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전자상거래의 개념
제 1 절 전자상거래의 정의
제 2 절 전자상거래의 구성요소
제 3 절 전자상거래의 장점 및 문제점
제 3 장 Intermediary 산업
제 1 절 Intermediary 유형
제 2 절 국내외 Intermediary 산업
제 4 장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예측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
제 2 장 전자상거래의 개념
제 1 절 전자상거래의 정의
제 2 절 전자상거래의 구성요소
제 3 절 전자상거래의 장점 및 문제점
제 3 장 Intermediary 산업
제 1 절 Intermediary 유형
제 2 절 국내외 Intermediary 산업
제 4 장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예측
제 5 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전자몰은 특정 상품 판매사이트(storefront)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쇼핑몰이라고 보기가 어렵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로 인해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운영 및 관리 방안의 마련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밝힌 주요성공요인 및 국내외 비교자료를 활용하여 전자상거래 환경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거나, 전자상거래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평가모델에서 밝혔듯이 상품 및 서비스에서부터 공동체의 형성까지 각 계층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Selz & Schubert, 1996).
둘째, 전자상거래 환경하에서 새로운 기업전략이 필요하다. 현재는 소비자의 인식부족으로 주로 브랜드 이미지, 상품 차별화 등을 주요한 경쟁전략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기업내부의 업무효율화를 통한 원가전략, 시장세분화를 통한 집중화전략 등이 주요한 경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Kambil, 1995). 또한 성공기업은 어떻게 효율적인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있으며, 어떻게 고객을 유인하고 있는가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Hoffman, Novak & Chatterjee, 1997) 기업의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 국내에서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를 중심으로 전자상거래가 형성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 기업간 거래의 규모가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Business Week, 1998). 그러므로 향후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노하우를 구축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콘텐츠의 개발이다. 국내 전자상거래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물리적 상품이 대부분이며, 외국의 경우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오락, 소프트웨어 판매, 정보서비스 등 디지털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매우 적은편이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글로벌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부족으로 국내 업체들을 대부분 국내 시장만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콘텐츠의 부족으로 글로벌 시장을 위한 사업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국내시장을 겨냥한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전자상거래의 장점을 활용한 글로벌 경영을 위해서는 세계 고객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콘텐츠의 개발이 시급하며 경영자의 국제 감각이 필요하다.
정책적 측면에서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전자상거래는 적은 자본으로 시장진입이 가능하므로 소규모 기업과 개인들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새로운 사업을 창업할 수 있도록 소규모 업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IMF 상황을 맞이하여 실업문제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벤처기업으로서의 지원방안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Intermediary 산업분야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전자상거래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국내 Intermediary 산업은 전자몰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향후 광고, 검색사이트 등 촉진 및 매칭 기능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지불 서비스를 담당하는 Intermediary들이 새로운 사업분야로서 활성화가 필요한 분야로 조사되었다(33%).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광고하고, 자사의 기업을 고객에게 알려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광고 사업분야의 활성화가 필요하며(27%), 수많은 상품 및 기업 중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과 대상을 발견하는 과정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 분야의 사업 또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20%).
그러므로, 전자지불, 광고서비스, 유통 및 물류, 전자카탈로그 등 검색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국내 문헌 >
김은, "전자상거래와 네트워크 조직관리", ICEC, 1998.
김진우, "EC환경하에서 소비자행태 분석", 한국전산원, 1998.
상공회의소, "일본 야노경제연구소 회장 초청 세미나", 1997.
안광호, 이학식, 현용진 공저, "마케팅", 법문사, 1997.
야후 & KRC, "전자상거래 이용자 현황조사", Yahoo Korea, 1998.
이계평,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기업의 대응", LG경제연구원, Vol. 10, 1998.
이두희, 한영주 공저, "인터넷 마케팅", 영진출판사, 1997.
정보통신부, "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비즈니스 발전대책", 1997.
통계청, "1997 통계연감", 1997.
통상산업부, "전자상거래 세계동향과 우리의 대응", 1997.
프라이스 워터하우스, "한국경제에 대한 패키지 소프트웨어 산업의 기여", 1998년 6월.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1997.
한국은행, "국민소득 계정", 1998.
http://www.bok.or.kr
한국전산원, "인터넷 이용 현황" 1998년 3월. http://www.krnic.net/net/n_main.html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국내 전자상거래 현황 및 환경조사 결과
보고서", 1997.
ETRI, "주간기술 동향", 통권 830호, 1996.
OECD, "전자상거래 : 정부의 기회와 도전(Electronic Commerce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Government)", 한국전산원 역, 1998a.
