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제 1 장 신세계의 기수
1. 평민과 역사의 발견 문학혁명
2. 개인의 발견과 여성의 해방
3. 과학방법과 문제를 찾아
제 2 장 중국문명의 재창조를 위하여
1. 전통학술 문화의 비판적 정리 (국고정리)
2. 전통문화 비판
제 3 장 외로운 자유주의자의 길
1. 자유와 용인
2. 인권과 민권의 갈림길
3. 민주헌정으로의 길
4. 학생운동의 격랑 속에서
5. 공산당과의 거리
제 1 장 신세계의 기수
1. 평민과 역사의 발견 문학혁명
2. 개인의 발견과 여성의 해방
3. 과학방법과 문제를 찾아
제 2 장 중국문명의 재창조를 위하여
1. 전통학술 문화의 비판적 정리 (국고정리)
2. 전통문화 비판
제 3 장 외로운 자유주의자의 길
1. 자유와 용인
2. 인권과 민권의 갈림길
3. 민주헌정으로의 길
4. 학생운동의 격랑 속에서
5. 공산당과의 거리
본문내용
싸움으로 참다운 憲政의 길은 안팎으로 힘든 상황이 되어 버렸다.
4. 學生運動의 激浪 속에서
5·4 운동 이래로 중국의 學生運動은 그 활발성을 띠어가게 된다. 혼란하고 투명하지 못했던 국가를 상대로 청년 學生들의 그 같은 운동은 당연한 것이었지만 學生運動의 정치화와 대중적인 힘으로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려는 것, 그리고 수업거부를 수반하는 學生運動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胡適은 學生運動의 주체적 입장을 갖게 하는데 집단적 수업거부가 가장 큰 장애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수업 거부로 인해 학문적으로 낙후된 중국에서 학업에 장애가 되며 個人主體를 상실한 군중 심리에 휩쓸려 버린단 이유에 반대하였다. 個人과 集團간의 관계에서 個人의 主體性에 우위를 두고 있었던 것이었다.
그는 1927년 國民黨의 정치를 교육하는 黨化敎育에 반대하여 대학원위원을 사퇴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대학이 행정기관의 간섭을 덜 받아야만 自由와 責任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학교 당국은 책임 있는 言論自由를 행사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自由主義 "寬容"과 "言論自由"의 원칙을 적용하였다.
戰後 學生運動의 1단계는 전쟁기간 동안 피난 갔다가 전후 학교로 복학 시에 받게 되어 있던 심사·재교육을 반대하는 "反審査 運動"이었다. 제 2단계는 1946년 미군이 중국의 한 여학생을 강간하려 한 사건을 계기로 "反美國, 暴力彈壓反對" 운동이었다. 胡適은 이 같은 사건이 불행이 일어난 사건이었음은 인정하였으나 법률적으로 대처해야지 미군 철수 요구와는 별개의 것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제 3단계는 "反飢餓 , 反內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높은 인플레로 인한 경제적 혼란과 그로 인해 식량난이 문제가 되었고 그 원인은 內戰이라고 보았다. 이 무렵의 內戰은 중앙당인 國民黨이 강자의 입장에서 共産黨을 공격하는 입장으로 비쳐짐으로 내전 정지 요구는 共産黨에게 유리한 요구였다.
당시 學生運動은 共産黨의 지휘를 받고 있었으며 그러기에 전국적으로 그리고 더욱 격렬하게 진행되었던 것이다.
5. 共産黨과의 거리
胡適은 구체적 문제의 구체적 연구를 통해 개혁을 이루고자 하였으니 그에 반하는 共産黨과는 맞을 수가 없었기에 일관되게 共産黨을 반대하였다. 또한 마르크스주의가 계급간의 원한을 키워 적대관계에 서게 함으로 건설적인 해결 방법을 불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1926년 모스크바에 갔을 때 중국 민족과 비교하여 이상을 가지고 계획과 신념을 가진 성실한 목적 지향성에 놀라고 그들의 방법만은 배워야 한다고 하였다.
