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쇤베르크
2.베르크
3.베베른
4.스트라빈스키
5.바르톡
6.힌데미트
7.바일
8.아이브스
9.바레즈
10.거슈인
11.메시앙
12.불레즈
13.슈토크하우젠
14.케이지
15.윤이상
16.루토스아부스키
17.펜데레츠키
18.노노
19.크럼
2.베르크
3.베베른
4.스트라빈스키
5.바르톡
6.힌데미트
7.바일
8.아이브스
9.바레즈
10.거슈인
11.메시앙
12.불레즈
13.슈토크하우젠
14.케이지
15.윤이상
16.루토스아부스키
17.펜데레츠키
18.노노
19.크럼
본문내용
41),
바르샤바 출생으로, 바르샤바음악원에서 말리세프스키에게 이론과 작곡을 배웠으며 바르샤바대학교에서는 수학을 전공한 뒤 폴란드 음악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초기의 작품들은 근본적으로 전통적인 서구의 음조체계를 유지하고 때로는 폴란드 민속음악에서 재제를 취함으로써 양식상 보수적인 경향을 띠었다. 《교향적 변주곡 The Symphonic Variations》(1938)과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Variations on a Theme of Paganini》(1941)은 전통적인 형식의 의존했던 것을 보여 주는 초기작품이다.
현악합주단을 위한 《장송음악 Funeral Music》(1958)이 그의 양식상 전환기를 이룬작품이라고 말했으며, 헝가리의 작곡가 버르토크 벨라(Bartk (Bla)를 추념하는 12음계의 작품으로서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가 발행하는 《국제작곡가신문 Tribune Internationale des Compositeurs》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1961년 베네치아음악제(Venice Festival)를 위해 작곡한 《베네치아의 게임 Venetian Games》에서 처음으로 전통적인 음향효과에 우연성의 음악을 결합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에서 보표 없이 광학적으로 나타내는 기보형식을 사용하여 연주자가 다양하게 즉흥적인 연주하게 했다.
관현악 작품들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작품에 이 외에 피아노소품 동요 합창곡 현악4중주곡 등이 있다. 1955년 민속음악을 바탕으로 한 《관현악단을 위한 협주곡 Concerto for Orchestra》을 작곡한 직후 정부로부터 서훈되었다. 그의 후기 작품들로는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 2》(1967), 《첼로와 관현악단을 위한 협주곡 Concerto for Cello and Orchestra》(1970) 《교향곡 제3번 Symphony No. 3》(1983) 《사슬 2 Chain 2》(1985) 등이 있다.
펜데레츠키
폴란드의 작곡가.
국적 : 폴란드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폴란드 데비카
주요작품 :《스트로페》(1959), 《아나클라시스》(1960), 《히로시마의
데비카 출생. 크라쿠프음악원에서 A.말라프시키와 S.비에초비츠에게 사사하고 곧 이어 그곳 교수가 되었다. 1959년 제3회 '바르샤바의 가을'에서 처음 연주된 10개의 악기와 낭독 및 소프라노를 위한 《스트로페 Strophes》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1960년에는 관현악과 현악기 타악기를 위한 《아나클라시스》 및 52개의 현악기에 의한 《히로시마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등으로 작곡가로서의 독자적인 작풍을 확립하였다. 이들 작품에는 그의 세련되고 능숙한 관현악법이 잘 나타나 있으며, 4분음 등에 의한 음군(音群) 글리산도 하모닉스 등 다양한 기법을 엿볼 수 있다.
또 《다윗의 시편》(1958), 《성모 애가》(1962) 등에서는 그만의 독특한 대위법적 짜임새를 잘 살렸다. 이 밖의 주요작품으로는 《아침기도》(1969 1971), 《성모찬가》(1973 1974), 《드 프로푼디스》(1977), 《바이올린협주곡》(1977) 등이 있으며, 1991년에는 한국 정부의 위촉으로 광복의 의미를 나타내는 작품 《교향곡 제5번》을 작곡, 다음해 8월 14 15일 내한하여 KBS교향악단을 지휘, 초연하였다.
노노
이탈리아의 작곡가.
