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민국가 인식과 내셔널리즘의 성립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항기의 시기구분

2. 양절체제의 국가(1876∼94년)
2-1. 척양적 개항론
2-2. 개화파와 동도서기파

3. 만국공법체제의 국가(1894∼1905년)
3-1. 중화체제로부터의 이탈과 광무개혁
3-2. 정치적 균열과 국민적 통합의 약화

4. 내셔널리즘의 성립(1905∼10년)
4-1. 국가주의·국민주의·국민경제의 원칙

본문내용

週報의 발행과 조선의 萬國公法 수용」, 『한국전통사회의 구조와 변동』, 문학과지성사, 1986.
[18] 『한성주보』 6호, 1886년 2월 3일, 「논천하시국」(論天下時局).
[19] 『한성주보』 17호, 1886년 4월 21일, 「논서일조약개정안」(論西日條約改正案).
[20] 앞과 같음.
[21] 『한성주보』 1호, 1885년 12월 21일, 「논학정(論學政) 제1」.
[22] 앞과 같음.
[23] 『한성주보』 3호, 1886년 1월 12일, 「영국주세」(英國酒稅).
[24] 『한성주보』 5호, 1886년 1월 26일, 「논화폐(論貨幣) 제2」.
[25] 『한성주보』 18호, 1886년 4월 28일, 「논희랍구난」(論希臘構難); 『한성주보』 25호, 1886년 7월 24일, 「논외교」(論外交).
[26] 『한성주보』 27호, 1886년 8월 9일, 「통계설」(統計說).
[27] 『한성주보』 28호, 1886년 8월 16일, 「논개광」(論開 ).
[28] 『한성주보』 29호, 1886년 8월 23일, 「논상론」(論商論).
[29] 망원한국사연구실, 『1862년 농민항쟁』, 동녘, 1988.
[30] 정창렬, 「조선후기 농민봉기의 정치의식」, 『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 성균관대 출판부, 1984.
[31] 민두기, 「중국에서의 역사의식의 전개」, 『중국의 역사인식』 상, 창작과비평사, 1985, 56쪽; 정창렬, 「실학의 역사관」, 『다산의 정치경제사상』, 창작과비평사, 1990, 48쪽.
[32] 佐藤愼一, 「儒敎とナショナリズム」, 『中國 : 社會と文化』 4, 東京大中國學會, 1989, 37∼40쪽.
[33] 佐藤愼一, 같은 책, 39쪽.
[34] 『일성록』 고종편 31, 고종 31년 12월 12일, 409쪽.
[35] 앞과 같음.
[36] 김윤식, 『속음청사』(續陰晴史) 상, 고종 32년 8월 27일, 국사편찬위원회, 1960, 379쪽.
[37] 같은 책, 고종 32년 8월 28일, 379쪽.
[38] 『일성록』 고종편 34, 건양 2년 5월 16일, 73쪽.
[39] 같은 책, 건양 2년 5월 26일, 83쪽.
[40] 『일성록』 고종편 34, 광무 1년 9월 25일, 190쪽.
[41] 宮嶋博史, 「光武改革論」, 『歷史學硏究』 586, 歷史學硏究會, 1988년 10월 증간호, 17쪽.
[42] 『일성록』 고종편 36, 광무 3년 8월 17일, 201∼202쪽.
[43] 앞과 같음.
[44] 나애자, 「대한제국의 권력구조와 광무개혁」, 이 책의 제 2 부 참조.
[45] 주진오, 「한국근대 집권·관료세력의 민족문제인식과 대응」, 『역사와 현실』1, 한울, 1989, 49∼50쪽.
[46] 梶村秀樹, 「近代朝鮮の商人資本等の外壓への諸對應」, 『歷史學硏究』 554, 歷史學硏究會, 1986년 5월호, 156쪽.
[47] 앞과 같음.
[48] 이광린, 「구한말 진화론의 수용과 그 영향」, 『한국개화사상연구』, 일조각, 1979 ; 이송희, 「한말 애국계몽사상과 사회진화론」, 『부산여대사학』 2, 1984 ; 주진오, 「독립협회의 사회사상과 사회진화론」, 『손보기박사정년기념논총』, 지식산업사, 1988.
[49] 「진화와 퇴화」, 『단재 신채호전집』(개정판) 별집, 208쪽.
[50] 앞과 같음.
[51] 佐藤愼一, 앞의 책, 48쪽.
[52] 정창렬, 「한말 신채호의 역사의식」, 『손보기박사정년기념논총』, 지식산업사, 845쪽.
[53] 「신(身)·가(家)·국(國) 3관념의 변천」, 『단재 신채호전집』(개정판), 별집, 154∼56쪽.
[54] 「20세기 신국민(新國民)」, 앞의 책, 223∼24쪽.
[55] 노인화, 「애국계몽운동」, 이 책의 제5부 참조; 김도형, 「대한제국 말기의 국권회복운동과 그 사상」,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2∼24쪽 ; 박찬승, 「한말 신채호의 역사관과 역사학」, 『한국문화』 9,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88, 318쪽.
[56] 「독사신론」(讀史新論), 『단재신채호전집』(개정판) 상, 471쪽.
[57] 「국수보전설」(國粹保全說), 앞의 책, 별집, 116∼17쪽.
[58] 「동화(同化)의 비관(悲觀)」, 앞의 책, 151쪽.
[59] 정창렬, 「한말 신채호의 역사의식」, 앞의 책, 878∼79쪽.
[60] 「신교육(新敎育 : 情育)과 애국」, 『단재신채호전집』(개정판) 하, 133쪽.
[61] 佐藤愼一, 앞의 책, 52쪽.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1.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