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BC(Complete Blood Count)
1. 검사의 의의
2. 각각의 성분별 정상치와 임상적 의의
URINE ROUTINE ANALYSIS
1. 검사원리
2. 검체 채취 용기
3. 채뇨시 주의사항
4. 검사 결과의 임상적 의의(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 등)
혈액화학검사
1. 검체
2. 검사의의
3. 검사 원리
4. 정상 범위
5. 결과 해석
6. 기타
1. 검사의 의의
2. 각각의 성분별 정상치와 임상적 의의
URINE ROUTINE ANALYSIS
1. 검사원리
2. 검체 채취 용기
3. 채뇨시 주의사항
4. 검사 결과의 임상적 의의(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 등)
혈액화학검사
1. 검체
2. 검사의의
3. 검사 원리
4. 정상 범위
5. 결과 해석
6. 기타
본문내용
isoenzyme에 따라 다르므로 참고범위는 시용한 기질에 따라 다르다.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PT)
1. 검체 : 혈청
2. 검사의의 : 각종 간질환
3. 정상 범위 : (at 37℃) AST : 5 - 38 U/L
ALT : 남자, 8 - 41 U/L 여자 8 - 31 U/L
4.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간종양, 폐쇄성황달
심근경색(AST는확연히 증가, ALT는 정상내지 약간 증가함)
골격근 질환(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dermatomyositis,
다발성근염 - AST는 50-250U/L정도 증가하나 ALT는 보통 정상)
5. 기타
* AST는 amino산과 α-keto산 간의 아미노기의 전이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일종으 로 심근,간,뇌등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혈청중 AST 활성은 간,담도질환, 특히 급성 간염의 경우에 상승이 확연하며 또 심근경색등에서의 상승도 알려져 있다.
* AST, ALT는 혈중효소로 측정되고 있는 Release enzyme중 대표적인 효소이며, 세포 의 손상이 가벼운경우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고 효소가 세포 밖으로 유출된다. 이과정은 세포내의 energy공급이 감소된 결과로서 세포내의 K+이온이 세포외로 유출되고 Na+, Ca++ 및 수분이 세포내로 유입된다. 그결과 세포는 팽창되고 세 포막이 늘어나게 되어 세포질에 존재하는 AST, ALT가 유출된다.
* 세포 밖으로 빠져 나간 AST, ALT는 순환혈중으로 빠르게 유출된다.실제로 혈청 AST, ALT 활성 측정이 간 손상시에 예민하게 측정되는 것은 간에 다량의 AST, ALT가 분포되어 있고 손상받은 간 세포로부터 Disse강 내로 빠져나가 직접 혈류로 용이하게 확산 되기 때문이다.
**Glucose
1. 검체 : 공복시-혈청,형장,전혈 식후-식후 2시간후 혈청 혈장
2. 검사의의 : 당뇨병 진단
3. 검체의 적정도
1) 검체의 양 : 0.3ml 이상
2) 전혈, 항응고제가 들어간 혈장으로도 검사 가능
3) 보관 방법 : 냉장 보관 (원심분리하여 혈청으로 보관 3일 안정 ) 실온에 방치하 면 당분해가 일어나 혈당량이 저하되므로 채혈 후 곧 검사를 실시한다.
4. 정상 범위 :공복시 80-120mg/dl
식후 1시간 170mg/100ml 이상
2시간 120mg/100ml 이상
5. 결과 해석
공복시 증가된 경우 : 당뇨병,췌장기능저하,쿠싱증후군,갈색세포종,췌장암,갑상
선 기능저하증, thiazide 이뇨제 복용후
식후 감소된 경우 : 췌장의 B 세포종양, Addison 질병
증가된 경우 : 당뇨병
6. 기타
* 혈중 glucose는 혈액에서 당의 공급과 소비로 조절된다. 이 양 반응계는 여러 가 지 hormone으로 조절된다. 특히 insulin은 glucose의 세포막 투과나 효소계를 촉진 하여 혈중 glucose를 감소시킨다.한편 부신피질 steroid, ACTH,성장 hormone,
glucagone 및 epinephrine은 혈당 유지 작용을 한다.
* 당대사에 관련된 검사로는 Insurin, C-peptide, Hemoglobin A1c 등이 있다.
- Hemoglobin A1c는 과거 1 - 3개월의 평균 혈당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을 장기간 control 하는 지표로 유용하다.
- Insulin은 당대사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hormone으로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질 환을 진단하고병의 상태를 해석하는 데 꼭 필요하다.