국적 : 이탈리아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이탈리아 베네치아
주요작품 :《인톨레란찬》(1960) 《사랑의 노래》(1954) 《빨간 외투》(1954)
베네치아 출생. 파도바대학교에서 법률을 전공하고 1941년부터 베네치아음악원에서 B.마데르나에게 작곡을, 세르헨에게 지휘법을 사사한 뒤 1950년 《쇤베르크의 작품 41의 세리에 의한 변주곡》으로 작곡가로서의 실력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가장 주목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서 베베른 후기의 기법을 계승 발전시켜 선율뿐 아니라 음가(音價) 셈여림 밀도 템포 등에 세리의 기법을 도입, 나름대로의 작품을 확립해 나갔다.
주요작품으로는 오페라 《인톨레란찬》(1960)을 비롯하여 합창곡 《사랑의 노래》(1954), 합창 관현악곡 《게르니카의 승리》(1954), 독창과 합창 관현악곡 《중단된 노래》(1955~1956), 독창 합창과 악기를 위한 《영토와 친구》(1958), 합창과 타악기를 위한 《디도네의 마음》(1958), 목소리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요괴가 유럽을 덮쳐 소생한다》(1971), 발레 《빨간 외투》(1954) 등이 알려졌다.
크럼
미국의 작곡가.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음악
출생지 :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턴
주요수상 : 퓰리처상(1968)
주요작품 : 《세월의 메아리와 강》(1968), 《오래된 어린이들의
웨스트버지니아주(州) 찰스턴 출생으로, 일리노이대학교와 미시간대학교를 졸업한 후 버크셔뮤직센터에서 공부했으며, 1955년부터 2년간 독일 작곡가 보리스 블라허(Boris Blacher)로부터 배웠다.
1959 1964년 콜로라도대학교에서 작곡을 가르쳤으며 1965년 이후에는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68년 관현악 작품 《세월의 메아리와 강 Echoes of Time and the Rive》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대부분의 그의 성악곡은 연가곡 《오래된 어린이들의 목소리 Ancient Voices of Children》(1970)와 같이 페데리코 G.로르카(Federico G.Lorca)의 시에 곡을 붙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작품들에 전기를 사용하는 현악4중주를 위한 《검은 천사 Black Angels》(1970), 4명의 지휘자가 필요할 정도로 대규모 합창과 관현악이 결합된 작품 《별 어린이 Star-Child》(1977) 《하늘의 기계공, 마크로코스모스 4 Celestial Mechanics, Makrokosmos IV》(1978) 《환영 Apparition》(1980) 등이 있다.
곡의 특정 부분에 악기의 광범위한 음역과 '쳇' 하는 소리, 속삭임, 혀 차는 소리, 고함 등과 같은 음성 효과에서 나오는 생생한 소리를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바르샤바 출생으로, 바르샤바음악원에서 말리세프스키에게 이론과 작곡을 배웠으며 바르샤바대학교에서는 수학을 전공한 뒤 폴란드 음악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초기의 작품들은 근본적으로 전통적인 서구의 음조체계를 유지하고 때로는 폴란드 민속음악에서 재제를 취함으로써 양식상 보수적인 경향을 띠었다. 《교향적 변주곡 The Symphonic Variations》(1938)과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Variations on a Theme of Paganini》(1941)은 전통적인 형식의 의존했던 것을 보여 주는 초기작품이다.
현악합주단을 위한 《장송음악 Funeral Music》(1958)이 그의 양식상 전환기를 이룬작품이라고 말했으며, 헝가리의 작곡가 버르토크 벨라(Bartk (Bla)를 추념하는 12음계의 작품으로서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가 발행하는 《국제작곡가신문 Tribune Internationale des Compositeurs》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1961년 베네치아음악제(Venice Festival)를 위해 작곡한 《베네치아의 게임 Venetian Games》에서 처음으로 전통적인 음향효과에 우연성의 음악을 결합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에서 보표 없이 광학적으로 나타내는 기보형식을 사용하여 연주자가 다양하게 즉흥적인 연주하게 했다.
관현악 작품들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작품에 이 외에 피아노소품 동요 합창곡 현악4중주곡 등이 있다. 1955년 민속음악을 바탕으로 한 《관현악단을 위한 협주곡 Concerto for Orchestra》을 작곡한 직후 정부로부터 서훈되었다. 그의 후기 작품들로는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 2》(1967), 《첼로와 관현악단을 위한 협주곡 Concerto for Cello and Orchestra》(1970) 《교향곡 제3번 Symphony No. 3》(1983) 《사슬 2 Chain 2》(1985) 등이 있다.
펜데레츠키
폴란드의 작곡가.
