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DeSeCo 프로젝트
1) DeSeCo 프로젝트 개요
2) DeSeCo 프로젝트 핵심 역량
2. 보육교사 핵심역량
1) 보육교사 핵심역량의 개념
2) 보육교사 핵심역량의 특징
3) DeSeCo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의 핵심역량
Ⅲ. 결론
Ⅳ. 출처
Ⅰ. 서론
Ⅱ. 본론
1. DeSeCo 프로젝트
1) DeSeCo 프로젝트 개요
2) DeSeCo 프로젝트 핵심 역량
2. 보육교사 핵심역량
1) 보육교사 핵심역량의 개념
2) 보육교사 핵심역량의 특징
3) DeSeCo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의 핵심역량
Ⅲ. 결론
Ⅳ. 출처
본문내용
한다. 또한 교사 개인의 능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과 연대하고 협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타인의 생각을 경청하고 자신의 리더십을 함께 나누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생기는 갈등 또한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③ 자율적으로 행동하기(act autonomously)
이 역량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대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 이는 교사가 목표를 세우고 이게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이 가진 자원과 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등 진취적이고 탄력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역량의 개발을 위해 보육교사는 자신의 행동이 자신과 사회에 끼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책임감 있게 사고하고 행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구조와 문화, 관습, 규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보육현장에서 교사로서의 모습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의 주체로 인생의 목적을 정하고 현재 자신의 모습과 지향하는 바람직한 자신의 모습의 차이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인생의 세부 목표와 우선 순위를 정하여 구체적인 삶의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다.
Ⅲ. 결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영유아가 길러야 할 핵심역량을 근거로 교육과정의 전 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영유아를 보육·교육해야 하는 유아교사 또한 그 직무에 맞는 핵심역량이 필요하다. 각 직무에 필요한 핵심역량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DeSeCo 프로젝트가 제시되었다.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물리적인 외적 요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맥락에서 발휘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은 교사 개인의 인지적, 사회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각 요소들이 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휘되는 총체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직무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익히며 주체적인 존재가 되는 것이 보육교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핵심역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뿐만 아니라 한 개인이 사회 속에서 다른 어떠한 직무를 수행할 때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세심한 관찰, 인간 발달에 대한 이해 등 더 전문적인 지식과 영유아 및 학부모, 동료 교사 등과의 상호작용과 교육에 대한 기술, 소명을 가지고 영유아를 보육하는 등의 태도가 보육교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Ⅳ. 출처
보육교사의 보육 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조사 연구. 박경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OECD DeSeCo 및 Education 2030 프로젝트 일 고찰: 학교 교육에 주는 시사. 이사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역량진단시스템”. “역량의 이해”.
https://www.nhi.go.kr/cad/frontAbi/cacAbi.do
예스폼 서식사전. “역량”
③ 자율적으로 행동하기(act autonomously)
이 역량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대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 이는 교사가 목표를 세우고 이게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이 가진 자원과 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등 진취적이고 탄력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역량의 개발을 위해 보육교사는 자신의 행동이 자신과 사회에 끼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책임감 있게 사고하고 행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구조와 문화, 관습, 규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보육현장에서 교사로서의 모습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의 주체로 인생의 목적을 정하고 현재 자신의 모습과 지향하는 바람직한 자신의 모습의 차이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인생의 세부 목표와 우선 순위를 정하여 구체적인 삶의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다.
Ⅲ. 결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영유아가 길러야 할 핵심역량을 근거로 교육과정의 전 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영유아를 보육·교육해야 하는 유아교사 또한 그 직무에 맞는 핵심역량이 필요하다. 각 직무에 필요한 핵심역량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DeSeCo 프로젝트가 제시되었다.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물리적인 외적 요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맥락에서 발휘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은 교사 개인의 인지적, 사회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각 요소들이 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휘되는 총체적인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직무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익히며 주체적인 존재가 되는 것이 보육교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핵심역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뿐만 아니라 한 개인이 사회 속에서 다른 어떠한 직무를 수행할 때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세심한 관찰, 인간 발달에 대한 이해 등 더 전문적인 지식과 영유아 및 학부모, 동료 교사 등과의 상호작용과 교육에 대한 기술, 소명을 가지고 영유아를 보육하는 등의 태도가 보육교사가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Ⅳ. 출처
보육교사의 보육 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조사 연구. 박경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OECD DeSeCo 및 Education 2030 프로젝트 일 고찰: 학교 교육에 주는 시사. 이사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역량진단시스템”. “역량의 이해”.
https://www.nhi.go.kr/cad/frontAbi/cacAbi.do
예스폼 서식사전. “역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