그라나 현실적으로 견해가 대립되는 것은 계급 투쟁이외에 제국주의 관의 차이, 共産黨이 국가 건설의 방해한다는 점이었다. 특히 국제 제국주의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共産黨은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해선 胡適을 쟁취할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胡適의 共産政權에 대한 비판 태도는 확고하였다. 1952년 대북의 《中央日報》회견에서는 共産이 아니면 철저한 反 共産이라야 하며 그 사이에서 어슬렁거리고 주저할 여지도 없다고 하였다. 또한 胡適은 인민 정부를 부정하는 사람들의 활동이 많았다고 말하면서 5·4 운동 기념일인 1957년 5월 4일에 북경 대학생들이 기념 집회를 열어 共産黨을 비판하였으며 5·4 운동 이래의 과제인 民主· 自由·民權을 위해 싸우는 활동을 하였음을 소개하였다.
결국 중국에는 自由가 없고 民權이 없어 自由選擧가 없었음에 청년들의 타도 대상이 되었고 지식인, 노동자, 농민들 또한 共産黨을 원망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하였다.
《중국에서의 자유주의의 실험》이 책은 중국 전통의 사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유주의의 실험을 시도했던 호적이란 인물에 대한 삶과 내력에 대해 적어놓은 책이다. 자유주의의 실험이 호적생전에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고찰하고 호적의 생애를 전기문 식으로 다룬 것이 아닌 그의 인간으로서의 자유주의자로서의 측면만을 고찰 대상으로 적어놓은 글이었다.
호적이 평생을 두고 일관하여 중국에 자유주의를 뿌리내리기 위해 노력한 결과를 이 책에서는 소개하면서 자유주의자로서의 외롭고 험난한 역정을 걸어온 호적의 삶에 대해 조망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자유주의 란 타인에 대한 용인(관용)으로써 보장된 개인의 가치의 유지 발전을 사회적 정치적 진보의 근본 목표로 삼고, 자유를 정치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다원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독재적인 방법이 아닌 민주주의적 법치의 방법으로 점진적 개혁을 하자는 것이지만, 그것은 끝내 호적의 생전에는 열매맺지 못하였다고 설명하였다.
문득 이런 생각을 해보았다. 중국의 경우 호적이라는 대표적인 자유주의자를 갖고 있었으나 한국의 경우는 어떠했을까. 적어도 내가 생각하기에는 안타깝게도 식민지 시기와 분단 상황을 거치면서 호적 같은 자유주의자를 갖고 있지 못했던 것 같다. 물론 호적이란 자유주의자를 소유했었다고 해서 중국이 현재 우리 나라 보다 자유주의나 민주주의 면에서 발전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란 학업을 배우고 전공으로 하는 한 사람으로서는 우리의 역사를 뒤돌아봄에 왠지 모를 약간의 아쉬움과 씁쓸함이 남음을 숨기지는 못하겠다. 당시의 모진 풍파와 시련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알고 꾸준히 지켜나가려고 하였던 호적의 그 자세만큼은 과거는 어찌되었든 현 역사를 써나가야 할 우리로써는 좋은 본보기로 여기어 배워나가야 할 것이다.