국적 : 폴란드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폴란드 데비카
주요작품 :《스트로페》(1959), 《아나클라시스》(1960), 《히로시마의
데비카 출생. 크라쿠프음악원에서 A.말라프시키와 S.비에초비츠에게 사사하고 곧 이어 그곳 교수가 되었다. 1959년 제3회 '바르샤바의 가을'에서 처음 연주된 10개의 악기와 낭독 및 소프라노를 위한 《스트로페 Strophes》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1960년에는 관현악과 현악기 타악기를 위한 《아나클라시스》 및 52개의 현악기에 의한 《히로시마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등으로 작곡가로서의 독자적인 작풍을 확립하였다. 이들 작품에는 그의 세련되고 능숙한 관현악법이 잘 나타나 있으며, 4분음 등에 의한 음군(音群) 글리산도 하모닉스 등 다양한 기법을 엿볼 수 있다.
또 《다윗의 시편》(1958), 《성모 애가》(1962) 등에서는 그만의 독특한 대위법적 짜임새를 잘 살렸다. 이 밖의 주요작품으로는 《아침기도》(1969 1971), 《성모찬가》(1973 1974), 《드 프로푼디스》(1977), 《바이올린협주곡》(1977) 등이 있으며, 1991년에는 한국 정부의 위촉으로 광복의 의미를 나타내는 작품 《교향곡 제5번》을 작곡, 다음해 8월 14 15일 내한하여 KBS교향악단을 지휘, 초연하였다.
노노
이탈리아의 작곡가.
국적 : 이탈리아
활동분야 : 예술
출생지 : 이탈리아 베네치아
주요작품 :《인톨레란찬》(1960) 《사랑의 노래》(1954) 《빨간 외투》(1954)
베네치아 출생. 파도바대학교에서 법률을 전공하고 1941년부터 베네치아음악원에서 B.마데르나에게 작곡을, 세르헨에게 지휘법을 사사한 뒤 1950년 《쇤베르크의 작품 41의 세리에 의한 변주곡》으로 작곡가로서의 실력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가장 주목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서 베베른 후기의 기법을 계승 발전시켜 선율뿐 아니라 음가(音價) 셈여림 밀도 템포 등에 세리의 기법을 도입, 나름대로의 작품을 확립해 나갔다.
주요작품으로는 오페라 《인톨레란찬》(1960)을 비롯하여 합창곡 《사랑의 노래》(1954), 합창 관현악곡 《게르니카의 승리》(1954), 독창과 합창 관현악곡 《중단된 노래》(1955~1956), 독창 합창과 악기를 위한 《영토와 친구》(1958), 합창과 타악기를 위한 《디도네의 마음》(1958), 목소리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요괴가 유럽을 덮쳐 소생한다》(1971), 발레 《빨간 외투》(1954) 등이 알려졌다.
크럼
미국의 작곡가.
국적 : 미국
활동분야 : 음악
출생지 :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턴
주요수상 : 퓰리처상(1968)
주요작품 : 《세월의 메아리와 강》(1968), 《오래된 어린이들의
웨스트버지니아주(州) 찰스턴 출생으로, 일리노이대학교와 미시간대학교를 졸업한 후 버크셔뮤직센터에서 공부했으며, 1955년부터 2년간 독일 작곡가 보리스 블라허(Boris Blacher)로부터 배웠다.
1959 1964년 콜로라도대학교에서 작곡을 가르쳤으며 1965년 이후에는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68년 관현악 작품 《세월의 메아리와 강 Echoes of Time and the Rive》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대부분의 그의 성악곡은 연가곡 《오래된 어린이들의 목소리 Ancient Voices of Children》(1970)와 같이 페데리코 G.로르카(Federico G.Lorca)의 시에 곡을 붙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작품들에 전기를 사용하는 현악4중주를 위한 《검은 천사 Black Angels》(1970), 4명의 지휘자가 필요할 정도로 대규모 합창과 관현악이 결합된 작품 《별 어린이 Star-Child》(1977) 《하늘의 기계공, 마크로코스모스 4 Celestial Mechanics, Makrokosmos IV》(1978) 《환영 Apparition》(1980) 등이 있다.
곡의 특정 부분에 악기의 광범위한 음역과 '쳇' 하는 소리, 속삭임, 혀 차는 소리, 고함 등과 같은 음성 효과에서 나오는 생생한 소리를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