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멘트의 역사와 종류
2.시멘트의 역사
3.시멘트의 종류
2.시멘트의 역사
3.시멘트의 종류
본문내용
시멘트보다 약하다.
- 실리카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에 실리카질 혼화재(混和材:화산회 ·규산백토 ·실리카질 암석의 하소물 등) 30% 이하를 첨가하여 미분쇄(微粉碎)한 혼합시멘트.
시멘트 중의 규산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석회가 되지만, 수산화석회는 실리카물질 중의 활성규산과 반응해서 안정성을 더한다. 화학적 작용에 대한 저항, 수밀성(水密性), 장기강도가 뛰어나므로 일반적인 포틀랜드시멘트와는 다른 특정용도에 사용된다. 반면 조기강도(早期强度)가 작고 건조수축이 크므로 초기양생(初期養生)이 중요하다.
- 알루미나시멘트
알루민산칼슘을 주체로 한 시멘트.
주성분은 알루미나 ·생석회 CaO ·무수규산 등의 용융물(溶融物)이며, CaO ·Al2O3 및 5CaO ·3Al2O3이 주요 광물로서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서 알루미나 성분이 상당히 많다. 석회석과 보크사이트 또는 반토혈암(礬土頁岩) 등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점토류(粘土類)와 배합하여 1,500~1,600 에서 용융한 다음 유출시켜서 냉각한 후 미세한 분말로 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틀랜드시멘트는 황산이온에 침식되기 쉽기 때문에 이 결점을 없애려고 연구한 결과, 20세기 초에 프랑스와 미국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다. 물과 섞은 다음 경화(硬化)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은, 조강(早强)시멘트로서 냉한지에서의 공사나 급한 공사에 사용된다.
- 착색시멘트
백색시멘트에 내(耐)알칼리성 무기질의 안료를 고루 혼합하여 착색한 시멘트.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표면의 화장용(化粧用)으로 쓰이는데, 색을 다른 것과 혼합해서 쓰면 사용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때가 있다. 그리고 화학성분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거의 같다.
- 천연시멘트
규산(珪酸) ·알루미나 ·산화철 등의 염기성분(鹽基成分)이 많은 점토를 20~30 % 함유한 석회석을 소성(燒成)하여 만든 시멘트.
특히, 염기성분이 많은 것을 천연포틀랜드시멘트, 염기성분이 적은 것은 로만시멘트로 구별하고 있다. 수경성(水硬性)이 풍부한 점에서 수경성 석회와 비슷하지만 점토분이 함유된 것이 다르다. 프랑스나 벨기에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 포틀랜드시멘트
1824년 영국의 J.애스프딘이 제조법을 발명한 시멘트.
그 경화체(硬化體)가 영국의 포틀랜드섬에서 생산되는 돌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 같은 이름을 붙였다. 주성분은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酸化鐵) 등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라고 하면 이것을 말하며,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재료 배합에 따른 성질로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중용열(中庸熱) 포틀랜드시멘트, 조강(早强) 포틀랜드시멘트 등과 같이 분류된다.
- 플라이애시시멘트
플라이애시를 혼화재(混和材)로 사용한 시멘트.
플라이애시는 미분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의 연도(煙道) 가스로부터 집진기(集塵器)로 채취한다. 여기에 포틀랜드 시멘트의 원료인 클링커와 적당량의 석고(石膏)를 가하여 미분쇄하거나, 시멘트와 플라이애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만든다.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된다.
- 실리카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에 실리카질 혼화재(混和材:화산회 ·규산백토 ·실리카질 암석의 하소물 등) 30% 이하를 첨가하여 미분쇄(微粉碎)한 혼합시멘트.
시멘트 중의 규산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석회가 되지만, 수산화석회는 실리카물질 중의 활성규산과 반응해서 안정성을 더한다. 화학적 작용에 대한 저항, 수밀성(水密性), 장기강도가 뛰어나므로 일반적인 포틀랜드시멘트와는 다른 특정용도에 사용된다. 반면 조기강도(早期强度)가 작고 건조수축이 크므로 초기양생(初期養生)이 중요하다.
- 알루미나시멘트
알루민산칼슘을 주체로 한 시멘트.
주성분은 알루미나 ·생석회 CaO ·무수규산 등의 용융물(溶融物)이며, CaO ·Al2O3 및 5CaO ·3Al2O3이 주요 광물로서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서 알루미나 성분이 상당히 많다. 석회석과 보크사이트 또는 반토혈암(礬土頁岩) 등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점토류(粘土類)와 배합하여 1,500~1,600 에서 용융한 다음 유출시켜서 냉각한 후 미세한 분말로 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틀랜드시멘트는 황산이온에 침식되기 쉽기 때문에 이 결점을 없애려고 연구한 결과, 20세기 초에 프랑스와 미국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다. 물과 섞은 다음 경화(硬化)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은, 조강(早强)시멘트로서 냉한지에서의 공사나 급한 공사에 사용된다.
- 착색시멘트
백색시멘트에 내(耐)알칼리성 무기질의 안료를 고루 혼합하여 착색한 시멘트.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표면의 화장용(化粧用)으로 쓰이는데, 색을 다른 것과 혼합해서 쓰면 사용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때가 있다. 그리고 화학성분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거의 같다.
- 천연시멘트
규산(珪酸) ·알루미나 ·산화철 등의 염기성분(鹽基成分)이 많은 점토를 20~30 % 함유한 석회석을 소성(燒成)하여 만든 시멘트.
특히, 염기성분이 많은 것을 천연포틀랜드시멘트, 염기성분이 적은 것은 로만시멘트로 구별하고 있다. 수경성(水硬性)이 풍부한 점에서 수경성 석회와 비슷하지만 점토분이 함유된 것이 다르다. 프랑스나 벨기에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 포틀랜드시멘트
1824년 영국의 J.애스프딘이 제조법을 발명한 시멘트.
그 경화체(硬化體)가 영국의 포틀랜드섬에서 생산되는 돌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 같은 이름을 붙였다. 주성분은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酸化鐵) 등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라고 하면 이것을 말하며,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재료 배합에 따른 성질로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중용열(中庸熱) 포틀랜드시멘트, 조강(早强) 포틀랜드시멘트 등과 같이 분류된다.
- 플라이애시시멘트
플라이애시를 혼화재(混和材)로 사용한 시멘트.
플라이애시는 미분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의 연도(煙道) 가스로부터 집진기(集塵器)로 채취한다. 여기에 포틀랜드 시멘트의 원료인 클링커와 적당량의 석고(石膏)를 가하여 미분쇄하거나, 시멘트와 플라이애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만든다.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