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2. 여성소설 연구와 시점시학
3. 시점 분석으로 본 여성소설의 특징
가. 강경애의 현실주의적 모방 시점
나. 박경리의 여성 생명주의적 시점
다. 박완서의 주관적 관계론의 시점
라. 윤정모의 소외론적 반여성주의 시점
마. 오정희의 심층 여성주의적 시점
4. 여성소설 시점시학의 의의
참고문헌
**한글97
2. 여성소설 연구와 시점시학
3. 시점 분석으로 본 여성소설의 특징
가. 강경애의 현실주의적 모방 시점
나. 박경리의 여성 생명주의적 시점
다. 박완서의 주관적 관계론의 시점
라. 윤정모의 소외론적 반여성주의 시점
마. 오정희의 심층 여성주의적 시점
4. 여성소설 시점시학의 의의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이다. 우선 다섯 작가를 통하여 그 한 가능성을 간략히 제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지면 관계상 생략한다. 정미숙, 앞의 논문 참고.
참고문헌
강금숙, 『젠더공간구조로 본 서사체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89
구수경, 『한국소설과 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1995
김미현,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김용재, 『한국 소설의 서사론적 탐구』, 평민사, 1993
김정자, 『한국여성소설연구』, 민지사, 1991
김태환, 『모더니즘 문학과 소설시점의 이론』,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우한용, 『한국현대소설담론연구』, 삼지원, 1996
장수익, 『1920년대 초기 소설의 시점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8
정미숙, 『한국 근대 여성소설의 서술시점 연구』,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2000
정영자, 『한국현대여성문학론』, 지평, 1988.
조정래, 『소설과 서술』, 개문사, 1995
최병우, 『한국 근대 일인칭 소설 연구』, 한샘, 1995
한국소설학회 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B. 우스펜스키, 김경수 옮김, 『소설구성의 시학』, 현대소설사, 1992
C. 채트먼, 김경수 옮김,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0
C. 쉴링, 임인숙 역, 『몸의 사회학』, 나남출판, 1999
D. 맥도넬, 임상훈역,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1992
F. K. 스탄첼, 김정신 옮김,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1994
G. 프랭스, 최상규 역, 『서사학』, 문학과 지성사, 1988
J. 슈람케, 원당희.박병화 옮김, 『현대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1995
J. 쥬네뜨, 권택영 옮김,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J-M. 플로슈, 박인철 역, 『조형기호학』, 한길사, 1994
K. 올리버, 박재열 역, 『크리스테바 읽기』, 시와 반시사, 1997
M. 푸코 외, 황정미 역, 『미셀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새물결, 1995
M. 발, 성충훈 외역, 『소설이란 무엇인가』, 울산대출판부, 1997
M. J. 툴란, 김병욱 외역, 『서사론』, 형설출판사, 1995
O. 르불, 홍재성·권오룡 옮김, 『언어와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P. V.지마, 서영상 . 김창주 옮김, 『소설과 이데올로기』, 문예출판사, 1996
P. 모리스, 강희원 옮김, 『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1997
R. 파울러, 김정신 역, 『언어학과 소설』, 문학과 지성사, 1988
R. 펠스키, 김영찬·심진경 역,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999
S. 랜서, 김형민 역, 『시점의 시학』, 좋은 날, 1998
S. 리몬-케넌, 최상규 역, 『소설의 시학』, 문학과 지성사, 1985
S. 코헨·L. 샤이어스, 임병권·이호 역, 『이야기하기의 이론』, 한나래, 1996
W. 마틴, 김문현 역, 『소설이론의 역사』, 현대소설사, 1991
W. C. 부스, 최상규 역, 『소설의 수사학』, 새문사, 1985
이마무라 히토시, 이수정 옮김, 『근대성의 구조』, 민음사, 1999
A Study on the Narrative Piont of View in Korean Modern Women's Novel
Jeong, Mi-suk
This paper intends to study of narrative point of view in Korean modern women's novel. The direct and important motive for this research is due to the difference of discourse between women and men. The former research for the point of view couldn't concentrate on the particularity in women's novel. Because they regard ‘the point of view' as the partly factor or inclusive form in text. But ‘the point of view' is not partly factor or inclusive form but moving action and strategy. It can link the writer, reader and discourse and contains the entireness of discourse. In this standpoint, point of view has personality, and appears the difference type in each text. In addition to this, the self who speaks point of view in text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as the self of discourse. In women's novel, 'Gender' is important content in analysis of ‘point of view'. So I analyzed the novel of Kyang Keong-Ea(강경애), Park Kyeong-li(박경리), Park Woan-Sea(박완서), Youn Jeong-Mo(윤정모), O Jeong-Hee(오정희) by point of view, the same method. Moreover I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 on women's novel by put together these analysis. Finally I can find out character of modern Korean women's novel. Those are abstracted three pieces articles. 'The Point of View in Fundamental Structure', 'The Point of View in The Gender Space', 'The Point of View in The Situation and Reading Women's Identity'.
