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목차
Ⅰ. 조사개요
1. 조사의 목적
2. 조사방법 및 조사 기본방향
3. 실버층의 개념정의
Ⅱ. 일본의 경제동향과 전망
1. 일본의 경제동향 및 경기회복 추이
2. 향후 경제전망
Ⅲ. 일본 실버층의 사회적 특성
1. 일본 인구구조의 고령사회화특성
2. 일본의 사회보장제도
3. 노동
4. 여가
Ⅳ. 일본인의 해외여행실태
1. 98년 일본인의 해외여행 동향
2. 일본인의 해외여행 성향
Ⅴ. 일본 실버층의 방한여행실태
1. 일본인의 방한여행 동향
2. 일본 실버층의 방한여행 성향
Ⅷ. 향후 전망 및 대응방안
1. 일본인 해외여행 전망과 경향
2. 일본 실버층 관광시장의 중요성
3. 일본 실버층 유치증대 방안
1. 조사의 목적
2. 조사방법 및 조사 기본방향
3. 실버층의 개념정의
Ⅱ. 일본의 경제동향과 전망
1. 일본의 경제동향 및 경기회복 추이
2. 향후 경제전망
Ⅲ. 일본 실버층의 사회적 특성
1. 일본 인구구조의 고령사회화특성
2. 일본의 사회보장제도
3. 노동
4. 여가
Ⅳ. 일본인의 해외여행실태
1. 98년 일본인의 해외여행 동향
2. 일본인의 해외여행 성향
Ⅴ. 일본 실버층의 방한여행실태
1. 일본인의 방한여행 동향
2. 일본 실버층의 방한여행 성향
Ⅷ. 향후 전망 및 대응방안
1. 일본인 해외여행 전망과 경향
2. 일본 실버층 관광시장의 중요성
3. 일본 실버층 유치증대 방안
본문내용
층을 표적시장으로 삼기에 충분한 목적지라 할 수 있다.
다. 사회성 여가 관련 장기체재 유도
일본여행업협회(JATA)의 조사결과 일본내 대도시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일본인의 경우 약 70%가 해외여행 경험이 있을 정도로 해외여행에 익숙하다. 이들은 최근 단체여행에 식상하였는지 정년후 해외에서 장기간 체재하며, 현지에서 자원봉사활동 등을 하면서 새로운 삶을 발견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체재기간은 1개월에서 3개월 정도로 관광지를 돌아보는 것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통예술을 통하여 현지인과 교류하기도 하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50대 이상 일본인을 위주로 점차 기반을 넓혀가는 사회성 여가(제 3장 참조)에 대한 의욕이 국경을 초월하여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기있는 지역은 치안과 의료면에서 안정되어 있는 하와이, 호주, 캐나다, 미국 서해안 등으로 아직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은 인기가 높지 않으나 한국은 사회가 안정되어 있고, 같은 한자 문화권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어 이들 실버층 장기체류자를 유치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내 일본어 강사 체험, 환경보호와 생태관광을 연결한 상품 등 사회봉사와 연관된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상품의 경우 아직은 여행사가 직접 판매하기에는 위험부담이 있어 정부, 지자체, 공사 등 공공부문에서 시험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장기체재 유도 상품이 단기간내에 많은 방한객을 유치하기는 어려울지 모르나 관광지로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는데는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JTB(일본교통공사)의 해외여행실태조사에 의하면 일본 실버층은 관광목적지로서 한국에 대해 자주 방문하는 목적지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수를 주고 있지 않다. 이는 그동안 이들이 방한여행시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위주로 3-4일간 단기체재 여행을 주로 함으로써 친밀감을 느낄 정도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사회성 여가와 관련있는 활동으로 장기체재를 유도하면 이들은 본국에 돌아가서도 여전히 한국에 대해 연대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라. 주유형 상품에서 체험형 상품으로 전환
JTB의 해외여행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일본 실버층이 선호하는 여행지 활동은 자연풍경 관광, 역사문화 관광, 미술관·박물관 견학 등 주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을 방문하는 실버층은 재방문자가 많아 대도시 주변 관광이나 사적지, 미술관, 박물관 관람 등은 이미 경험한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이들 실버층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실버층의 성향에 적합한 체험형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제 3장에서도 밝혔듯이 최근 일본 실버층의 경우 여가와 관련하여 도예, 서예, 조각, 미술 등 예술활동에 대한 잠재수요가 매년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도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다.
