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의 수수께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석굴암의 수수께기

1. 인류의 문화 유산 석굴암
2. 석굴암의 제습 메카니즘
2.1 원형의 훼손을 초래한 복원 공사
2.2 현재 석굴암의 문제점
2.3 원형 석굴암의 제습 기능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무런 공조기가 없었기 때문에 오로지 자연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혹독한 장마철을 이겨내도록 설계된 것이다. (Fig. 2 참조)
< Fig. 2 >
4. 신라인의 지혜를 이어받아
천년동안 보존되어온 석굴암은 조상이 우리에게 남겨준 훌륭한 문화유산이다. 종교적으로나 문화적으로도 그렇지만 과학적인 면에서도 그 훌륭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석굴암의 자연 제습 효과를 이용한다면 농작물이나 곡물 등의 저장에도 아주 커다란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에너지가 전혀 소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현재 알려져 있지 않은 수많은 조상들의 지혜는 현대를 사는 우리들이 꼭 풀어야만 하는 과제이다. 조상들은 우리에게 문화적인 자산을 남겨주기 보다는 그 지혜를 남겨 주고 싶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5. 참고문헌
- http://www.koreaeye.co.kr/webzine/science/seokgulam01.html
- KBS 역사스페셜 2002년 2월 2일 방송분 ' 발견, 100년전의 사진 석굴암 원형을 찾았다'
- 원형 석굴암의 상부구조의 장마철 결로(結露) 및 열전달 현상의 실험적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송태호 교수)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