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1 금융 국제화의 개념과 배경
2 우리나라 금융 국제화의 현황
3 주요국의 금융 국제화
4 금융 국제화와 금융 산업의 발전방향
결 론
1 금융 국제화의 개념과 배경
2 우리나라 금융 국제화의 현황
3 주요국의 금융 국제화
4 금융 국제화와 금융 산업의 발전방향
결 론
본문내용
로써 이는 곧 금융산업 GNP의 기여도를 높이고 수출산업으로의 육성의 계기가 될 수 있다.
주 20) 동 용만, 「우리나라 金融 國際化의 推進方向에 관한 硏究」,
檀國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1
영역외 금융업무의 육성은 외화자금조달창구로서의 역할이 줄어들고 수익성의 악화에 직면하고 있는 외국은행지점에 새로운 업무영역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우수한 금융설비를 지니고 있는 외국은행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 專門人力의 養成
국제 금융업무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축적이 요구되는 분야로서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상황과 새로이 개발되는 금융상품을 즉시 소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감각이 지닌 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해외점포수가 늘어난 만큼 모두 본점에서 주관할 것이 아니라 지역별 영업점포에 권한을 이양하여 1차적인 경영책임을 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지토착화가 가능하게끔 현지채용 직원수를 늘리고 점차 현지인중심의 경영체제를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융기관의 진출형태도 해외지점이나 해외현지법인의 설립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진출대상지역의 특성에 맞춰 다양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합작법인이나 다국적은행 등에 대한 자본참가를 통하여 적은 자본과 인력의 투입으로 국제금융시장에 접근을 도모하고 선진금융기법의 도입과 금융전문인력의 양성등의 이익을 향유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금융시장의 자유화 추진과 금융기관의 대형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해외진출 금융기관의 영업력 강화를 뒷받침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금융기관의 해외점포 운영체계를 수익성위주로 서둘러 재편해야 할 것이다. 수익성이 없는 점포는 과감히 폐지함과 동시에 장기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해외점포의 경영전략을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금융 국제화의 성패는 이러한 능력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양성, 수익성위주의 운영체계를 확보하는데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주 21) 이 찬백, 「은행권의 해외점포현황」, 金融經濟, 1993.8.
결 론
1960년대초 경제개발계획과 더불어 수출주도형 개발전략이 추진되면서 우리나라의 대외거래규모는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실물부문의 대외거래규모 확대를 금융면에서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한편 경제개발계획에 소요되는 외자의 원활한 조달 등을 위해 금융 국제화가 이루어져 왔는 바, 일종의 수요추종형 (Demand Following Type) 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따라 그동안 금융기관의 업무면에서 무역거래와 관련된 금융 및 외환업무가 크게 늘어나고 국내외 금융기관의 상호진출이 확대되었으며 1980년대 들어서는 자본시장의 단계적인 개방이 추진되고 있으나 1980년대 중반까지의 금융 국제화는 경상수지의 만성적인 적자에 따른 외환거래의 규제, 국내금융 및 경제여건의 미성숙으로 인한 금융시장에 대한 보호와 규제의 지속 등으로 그 범위가 선진국의 경우에 비해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1986년 이후 경상수지의 흑자전환으로 그동안 금융 국제화의 제약요인 중 하나였던 대외불균형이 해소되고 이를 계기로 대외거래의 자유화 폭이 확대됨에따라 금융 국제화의 폭도 상당히 넓어졌다. 이러한 금융의 국제화는 앞으로도 불가피한 대외지향적 성장전략의 추진을 금융면에서 뒷받침하는 한편 최근 금융.보험 등 서비스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는 시장개방압력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라 볼 때 그 효율성을 제고 하는 방향의 수립이 필요하다.
주 22) 金 英敏, 「金融國際化의 現況과 앞으로의 方向」,
高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90.