우리나라는 다행히 현재 지방 이벤트 중에 도예관련 이벤트가 많은 편이며, 이천 및 여주 등 경기도지역에서 개최되는 도자기관련 이벤트의 경우 상당한 지명도도 얻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예관련 이벤트의 경우 해당 기간중에만 도예 체험을 할 수 있어 일본 실버층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어 도자기 제작 체험을 위한 상설 체험장이 더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 한·중·일 연계 크루즈상품 개발
크루즈는 실버층이 타 연령층에 비해 가장 선호하는 여행형태로서 최근 일본, 한국 등을 중심으로 크루즈에 대한 관심이 차츰 증가하면서 향후 아시아 지역에서 크루즈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현재 정부차원에서 동북아지역(한·중·일)을 연계하는 오리엔트 크루즈관광사업 추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부산, 제주를 비롯한 동해안 항구에 크루즈 전용항 건설을 검토중에 있다.
동북아 연계 크루즈관광상품 개발시 1차적으로는 일본 실버층을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역내 소비시장이 충분히 성숙되지는 않았지만 일본 실버층의 경우 이미 고가·장기간의 크루즈 관광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94년 일본에서 "97일간의 세계여행 크루즈" 모객시 여행비용이 300만엔에서 1천만엔까지 고액이었지만 250명의 대기자까지 있을 정도로 관심을 끈 적이 있다. 동북아 크루즈 상품의 경우 이보다는 저렴할 것이므로 보다 많은 실버층이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본다. 그러나 크루즈사업은 필수적인 항만이나 전용터미널 등 기반시설의 확충에 많은 자본이 소요되어 정부의 주도 또는 지원이 필수적이다.
< 참고 문헌 >
1. 국내문헌
법무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1993 - 1998.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실태조사」 1996 - 1998.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연보」 1992 - 1998.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월보」 1998.1 - 1999.7
한국관광공사, 「관광시장정보」 1999. 봄호-가을호
한국관광공사, 「일본 20-30대 여성층 관광시장조사」 1998
나남출판, 「일본경제의 선택」 1995
한국관광학회, 「관광학 연구」 1999
2. 국외문헌
文藝春秋, 「日本の 論點 '99」 1998. 11.
こう書房, 「そうか, 日本は こう わるのか」 1998. 10.
中央法規, 「高齡社會福祉の 地域計劃」 1998. 5.
國勢社, 「日本國勢圖會 1999/2000」, 1999.
每日新聞社, 「日本人と國際線の旅」 1996 ∼ 1998.
餘暇開發センタ-, 「レジャ-白書 '99」, 1999. 4.
日本銀行, 「經濟統計月報」
日本 總理府, 「觀光白書 1998」, 1998. 6.
日本交通公社, 「旅行年報」 1997 ∼ 1998.
日本交通公社, 「旅行動向」 1999. vol.3
日本交通公社, 「JTB Report」 '97 ∼ '99.
日本統計協會, 「統計でみる日本 '98/'99」, 1998. 10.
總務廳 統計局, 「家計調査報告」
日本觀光協會, 「數字で みる 觀光」 1999
Travel Journal, 「Japan Travel Blue Book」 '96/'97 ∼ /'98/'99.
다. 사회성 여가 관련 장기체재 유도
일본여행업협회(JATA)의 조사결과 일본내 대도시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일본인의 경우 약 70%가 해외여행 경험이 있을 정도로 해외여행에 익숙하다. 이들은 최근 단체여행에 식상하였는지 정년후 해외에서 장기간 체재하며, 현지에서 자원봉사활동 등을 하면서 새로운 삶을 발견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체재기간은 1개월에서 3개월 정도로 관광지를 돌아보는 것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통예술을 통하여 현지인과 교류하기도 하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50대 이상 일본인을 위주로 점차 기반을 넓혀가는 사회성 여가(제 3장 참조)에 대한 의욕이 국경을 초월하여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기있는 지역은 치안과 의료면에서 안정되어 있는 하와이, 호주, 캐나다, 미국 서해안 등으로 아직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은 인기가 높지 않으나 한국은 사회가 안정되어 있고, 같은 한자 문화권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어 이들 실버층 장기체류자를 유치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내 일본어 강사 체험, 환경보호와 생태관광을 연결한 상품 등 사회봉사와 연관된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상품의 경우 아직은 여행사가 직접 판매하기에는 위험부담이 있어 정부, 지자체, 공사 등 공공부문에서 시험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장기체재 유도 상품이 단기간내에 많은 방한객을 유치하기는 어려울지 모르나 관광지로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는데는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JTB(일본교통공사)의 해외여행실태조사에 의하면 일본 실버층은 관광목적지로서 한국에 대해 자주 방문하는 목적지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수를 주고 있지 않다. 이는 그동안 이들이 방한여행시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위주로 3-4일간 단기체재 여행을 주로 함으로써 친밀감을 느낄 정도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사회성 여가와 관련있는 활동으로 장기체재를 유도하면 이들은 본국에 돌아가서도 여전히 한국에 대해 연대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라. 주유형 상품에서 체험형 상품으로 전환
JTB의 해외여행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일본 실버층이 선호하는 여행지 활동은 자연풍경 관광, 역사문화 관광, 미술관·박물관 견학 등 주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을 방문하는 실버층은 재방문자가 많아 대도시 주변 관광이나 사적지, 미술관, 박물관 관람 등은 이미 경험한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이들 실버층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실버층의 성향에 적합한 체험형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제 3장에서도 밝혔듯이 최근 일본 실버층의 경우 여가와 관련하여 도예, 서예, 조각, 미술 등 예술활동에 대한 잠재수요가 매년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도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다.