- C-peptide는 Langerhans섬의 -cell 내의 Goligi 장치에서 proinsulin으로부터 생성 되며 insulin 측정이 저해받는 insulin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취장 내분비 기능을 추정하는데 적합하다.
**BUN
1. 검체 : 혈청,전혈
2. 검사의의 : 신장 기능의 지표로 단백질 대사의 최종산물로 주로 간에서 urea cycle에 의해서 혈중에 방출된다
3. 검체 : serum(공복시)
- NaF는 urease를 저해하며, ammonium염을 함유한 혈장 검체는 실제보다 높은 치를 보인다.
- 보관 : 냉장 보관시 1개월간 안정, 냉동 보관시 6개월 안정
(세균오염이 있으면 요소가 분해되므로 주의)
4. 정상 범위 : 남자 8.0 - 20.0 mg/dl
여자 7.8 - 20.5 mg/dl
5.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 고뇨소질소혈증(Azotemia) - BUN : 21 mg/dl 이상
① 신전성 고뇨소질소혈증 : 탈수증(구토,설사), 중증심부전, 소화관 출혈, 당뇨병 성 신증, hemoglobin 뇨증, 갑상선 기능항진증, 소화관 출혈, 화상, 고열...
② 신성 고뇨소질소혈증 : 급성.만성 신장염, 요독증. 신증, 신종양, 신장결석
③ 신후성 고뇨소질소혈증 : 요관폐색, 방광종양,
2) 감소하는 경우 : 저뇨소질소혈증(hypoazotemia) - BUN : 0 - 10 mg/dl
① 요소 생성 저해 : 중독성 간염, 중등 간장애
② 저단백식이 : 영양불량, 절식,
③ 혈액희석 : 다뇨, 수액, 임신(만기)
6. 기타
① BUN/Creatinine ratio는 만성 신부전의 관리와 치료의 지표로 유용하다.
② 신사구체 기능을 평갈 경우 반드시 혈청 creatinine과 대비할 필요가 있는데 생 리학적인 상태에서는 BUN : Creatinine =10 : 1이다. 그리고 임신, 증증 간부전, 만성적인 저영양 상태에서는 이 비율이 낮아진다.
* 신장 질환이 아니면 주 1회 인정함.
* 신장 학회 의견 참조하여 볼 때 만성신부전에서 적절한 수액 및 전해질 조정은 필수적인 것으로 혈액투석의 적절도를 평가하기 위해 BUN 검사 3회( 첫 내원 일의 투석전, 투석후 둘째 내원일의 투석전 )실시는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되나 매월 지속적으로 동 횟수를 시행함은 타당하지 아니하며 적정한 혈량 유지를 평가하기 위해 혈청내 BUN의 재 순환율 검사는 필요하므로 정기적으로 실시 시 3개월에 1회 정도 인정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PT)
1. 검체 : 혈청
2. 검사의의 : 각종 간질환
3. 정상 범위 : (at 37℃) AST : 5 - 38 U/L
ALT : 남자, 8 - 41 U/L 여자 8 - 31 U/L
4.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간종양, 폐쇄성황달
심근경색(AST는확연히 증가, ALT는 정상내지 약간 증가함)
골격근 질환(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dermatomyositis,
다발성근염 - AST는 50-250U/L정도 증가하나 ALT는 보통 정상)
5. 기타
* AST는 amino산과 α-keto산 간의 아미노기의 전이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일종으 로 심근,간,뇌등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혈청중 AST 활성은 간,담도질환, 특히 급성 간염의 경우에 상승이 확연하며 또 심근경색등에서의 상승도 알려져 있다.
* AST, ALT는 혈중효소로 측정되고 있는 Release enzyme중 대표적인 효소이며, 세포 의 손상이 가벼운경우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고 효소가 세포 밖으로 유출된다. 이과정은 세포내의 energy공급이 감소된 결과로서 세포내의 K+이온이 세포외로 유출되고 Na+, Ca++ 및 수분이 세포내로 유입된다. 그결과 세포는 팽창되고 세 포막이 늘어나게 되어 세포질에 존재하는 AST, ALT가 유출된다.
* 세포 밖으로 빠져 나간 AST, ALT는 순환혈중으로 빠르게 유출된다.실제로 혈청 AST, ALT 활성 측정이 간 손상시에 예민하게 측정되는 것은 간에 다량의 AST, ALT가 분포되어 있고 손상받은 간 세포로부터 Disse강 내로 빠져나가 직접 혈류로 용이하게 확산 되기 때문이다.
