경사져 올라간 위치에 있다. 아래쪽으로 전에도 말했듯 용 연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성벽에 대어서 용두라는 바위 위에 누각을 세웠다. (이곳지형을 "화성성역의 궤"에서는 광교산의 기슭이 남으로 뻗어 내려 선 암산이 되었고 다시 서쪽으로 감돌아 수리를 내려가 용두에서 그치고 북쪽 을 향하여 활짝 열렸다. 용두란 것은 용연위에 불쑥 솟은 바위이다. 성이 이곳에 이르러 산과 들이 어울리게 되고, 물이 모여 아래로 흘러 대천에 이르게 되었으니 여기야말로 실지고 동북모통이의 요충지이면서 장안문을 안에 안고 화홍문과 이어져 쇠뿔처럼 마주서서 일면을 제압하고 있다. 라고 설명한다.)
ⅱ서북각루 : 화서문의 서남쪽 173.45m쯤 되는 거리의 산위 휘어 굽은 곳에 있으며, 각루 내면에는 태극을 그려져있다.
ⅲ서남각루 : 일명 화양루라고 하는데 팔달산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남암문 밖 용도의 남쪽멀리 떨어진 높은 지점에 따로 우뚝 서있다. 용도는 원래 군량운반을 위한 통로는 적에게는 감추어진 길인데 여기는 남쪽 기슭으로 끌려나와 사방을 굽어볼 수 있는 지형 으로써 만약 이곳을 적군이 선점한다면 성의 허실을 모두 적에게 드러내보이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본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통로가 되며 서남암문에 이여져 있다. 중간지점에 동서로 용도치가 하나씩 축조되어 있다.
ⅳ동남각루 : 화성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이 산세 때문에 이곳에 이르러 가파르게
끊어져 있어 성 위로 나와서 멀리 남쪽평야를 바라볼 수 있다.
11. 포루(砲樓) :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 시켜 치성과 유사하게 하면서 내부를 공심돈과 같이 비워 그 안에 화포를 감추어 두었다가 적을 공격하도록 만든 것이다. 모두 전돌을 쌓아 벽을 이루고 위에는 작은 누각식의 건물을 올렸는데 수원성에는 서포루, 북서포루, 동포루, 동북포루, 남포루 다섯포루를 설치하였다.
12. 포루(鋪樓): 이포루는 화포를 장착한 것이 아니고 치성위에 대를 만들고 그 위에 건물을 세운 것을 가리키는데 치성의 군사들을 가려 적이 불수 없도록 하기 위해 세운 것이며 모두 다섯 군데에 설치하였다. 동북포루는 각건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방화수류정 동쪽으로 지세가 갑자기 높아져서 용두를 굽어보는 곳에 위치하였다. 그밖에 서암문 남쪽에 서포루, 북서포루, 서쪽에 복포루, 창룡문 남쪽에 동1포루, 봉돈 남쪽에 동2포루가 있다.
(성가퀴위에 지은 누각을 말하며 성내에서 이동 왕래하는 아군의 동향을 적이 못보게 한 것이 성가퀴인데, 포루는 그곳에 설치한 초소나 군사의 대기소와 같은 곳인 것 같다.)
13. 봉 돈(烽墩): 행궁을 지키고 성을 파수하며 주변을 정찰하여 인근에 사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시설로 다섯 개의 커다란 구멍을 두어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성벽 일부를 치성처럼 밖으로 돌출 시키고 아래는 돌로 쌓고 위는 전돌을 성벽보다 높이 쌓아 상부에 성가퀴를 두었다. 내부는 3층으로 만들어서 제일 높은 곳에 다섯 개의 화두를 설치하였다. 다섯 개의 화두가운데 평상시에는 남쪽의 첫째것만 사용하는데, 저녁마다 남쪽의 화두에서 횃불을 올리면 동쪽으로 용인 석상산의 육봉에서 봉화를 응하고 서쪽으로는 수원부의 흥대에 있는 바다 봉화독에서 응하게 된다. 이곳은 성곽 높이보다 훨씬 높게 쌓아 올려졌고, 성곽 밖으로 5.5m나 돌출 되어 마치 성가퀴처럼 생겼다. 옛날에는 급한 정보를 봉화로 연락하였는데, 바다로는 본부의 흥천대의 해봉과 연락하였는데 해봉은 너무 멀어 화성서쪽의 서봉산 위에 간봉을 두고 연락을 중계하였다. 봉돈은 동이포루와 동삼치의 사이에 있는 시설물로 파수를 설치하여 정찰과 정보를 전담의 임무를 수행하던 곳이다.
14. 화령전 : 조선조 순조는 원년(1801)에 정조대왕의 유덕을 받들기 위해서 건립한 것이며 전각의 이름을 화령전으로 하고, 그 안에 정조의 진영을 봉안하고 해마다 제향을 드렸던 곳이다. 정전의 "운한각"이란 편액의 글씨는 순조의 친필로 되어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현재는 고인인 대통령의 친필이 쓰여있다. 경내에는 풍화당이란 건물이 있는데 이곳은 순조가 풍악을 즐기든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15. 화성행궁: 조선조 제22대 정조 18년에 동왕 20년사이에 화성을 축성하고 행궁을 건립하였다.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여 선왕의 원침에 자주 참배하고, 이 행궁에 주박했다고 한다. 지금 한참 복원 중에 있다.
참고 문헌
한국의 성곽(빛깔있는 책들 102-27) : 반영환 외, 대원사, 1991
한국의 성곽과 봉화 전4권 :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편, 고려서적, 1990
한국성곽의 연구 : 손영식,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꿈의문화유산,화성: 유봉학, 일지사 1995
세계문화유산 화성: 수원시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