우리나라는 다행히 현재 지방 이벤트 중에 도예관련 이벤트가 많은 편이며, 이천 및 여주 등 경기도지역에서 개최되는 도자기관련 이벤트의 경우 상당한 지명도도 얻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예관련 이벤트의 경우 해당 기간중에만 도예 체험을 할 수 있어 일본 실버층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어 도자기 제작 체험을 위한 상설 체험장이 더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 한·중·일 연계 크루즈상품 개발
크루즈는 실버층이 타 연령층에 비해 가장 선호하는 여행형태로서 최근 일본, 한국 등을 중심으로 크루즈에 대한 관심이 차츰 증가하면서 향후 아시아 지역에서 크루즈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현재 정부차원에서 동북아지역(한·중·일)을 연계하는 오리엔트 크루즈관광사업 추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부산, 제주를 비롯한 동해안 항구에 크루즈 전용항 건설을 검토중에 있다.
동북아 연계 크루즈관광상품 개발시 1차적으로는 일본 실버층을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역내 소비시장이 충분히 성숙되지는 않았지만 일본 실버층의 경우 이미 고가·장기간의 크루즈 관광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94년 일본에서 "97일간의 세계여행 크루즈" 모객시 여행비용이 300만엔에서 1천만엔까지 고액이었지만 250명의 대기자까지 있을 정도로 관심을 끈 적이 있다. 동북아 크루즈 상품의 경우 이보다는 저렴할 것이므로 보다 많은 실버층이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본다. 그러나 크루즈사업은 필수적인 항만이나 전용터미널 등 기반시설의 확충에 많은 자본이 소요되어 정부의 주도 또는 지원이 필수적이다.
< 참고 문헌 >
1. 국내문헌
법무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1993 - 1998.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실태조사」 1996 - 1998.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연보」 1992 - 1998.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월보」 1998.1 - 1999.7
한국관광공사, 「관광시장정보」 1999. 봄호-가을호
한국관광공사, 「일본 20-30대 여성층 관광시장조사」 1998
나남출판, 「일본경제의 선택」 1995
한국관광학회, 「관광학 연구」 1999
2. 국외문헌
文藝春秋, 「日本の 論點 '99」 1998. 11.
こう書房, 「そうか, 日本は こう わるのか」 1998. 10.
中央法規, 「高齡社會福祉の 地域計劃」 1998. 5.
國勢社, 「日本國勢圖會 1999/2000」, 1999.
每日新聞社, 「日本人と國際線の旅」 1996 ∼ 1998.
餘暇開發センタ-, 「レジャ-白書 '99」, 1999. 4.
日本銀行, 「經濟統計月報」
日本 總理府, 「觀光白書 1998」, 1998. 6.
日本交通公社, 「旅行年報」 1997 ∼ 1998.
日本交通公社, 「旅行動向」 1999. vol.3
日本交通公社, 「JTB Report」 '97 ∼ '99.
日本統計協會, 「統計でみる日本 '98/'99」, 1998. 10.
總務廳 統計局, 「家計調査報告」
日本觀光協會, 「數字で みる 觀光」 1999
Travel Journal, 「Japan Travel Blue Book」 '96/'97 ∼ /'9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