《 - 끝 - 》
《 목 차 》
제 1 장 新世界의 旗手
1. 平民과 歷史의 발견 文學革命
2. 個人의 발견과 女性의 해방
3. 科學方法과 問題를 찾아
제 2 장 中國文明의 재창조를 위하여
1. 전통학술 문화의 비판적 정리 (國故整理)
2. 전통문화 비판
제 3 장 외로운 自由主義者의 길
1. 自由와 容忍
2. 人權과 民權의 갈림길
3. 民主憲政으로의 길
4. 學生運動의 激浪 속에서
5. 共産黨과의 거리
※ 동아시아 현대사 레포트 ※
『中國에서의 自由主義의 實驗 』
- 胡適의 思想과 活動 -
수업명 : 동아시아현대사
교수명 : 이금명 교수님
제출일 : 11월 7일 목요일
제출자 : 허웅구
학 번 : 200203557
학 과 : 사학반
4. 學生運動의 激浪 속에서
5·4 운동 이래로 중국의 學生運動은 그 활발성을 띠어가게 된다. 혼란하고 투명하지 못했던 국가를 상대로 청년 學生들의 그 같은 운동은 당연한 것이었지만 學生運動의 정치화와 대중적인 힘으로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려는 것, 그리고 수업거부를 수반하는 學生運動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胡適은 學生運動의 주체적 입장을 갖게 하는데 집단적 수업거부가 가장 큰 장애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수업 거부로 인해 학문적으로 낙후된 중국에서 학업에 장애가 되며 個人主體를 상실한 군중 심리에 휩쓸려 버린단 이유에 반대하였다. 個人과 集團간의 관계에서 個人의 主體性에 우위를 두고 있었던 것이었다.
그는 1927년 國民黨의 정치를 교육하는 黨化敎育에 반대하여 대학원위원을 사퇴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대학이 행정기관의 간섭을 덜 받아야만 自由와 責任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학교 당국은 책임 있는 言論自由를 행사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自由主義 "寬容"과 "言論自由"의 원칙을 적용하였다.
戰後 學生運動의 1단계는 전쟁기간 동안 피난 갔다가 전후 학교로 복학 시에 받게 되어 있던 심사·재교육을 반대하는 "反審査 運動"이었다. 제 2단계는 1946년 미군이 중국의 한 여학생을 강간하려 한 사건을 계기로 "反美國, 暴力彈壓反對" 운동이었다. 胡適은 이 같은 사건이 불행이 일어난 사건이었음은 인정하였으나 법률적으로 대처해야지 미군 철수 요구와는 별개의 것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제 3단계는 "反飢餓 , 反內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높은 인플레로 인한 경제적 혼란과 그로 인해 식량난이 문제가 되었고 그 원인은 內戰이라고 보았다. 이 무렵의 內戰은 중앙당인 國民黨이 강자의 입장에서 共産黨을 공격하는 입장으로 비쳐짐으로 내전 정지 요구는 共産黨에게 유리한 요구였다.
당시 學生運動은 共産黨의 지휘를 받고 있었으며 그러기에 전국적으로 그리고 더욱 격렬하게 진행되었던 것이다.
5. 共産黨과의 거리
胡適은 구체적 문제의 구체적 연구를 통해 개혁을 이루고자 하였으니 그에 반하는 共産黨과는 맞을 수가 없었기에 일관되게 共産黨을 반대하였다. 또한 마르크스주의가 계급간의 원한을 키워 적대관계에 서게 함으로 건설적인 해결 방법을 불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1926년 모스크바에 갔을 때 중국 민족과 비교하여 이상을 가지고 계획과 신념을 가진 성실한 목적 지향성에 놀라고 그들의 방법만은 배워야 한다고 하였다.
그라나 현실적으로 견해가 대립되는 것은 계급 투쟁이외에 제국주의 관의 차이, 共産黨이 국가 건설의 방해한다는 점이었다. 특히 국제 제국주의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共産黨은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해선 胡適을 쟁취할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胡適의 共産政權에 대한 비판 태도는 확고하였다. 1952년 대북의 《中央日報》회견에서는 共産이 아니면 철저한 反 共産이라야 하며 그 사이에서 어슬렁거리고 주저할 여지도 없다고 하였다. 또한 胡適은 인민 정부를 부정하는 사람들의 활동이 많았다고 말하면서 5·4 운동 기념일인 1957년 5월 4일에 북경 대학생들이 기념 집회를 열어 共産黨을 비판하였으며 5·4 운동 이래의 과제인 民主· 自由·民權을 위해 싸우는 활동을 하였음을 소개하였다.