앞으로 금융 국제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인 차원에서 외환자유화, 자본자유화, 국내금융시장의 여건정비, 외은지점의 기능 재정립, 원화의 국제화 등을 통하여 그 기반을 확충해야 할 것이며 개별 은행금융기관의 차원에서는 금융 국제화를 수용할 수 있는 경영전략의 수립, 업무령역의 확대, 해외진출 국내은행의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한편 금융 국제화는 기본적으로 실물부문의 개방화 및 국제화에 부응한 금융부문의 대응현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대로 금융의 국제화가 실물부문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공급선도적 기능도 가지므로 일면 실물부문의 개방화를 고려하여 금융 국제화와 관련된 대외거래의 전반적 자유화.국제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국내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 실물부문의 보완대책도 병행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參考 文獻
<參考 論文>
1.김 기서, 「銀行産業의 金融 國際化 現況 및 對應方案」,
金融經濟
2.김 기환, 「'80年代 韓國經濟의 基本課題와 展望--福地社會로 가는 길」,
韓國開發硏究院, 1982.3.
3.김 기태, 「金融市場開放에 따른 國內銀行의 마케팅戰略」,
金融經濟, 1993.6.
4.김 영민, 「金融 國際化의 現況과 앞으로의 方向」,
高麗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0.
5.김 인철, 「韓國 金融 國際化의 現況과 展望」, 金融經濟硏究, 1990.6.
6.김 중웅.신 호주, 「金融 國際化의 當面課題와 政策方向」,
韓國開發硏究院, 1994.9.
7.동 용만, 「우리나라 金融 國際化의 推進方向에 關한 硏究」,
檀國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1.
8.민 상기, 「銀行産業의 對外進出」, 金融經濟硏究, 1990.6.
9.박 사일, 「國際金融 環境變化에 어떻게 對處할 것인가」,
金融포커스, 1993.8.
10.서 정한, 「우리나라 金融 國際化에 關한 硏究」,
慶北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0.
11.이 경재, 「金融 國際化의 背景과 展望」, 金融經濟, 1989.3.
12.이 찬백, 「銀行圈의 海外 店鋪現況」, 金融經濟, 1993.8.
13.조 건호, 「資本市場 3段階 開放計劃과 金融 先進化」,
信用經濟, 1993.8.
14.한국산업은행, 「資本市場 開放과 國內銀行의 對應方案」,
經濟브리프스, 1993.7.
15.한국외환은행, 「우리나라 銀行의 國際化 現況과 推進方向」,
韓國外換銀行月報, 1989.2
16.한국은행, 「主要國에서의 金融 國際化의 背景과 發展過程」,
調査統計月報, 1985.2.
주 20) 동 용만, 「우리나라 金融 國際化의 推進方向에 관한 硏究」,
檀國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1
영역외 금융업무의 육성은 외화자금조달창구로서의 역할이 줄어들고 수익성의 악화에 직면하고 있는 외국은행지점에 새로운 업무영역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우수한 금융설비를 지니고 있는 외국은행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 專門人力의 養成
국제 금융업무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축적이 요구되는 분야로서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상황과 새로이 개발되는 금융상품을 즉시 소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감각이 지닌 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해외점포수가 늘어난 만큼 모두 본점에서 주관할 것이 아니라 지역별 영업점포에 권한을 이양하여 1차적인 경영책임을 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지토착화가 가능하게끔 현지채용 직원수를 늘리고 점차 현지인중심의 경영체제를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융기관의 진출형태도 해외지점이나 해외현지법인의 설립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진출대상지역의 특성에 맞춰 다양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합작법인이나 다국적은행 등에 대한 자본참가를 통하여 적은 자본과 인력의 투입으로 국제금융시장에 접근을 도모하고 선진금융기법의 도입과 금융전문인력의 양성등의 이익을 향유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금융시장의 자유화 추진과 금융기관의 대형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해외진출 금융기관의 영업력 강화를 뒷받침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금융기관의 해외점포 운영체계를 수익성위주로 서둘러 재편해야 할 것이다. 수익성이 없는 점포는 과감히 폐지함과 동시에 장기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해외점포의 경영전략을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금융 국제화의 성패는 이러한 능력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양성, 수익성위주의 운영체계를 확보하는데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주 21) 이 찬백, 「은행권의 해외점포현황」, 金融經濟, 1993.8.
