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관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지역 발전을 위한 관광개발의 필요성

2. 고인돌이란 무엇인가?

3. 고인돌은 많은 인력 동원이 가능한 사회의 산물

4. 한국은 세계적인 고인돌 왕국

5. 우리나라 고인돌 방식

6. 우리나라의 고인돌과 연계관광지

7. 한국 고인돌군 세계유산 등록

8. 우리나라의 고인돌 관광코스


Ⅲ. 결 론

본문내용

, 하백원(河百源), 나경적(羅景績) 등이 유명하고,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를 잇는 고개의 양쪽 계곡을 중심으로 반지름 4㎞ 지역에 400여기의 남방식 고인돌이 몰려 있고, 남면 벽송리 보성강 상류 사평천변에도 10여기의 고인돌군이 있다. 대신리엔 길이 7.3m, 너비 5m, 두께 4m, 추정무게 280t짜리의 초대형 남방식 고인돌이 있으며, 효산리에도 무게 100t 이상으로 추정되는 길이 5.3m짜리 고인돌이 있다. 역시 산중턱에서 덮개돌 채굴지가 발견됐다. 주변 볼거리로는 운주사·도곡온천 등이 있다.
4. 전남 순천의 고인돌
전국 최초로 조성된 고인돌 공원이며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4호로 지정되어 있다. 총 140기의 고인돌은 순천이 109기 5개 고인돌군으로 가장 많고 보성 32기로 3개, 화순 7기로 1개군등 9개 등이 있다. 여천송도와 서울 한강변의 신석기 움집과 순천 도룡과 광주 송암동의 청동기 원추형의 움집이 원형대로 복원돼 시대와 지역간의 생활상을 비교할 수 있다. 순천의 고인돌 공원은 광주. 화순을 거쳐 시경계 5㎞, 순천시가지에서 44㎞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산기슭에 형성된 대지성 구릉지대로 드넓은 주암호가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7. 한국 고인돌군 세계유산 등록
강화 고인돌」 유적이 2000년 11월 29일 호주 케인즈에서 개최된 제24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강화, 고창, 화순 고인돌" .
8. 우리나라의 고인돌 관광코스
1.전남 순천시
1코스: 보성 서재필생가 → 고일돌공원 → 송광사 → 선암사 → 낙안읍성 민속마을
2코스: 고인돌공원 → 낙안읍성 민속마을 → 선암사 → 송광사 → 주암댐
3코스: 주암호 → 송광사 → 고인돌공원 → 낙안읍성민속마을 → 선암사(1박) → 월등관광농원→ 구례화엄사 → 지리산온천
4코스: 순천 → 순천왜성 → 순천만 → 낙안읍성마을 → 선암사(1박) → 주암호 → 송광사 → 고인돌공원 →보성 서재필 생가
5코스(문화유적 탐방코스) : 주암호 → 고인돌공원 → 송광사 → 선암사
2.전남 화순
1코스: 만연사 → 자치샘 → 진각국사석상 → 정암적려유허비 → 죽수절제아문과능주관아터 → 영벽정 → 삼충각 → 쌍봉사 → 고인돌군 → 운주사 → 도곡온천 → 목적지
2코스: 화순향교 → 만연사 → 최경회장군 사당 및 충의사 → 벽송리 지석묘군 → 숭모관 → 임대정 원림 → 유마사 → 한천농악 전수관 → 오지호 기념관 → 독상리석등 → 동복향교 → 도산서원 → 백아산 자연휴양림 → 백아산 관광목장 → 공룡화석지 → 화순온천 → 목적지
3코스(석조문화 관광코스) : 학서도진각국사석상 → 정암조광조적려유허비 → 성화명도로수축기문과마애비 → 쌍봉사철감선사탑과비 → 화순 고인돌군 → 운주사석불석탑 → 불회사석장승 → 운월리고인돌 → 벽송리고인돌 → 유마사해련부도 → 동복남덕원비 → 독상리석등 → 한산사지삼층석탑 → 화순온천 → 목적지
3.강원도 화진포
화진포 금구도-화진포 고인돌-초도리해변-명사십리명파-통일전망대-대진항
4.강화도
48번 도로 끝까지 따라가며 고려궁지, 고인돌 군을 보는 코스
5.전북 고창군
지리산 노고단 → 구례화엄사 → 광양제철 → 고인돌 공원→ 내장산→ 모악산
6.전북 순창
1코스: 하동 쌍계사(화계장터) → 광양제철 → 순천 송광사→ 고인돌 공원→광주 박물관(민속 박물관) → 모악산
2코스: 내장산 차량관광 → 백양사 → 고창 읍성 → 고인돌 공원→ 격포 채석강 → 새만금 간척지 → 모악산
Ⅲ. 결 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고인돌유적은 홍보의 미비와 개발의 뒤늦음으로 인해서 아직 까지 미개발된 관광자원이다. 고인돌에는 매우 신비롭고 매력이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 자치 단체들이 관광자원의 잠재력을 활용한 개발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 많은 노력하고 있다면, 고인돌군의 관광자원으로 지역주민과 지역자본이 주체가 되어 체험프로그램중심으로 문화와 환경을 보전하며 발전을 시킨다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단체들의 재원확보 뿐만 아니라, 수천년 풍상을 고스란히 견뎌낸 고인돌에서부터 우리나라 고유한 역사를 청동기 시대에서부터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결국 고인돌 유적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생각되며, 우리는 이 문화유적을 잘 개발하여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만들고 가꾸어야 할 것이라 생각하며 이로부터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자립도에도 많은 보탬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보고서를 마치겠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1.1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