결국 중국에는 自由가 없고 民權이 없어 自由選擧가 없었음에 청년들의 타도 대상이 되었고 지식인, 노동자, 농민들 또한 共産黨을 원망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하였다.
《중국에서의 자유주의의 실험》이 책은 중국 전통의 사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유주의의 실험을 시도했던 호적이란 인물에 대한 삶과 내력에 대해 적어놓은 책이다. 자유주의의 실험이 호적생전에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고찰하고 호적의 생애를 전기문 식으로 다룬 것이 아닌 그의 인간으로서의 자유주의자로서의 측면만을 고찰 대상으로 적어놓은 글이었다.
호적이 평생을 두고 일관하여 중국에 자유주의를 뿌리내리기 위해 노력한 결과를 이 책에서는 소개하면서 자유주의자로서의 외롭고 험난한 역정을 걸어온 호적의 삶에 대해 조망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자유주의 란 타인에 대한 용인(관용)으로써 보장된 개인의 가치의 유지 발전을 사회적 정치적 진보의 근본 목표로 삼고, 자유를 정치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다원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독재적인 방법이 아닌 민주주의적 법치의 방법으로 점진적 개혁을 하자는 것이지만, 그것은 끝내 호적의 생전에는 열매맺지 못하였다고 설명하였다.
문득 이런 생각을 해보았다. 중국의 경우 호적이라는 대표적인 자유주의자를 갖고 있었으나 한국의 경우는 어떠했을까. 적어도 내가 생각하기에는 안타깝게도 식민지 시기와 분단 상황을 거치면서 호적 같은 자유주의자를 갖고 있지 못했던 것 같다. 물론 호적이란 자유주의자를 소유했었다고 해서 중국이 현재 우리 나라 보다 자유주의나 민주주의 면에서 발전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란 학업을 배우고 전공으로 하는 한 사람으로서는 우리의 역사를 뒤돌아봄에 왠지 모를 약간의 아쉬움과 씁쓸함이 남음을 숨기지는 못하겠다. 당시의 모진 풍파와 시련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알고 꾸준히 지켜나가려고 하였던 호적의 그 자세만큼은 과거는 어찌되었든 현 역사를 써나가야 할 우리로써는 좋은 본보기로 여기어 배워나가야 할 것이다.
《 - 끝 - 》
《 목 차 》
제 1 장 新世界의 旗手
1. 平民과 歷史의 발견 文學革命
2. 個人의 발견과 女性의 해방
3. 科學方法과 問題를 찾아
제 2 장 中國文明의 재창조를 위하여
1. 전통학술 문화의 비판적 정리 (國故整理)
2. 전통문화 비판
제 3 장 외로운 自由主義者의 길
1. 自由와 容忍
2. 人權과 民權의 갈림길
3. 民主憲政으로의 길
4. 學生運動의 激浪 속에서
5. 共産黨과의 거리
※ 동아시아 현대사 레포트 ※
『中國에서의 自由主義의 實驗 』
- 胡適의 思想과 活動 -
수업명 : 동아시아현대사
교수명 : 이금명 교수님
제출일 : 11월 7일 목요일
제출자 : 허웅구
학 번 : 200203557
학 과 : 사학반
키워드
추천자료
개항과 제국주의 세력의 확장
대한제국기 민중운동
‘교안(敎案)’과 의화단(義和團)
아편전쟁에 관한 요약 정리
한국자본주의의 역사 감상문
조선의 대외적 상황과 대외정책
한일 국교수립의 문제점 한일협정
경제성장이론을 통해 바라본 한국 통상정책의 미래
[세계의이해/1학년 B형] 캄보디아의 전 국왕 노로돔 시하누크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3...
[국제사회학]식민통치국가의 현재 상황 분석을 통한 평화적 국제관계를 위한 고찰
‘친일파’ 왕정위(汪精衛), 그를 위한 변명과 비판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 상황 비교를 통하여
중일전쟁의 역사적 의의
(사회문제론 E형)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은 개인의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