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의 생태학적현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DMZ 생성기

2.접경지역의 범위 설정

3.DMZ의 자연지리 및 지형특성

4.DMZ 자연생태계 조사 현황

5.DMZ 자연생태계 현황과 특성

6.DMZ의 자연생태학적 가치

7.남북협력시대의 DMZ의 보전가치

8.DMZ생태계의 보전방안

본문내용

도로의 건설이 필요하다. 지금 건설중인데 남.북을 모든 면에서 이어줄 아주 큰 사업인 것이다.
사천강 유역의 많은 부분이 군사분계선 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북측 구간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도 남측구간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경의선 철도 복원 및 도로건설 남북 환경공동조사단의 구성이 필요하다.
- 다섯째, 접경생물권 보전지역의 기능에 대한 주기적 평가가 5년마다 이루어져야 하므로 DMZ 공동관리를 위해 남과 북이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담는 행동계획이 될 "DMZ 의제21"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DMZ의 생태관광 코스화 계획이 포함될 수 있다.
DMZ는 남과 북이 공유하는 자연유산으로서 이 지역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는 것은 우리 후세를 위해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가 해야할 일이다.
DMZ는 냉전 이대올로기가 만든 정치적 산물이다. 그러나 모든 것을 다 앗아간 줄 알았던 DMZ는 그 반사적 이익으로 자연생태계를 우리에게 '선물'로 내놓았다. 방치됐지만, 일부러 손대지 않은 자연, 전쟁으로 파괴됐지만 그 후 반세기 동안 자연이 스스로 복원해낸 질서. DMZ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DMZ는 충분히 보호받을 권리가 있으리라 본다.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경제는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학문이다. 생태적 환경기능이 순기능을 유지하여야, 경제도 산다. 남북 공존을 위해 특히 남한 정부측 건설입안자나 산하 공사 및 연구원 관계자들은 그들의 계획이 가져올 엄청난 환경 부담의 경제적 손실에 대해서 지난 일을 반드시 되돌아보길 바란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