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환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외국환

Ⅱ환율

Ⅲ 선물환거래

Ⅳ 외환 POSITION

본문내용

기로는 3개월 후 현물환율이 USD1-₩1,350이 될 것이 명백하다고 보는 경우 매입예약을 하면, 3개월 후에 USD1-₩1,300으로 외화를 매입하여 USD1-₩1,350에 매도하게 되므로 달러 당 50원의 이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2 선물환율
선물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을 선물환율(forward exchange rate)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것은 현물환율과의 차액으로 표시되며 그 차액을 선물마진(forward margin)이라고 한다.
선물환율의 표시방법은 현물환율과 같이 외국통화표시환율과 자국통화표시환율로 구분된다. 그러나 선물환율은 현물환율을 기준으로 일정 율 또는 일정금액을 가감하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이 다르다. 즉 전술한바와 같이 현물환거래에서처럼 구체적인 환율이 고시되지 않고 현물환율과 선물환율의 차이인 Forward margin으로 표시된다. 이 선물환율은 선물환기간에 대하여 약정하는 환율이기 때문에 미래에 적용될 환율이다. 따라서 현물환율보다 얼마나 비싸게 또는 싸게 약정할 것인가를 계산하는 것이 선물환계약시에 중요하다.
한편 선물환거래에서 기준통화에 비해서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통화를 Premium(pm), 반대로 가치가 하락하고있는 통화를 Discount(disc), 그리고 변하지 않는 통화를 Par라고 한다. 그러므로 만약 기준통화에 대해서 특정통화가 Premium인 경우에는 Forward rate가 spot rate보다 낮고, Discount인 경우에는 Forward rate가 spot rate보다 높다.
Ⅳ 외환 POSITION
1 외환포지션의 개념 및 종류
외환시장에서 외환을 직접 사고 팔고 하는 외국환은행은 換 賣買 과정에서 언제나 매도(賣渡)와 매입(買入)을 균형 있게 할 수는 없어 매매 외환 차액(差額)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환 Position이라고 한다. 즉 외환을 자국화에 대한 상품이라 보고 환율을 이 상품매매에 적용되는 가격이라고 하면 Position이란 외국환은행이 가지고 있는 외환상품 또는 외화채권의 재고량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외환의 매도액과 매입액의 차액이 외환재고량으로서의 환 Position이 되고, 이것에 따라서 환Risk, 환매매 손익, 또 외화자금 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요한 환 Position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Over Bought Position
외환매입이 매도보다 많은 경우, 즉 외화채권이 채무보다 큰 경우를 말한다.
(외환매입>외환매도, 원 화 수입<원 화 지급)
(2) Over Sold Position
외환매도가 매입보다 많은 경우, 즉 외환채무가 채권보다 큰 경우를 말한다.
(외환매입<외환매도, 원 화 수입>원 화 지급)
(3) Square Position
외환매매차익이 없는 경우, 즉 외환채권과 채무가 일치하는 균형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가장 이상적 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외환매입 = 외환매도)
또한 포지션은 어떤 것을 포함하는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 할 수 있다.
(4) Over-all Position
현물환(spot exchange)과 선물환(futures exchange)포지션을 합한 전체포지션을 말하는데 은행은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피하려면 이 포지션을 균형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
(5) Actual Position
Over-all Position에서 선물환(先物換)을 제한 상태, 즉 현물환(現物換)만을 따지는 경우이다.
(6) Cash Position
Actual Position중에서 계약은 했으나 실질적으로 현금이 유입(cash flow)되지 않은 것을 제한 Position, 즉 현시점에서 실질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외환 등이다. 이것은 쌍방의 거래가 완결된 외 화로 외화가 완전히 자금 화된 Position을 말하며, 각 계정의 대차기재(貸借記載)가 완료되어 외환 계정상 실제 잔액으로 나타난 분(分)을 말한다. 따라서 Cash Position은 Position Cover거래의 대 상으로 언제든지 그 사용이 가능한 Position이다.
2 외환 Position 조정거래(調整去來)
외환거래에서 모든 외국환은행은 Over-bought Position이나 Over-sold Position에서 필연적으로 따르는 환 위험과 자금운용 비용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언제나 외환보유를 Square Position으로 조정하게 되는데, 이를 외환 Position 조정거래라고 한다.
조정거래에서 많이 이용되는 외화거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금조정거래
외국환은행의 외환 매입초과는 역으로 원 화 자금의 부족을 초래하고, 반면 매출초과는 외화부족으로 외환거래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원 화 자금과 외화자금의 일시적인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하여 외국환은행간에 소위 자금조정거래를 하는데, 이 거래는 광의의 외환 Position조정거래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은행은 Over-bought Position이 되고 또 한 은행은 Over-sold Position이 되면 서로 매매의뢰를 하게 되어 Position의 조정을 하게 되며 이 때에 적용되는 율은 조정률(調整率)이라고 한다. 이것은 매입 측에서 보면 매매율이 매입율이 되고 매도 측에서 보면 매도율이 되며, 서로 필요하여 이루어지는 행위이므로 수수료의 개입 없이 맞바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2) Swap거래
Swap거래는 환 위험을 방지하고 환 Position을 조정하기 위하여 서로 반대되는 현물환거래와 선물환거래를 동시에 하거나 또는 다른 기간의 서로 반대되는 현물환거래와 선물환거래를 동시에 체결하는 외화거래를 의미한다.
"Swap"행위란 장래 특정기일 또는 특정기한 내에 다시 환매(還買)할 것을 조건으로 매각하거나 또는 다시 매각할 것을 조건으로 매입하는 환매조건부매각 또는 매입을 뜻한다.
Swap거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이용되는 형태는 선물환매도→현물환매입, 또는 선물환매입→현물환매도의 거래로서 특정통화의 현물환을 매각함과 동시에 매각 당시의 선물환율에 의거하여 동액(同額)의 선물환의 매입을 예약해 두거나 또는 그 반대의 거래를 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2.02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