OECD, "중간 매개 기능과 전자상거래(Intermediation and Electronic Commerce)", 한국전산원 역, 1998b.
OECD, "전자상거래의 측정(Measuring Economic Commerce)", 한국전산원 역, 1998c.
OECD, "전자상거래에 대한 독일정부의 구상(Elektronischer Geschaftsverkehr)", 한국전산원 역, 1998d.
OECD, "전세계적인 전자상거래의 장애 요인 철폐(Dismantling the Barriers to Global Electronic Commerce)", 한국전산원 역, 1998e.
둘째, 전자상거래 환경하에서 새로운 기업전략이 필요하다. 현재는 소비자의 인식부족으로 주로 브랜드 이미지, 상품 차별화 등을 주요한 경쟁전략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기업내부의 업무효율화를 통한 원가전략, 시장세분화를 통한 집중화전략 등이 주요한 경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Kambil, 1995). 또한 성공기업은 어떻게 효율적인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있으며, 어떻게 고객을 유인하고 있는가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Hoffman, Novak & Chatterjee, 1997) 기업의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 국내에서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를 중심으로 전자상거래가 형성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 기업간 거래의 규모가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Business Week, 1998). 그러므로 향후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노하우를 구축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콘텐츠의 개발이다. 국내 전자상거래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물리적 상품이 대부분이며, 외국의 경우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오락, 소프트웨어 판매, 정보서비스 등 디지털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매우 적은편이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글로벌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부족으로 국내 업체들을 대부분 국내 시장만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콘텐츠의 부족으로 글로벌 시장을 위한 사업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국내시장을 겨냥한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전자상거래의 장점을 활용한 글로벌 경영을 위해서는 세계 고객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콘텐츠의 개발이 시급하며 경영자의 국제 감각이 필요하다.
정책적 측면에서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전자상거래는 적은 자본으로 시장진입이 가능하므로 소규모 기업과 개인들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새로운 사업을 창업할 수 있도록 소규모 업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IMF 상황을 맞이하여 실업문제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벤처기업으로서의 지원방안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Intermediary 산업분야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전자상거래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국내 Intermediary 산업은 전자몰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향후 광고, 검색사이트 등 촉진 및 매칭 기능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지불 서비스를 담당하는 Intermediary들이 새로운 사업분야로서 활성화가 필요한 분야로 조사되었다(33%).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광고하고, 자사의 기업을 고객에게 알려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광고 사업분야의 활성화가 필요하며(27%), 수많은 상품 및 기업 중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과 대상을 발견하는 과정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 분야의 사업 또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20%).
그러므로, 전자지불, 광고서비스, 유통 및 물류, 전자카탈로그 등 검색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국내 문헌 >
김은, "전자상거래와 네트워크 조직관리", ICEC, 1998.
김진우, "EC환경하에서 소비자행태 분석", 한국전산원, 1998.
상공회의소, "일본 야노경제연구소 회장 초청 세미나", 1997.
안광호, 이학식, 현용진 공저, "마케팅", 법문사, 1997.
야후 & KRC, "전자상거래 이용자 현황조사", Yahoo Korea, 1998.
이계평,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기업의 대응", LG경제연구원, Vol. 10, 1998.
이두희, 한영주 공저, "인터넷 마케팅", 영진출판사, 1997.
정보통신부, "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비즈니스 발전대책", 1997.
통계청, "1997 통계연감", 1997.
통상산업부, "전자상거래 세계동향과 우리의 대응", 1997.
프라이스 워터하우스, "한국경제에 대한 패키지 소프트웨어 산업의 기여", 1998년 6월.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1997.
한국은행, "국민소득 계정", 1998.
http://www.bok.or.kr
한국전산원, "인터넷 이용 현황" 1998년 3월. http://www.krnic.net/net/n_main.html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국내 전자상거래 현황 및 환경조사 결과
보고서", 1997.
ETRI, "주간기술 동향", 통권 830호, 1996.
OECD, "전자상거래 : 정부의 기회와 도전(Electronic Commerce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Government)", 한국전산원 역, 1998a.
OECD, "중간 매개 기능과 전자상거래(Intermediation and Electronic Commerce)", 한국전산원 역, 1998b.
OECD, "전자상거래의 측정(Measuring Economic Commerce)", 한국전산원 역, 1998c.
OECD, "전자상거래에 대한 독일정부의 구상(Elektronischer Geschaftsverkehr)", 한국전산원 역, 1998d.
OECD, "전세계적인 전자상거래의 장애 요인 철폐(Dismantling the Barriers to Global Electronic Commerce)", 한국전산원 역, 1998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