결 론
1960년대초 경제개발계획과 더불어 수출주도형 개발전략이 추진되면서 우리나라의 대외거래규모는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실물부문의 대외거래규모 확대를 금융면에서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한편 경제개발계획에 소요되는 외자의 원활한 조달 등을 위해 금융 국제화가 이루어져 왔는 바, 일종의 수요추종형 (Demand Following Type) 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따라 그동안 금융기관의 업무면에서 무역거래와 관련된 금융 및 외환업무가 크게 늘어나고 국내외 금융기관의 상호진출이 확대되었으며 1980년대 들어서는 자본시장의 단계적인 개방이 추진되고 있으나 1980년대 중반까지의 금융 국제화는 경상수지의 만성적인 적자에 따른 외환거래의 규제, 국내금융 및 경제여건의 미성숙으로 인한 금융시장에 대한 보호와 규제의 지속 등으로 그 범위가 선진국의 경우에 비해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1986년 이후 경상수지의 흑자전환으로 그동안 금융 국제화의 제약요인 중 하나였던 대외불균형이 해소되고 이를 계기로 대외거래의 자유화 폭이 확대됨에따라 금융 국제화의 폭도 상당히 넓어졌다. 이러한 금융의 국제화는 앞으로도 불가피한 대외지향적 성장전략의 추진을 금융면에서 뒷받침하는 한편 최근 금융.보험 등 서비스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는 시장개방압력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라 볼 때 그 효율성을 제고 하는 방향의 수립이 필요하다.
주 22) 金 英敏, 「金融國際化의 現況과 앞으로의 方向」,
高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90.
앞으로 금융 국제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인 차원에서 외환자유화, 자본자유화, 국내금융시장의 여건정비, 외은지점의 기능 재정립, 원화의 국제화 등을 통하여 그 기반을 확충해야 할 것이며 개별 은행금융기관의 차원에서는 금융 국제화를 수용할 수 있는 경영전략의 수립, 업무령역의 확대, 해외진출 국내은행의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한편 금융 국제화는 기본적으로 실물부문의 개방화 및 국제화에 부응한 금융부문의 대응현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대로 금융의 국제화가 실물부문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공급선도적 기능도 가지므로 일면 실물부문의 개방화를 고려하여 금융 국제화와 관련된 대외거래의 전반적 자유화.국제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국내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 실물부문의 보완대책도 병행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參考 文獻
<參考 論文>
1.김 기서, 「銀行産業의 金融 國際化 現況 및 對應方案」,
金融經濟
2.김 기환, 「'80年代 韓國經濟의 基本課題와 展望--福地社會로 가는 길」,
韓國開發硏究院, 1982.3.
3.김 기태, 「金融市場開放에 따른 國內銀行의 마케팅戰略」,
金融經濟, 1993.6.
4.김 영민, 「金融 國際化의 現況과 앞으로의 方向」,
高麗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0.
5.김 인철, 「韓國 金融 國際化의 現況과 展望」, 金融經濟硏究, 1990.6.
6.김 중웅.신 호주, 「金融 國際化의 當面課題와 政策方向」,
韓國開發硏究院, 1994.9.
7.동 용만, 「우리나라 金融 國際化의 推進方向에 關한 硏究」,
檀國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1.
8.민 상기, 「銀行産業의 對外進出」, 金融經濟硏究, 1990.6.
9.박 사일, 「國際金融 環境變化에 어떻게 對處할 것인가」,
金融포커스, 1993.8.
10.서 정한, 「우리나라 金融 國際化에 關한 硏究」,
慶北大學校 碩士學位 論文, 1990.
11.이 경재, 「金融 國際化의 背景과 展望」, 金融經濟, 1989.3.
12.이 찬백, 「銀行圈의 海外 店鋪現況」, 金融經濟, 1993.8.
13.조 건호, 「資本市場 3段階 開放計劃과 金融 先進化」,
信用經濟, 1993.8.
14.한국산업은행, 「資本市場 開放과 國內銀行의 對應方案」,
經濟브리프스, 1993.7.
15.한국외환은행, 「우리나라 銀行의 國際化 現況과 推進方向」,
韓國外換銀行月報, 1989.2
16.한국은행, 「主要國에서의 金融 國際化의 背景과 發展過程」,
調査統計月報, 19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