) 지면 관계상 생략한다. 정미숙, 앞의 논문 참고.
참고문헌
강금숙, 『젠더공간구조로 본 서사체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89
구수경, 『한국소설과 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1995
김미현,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김용재, 『한국 소설의 서사론적 탐구』, 평민사, 1993
김정자, 『한국여성소설연구』, 민지사, 1991
김태환, 『모더니즘 문학과 소설시점의 이론』,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우한용, 『한국현대소설담론연구』, 삼지원, 1996
장수익, 『1920년대 초기 소설의 시점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8
정미숙, 『한국 근대 여성소설의 서술시점 연구』,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2000
정영자, 『한국현대여성문학론』, 지평, 1988.
조정래, 『소설과 서술』, 개문사, 1995
최병우, 『한국 근대 일인칭 소설 연구』, 한샘, 1995
한국소설학회 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B. 우스펜스키, 김경수 옮김, 『소설구성의 시학』, 현대소설사, 1992
C. 채트먼, 김경수 옮김,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0
C. 쉴링, 임인숙 역, 『몸의 사회학』, 나남출판, 1999
D. 맥도넬, 임상훈역,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1992
F. K. 스탄첼, 김정신 옮김,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1994
G. 프랭스, 최상규 역, 『서사학』, 문학과 지성사, 1988
J. 슈람케, 원당희.박병화 옮김, 『현대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1995
J. 쥬네뜨, 권택영 옮김,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J-M. 플로슈, 박인철 역, 『조형기호학』, 한길사, 1994
K. 올리버, 박재열 역, 『크리스테바 읽기』, 시와 반시사, 1997
M. 푸코 외, 황정미 역, 『미셀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새물결, 1995
M. 발, 성충훈 외역, 『소설이란 무엇인가』, 울산대출판부, 1997
M. J. 툴란, 김병욱 외역, 『서사론』, 형설출판사, 1995
O. 르불, 홍재성·권오룡 옮김, 『언어와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P. V.지마, 서영상 . 김창주 옮김, 『소설과 이데올로기』, 문예출판사, 1996
P. 모리스, 강희원 옮김, 『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1997
R. 파울러, 김정신 역, 『언어학과 소설』, 문학과 지성사, 1988
R. 펠스키, 김영찬·심진경 역,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999
S. 랜서, 김형민 역, 『시점의 시학』, 좋은 날, 1998
S. 리몬-케넌, 최상규 역, 『소설의 시학』, 문학과 지성사, 1985
S. 코헨·L. 샤이어스, 임병권·이호 역, 『이야기하기의 이론』, 한나래, 1996
W. 마틴, 김문현 역, 『소설이론의 역사』, 현대소설사, 1991
W. C. 부스, 최상규 역, 『소설의 수사학』, 새문사, 1985
이마무라 히토시, 이수정 옮김, 『근대성의 구조』, 민음사, 1999
A Study on the Narrative Piont of View in Korean Modern Women's Novel
Jeong, Mi-suk
This paper intends to study of narrative point of view in Korean modern women's novel. The direct and important motive for this research is due to the difference of discourse between women and men. The former research for the point of view couldn't concentrate on the particularity in women's novel. Because they regard ‘the point of view' as the partly factor or inclusive form in text. But ‘the point of view' is not partly factor or inclusive form but moving action and strategy. It can link the writer, reader and discourse and contains the entireness of discourse. In this standpoint, point of view has personality, and appears the difference type in each text. In addition to this, the self who speaks point of view in text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as the self of discourse. In women's novel, 'Gender' is important content in analysis of ‘point of view'. So I analyzed the novel of Kyang Keong-Ea(강경애), Park Kyeong-li(박경리), Park Woan-Sea(박완서), Youn Jeong-Mo(윤정모), O Jeong-Hee(오정희) by point of view, the same method. Moreover I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 on women's novel by put together these analysis. Finally I can find out character of modern Korean women's novel. Those are abstracted three pieces articles. 'The Point of View in Fundamental Structure', 'The Point of View in The Gender Space', 'The Point of View in The Situation and Reading Women's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