**Glucose
1. 검체 : 공복시-혈청,형장,전혈 식후-식후 2시간후 혈청 혈장
2. 검사의의 : 당뇨병 진단
3. 검체의 적정도
1) 검체의 양 : 0.3ml 이상
2) 전혈, 항응고제가 들어간 혈장으로도 검사 가능
3) 보관 방법 : 냉장 보관 (원심분리하여 혈청으로 보관 3일 안정 ) 실온에 방치하 면 당분해가 일어나 혈당량이 저하되므로 채혈 후 곧 검사를 실시한다.
4. 정상 범위 :공복시 80-120mg/dl
식후 1시간 170mg/100ml 이상
2시간 120mg/100ml 이상
5. 결과 해석
공복시 증가된 경우 : 당뇨병,췌장기능저하,쿠싱증후군,갈색세포종,췌장암,갑상
선 기능저하증, thiazide 이뇨제 복용후
식후 감소된 경우 : 췌장의 B 세포종양, Addison 질병
증가된 경우 : 당뇨병
6. 기타
* 혈중 glucose는 혈액에서 당의 공급과 소비로 조절된다. 이 양 반응계는 여러 가 지 hormone으로 조절된다. 특히 insulin은 glucose의 세포막 투과나 효소계를 촉진 하여 혈중 glucose를 감소시킨다.한편 부신피질 steroid, ACTH,성장 hormone,
glucagone 및 epinephrine은 혈당 유지 작용을 한다.
* 당대사에 관련된 검사로는 Insurin, C-peptide, Hemoglobin A1c 등이 있다.
- Hemoglobin A1c는 과거 1 - 3개월의 평균 혈당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을 장기간 control 하는 지표로 유용하다.
- Insulin은 당대사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hormone으로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질 환을 진단하고병의 상태를 해석하는 데 꼭 필요하다.
- C-peptide는 Langerhans섬의 -cell 내의 Goligi 장치에서 proinsulin으로부터 생성 되며 insulin 측정이 저해받는 insulin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취장 내분비 기능을 추정하는데 적합하다.
**BUN
1. 검체 : 혈청,전혈
2. 검사의의 : 신장 기능의 지표로 단백질 대사의 최종산물로 주로 간에서 urea cycle에 의해서 혈중에 방출된다
3. 검체 : serum(공복시)
- NaF는 urease를 저해하며, ammonium염을 함유한 혈장 검체는 실제보다 높은 치를 보인다.
- 보관 : 냉장 보관시 1개월간 안정, 냉동 보관시 6개월 안정
(세균오염이 있으면 요소가 분해되므로 주의)
4. 정상 범위 : 남자 8.0 - 20.0 mg/dl
여자 7.8 - 20.5 mg/dl
5. 결과 해석
1) 증가하는 경우 : 고뇨소질소혈증(Azotemia) - BUN : 21 mg/dl 이상
① 신전성 고뇨소질소혈증 : 탈수증(구토,설사), 중증심부전, 소화관 출혈, 당뇨병 성 신증, hemoglobin 뇨증, 갑상선 기능항진증, 소화관 출혈, 화상, 고열...
② 신성 고뇨소질소혈증 : 급성.만성 신장염, 요독증. 신증, 신종양, 신장결석
③ 신후성 고뇨소질소혈증 : 요관폐색, 방광종양,
2) 감소하는 경우 : 저뇨소질소혈증(hypoazotemia) - BUN : 0 - 10 mg/dl
① 요소 생성 저해 : 중독성 간염, 중등 간장애
② 저단백식이 : 영양불량, 절식,
③ 혈액희석 : 다뇨, 수액, 임신(만기)
6. 기타
① BUN/Creatinine ratio는 만성 신부전의 관리와 치료의 지표로 유용하다.
② 신사구체 기능을 평갈 경우 반드시 혈청 creatinine과 대비할 필요가 있는데 생 리학적인 상태에서는 BUN : Creatinine =10 : 1이다. 그리고 임신, 증증 간부전, 만성적인 저영양 상태에서는 이 비율이 낮아진다.
* 신장 질환이 아니면 주 1회 인정함.
* 신장 학회 의견 참조하여 볼 때 만성신부전에서 적절한 수액 및 전해질 조정은 필수적인 것으로 혈액투석의 적절도를 평가하기 위해 BUN 검사 3회( 첫 내원 일의 투석전, 투석후 둘째 내원일의 투석전 )실시는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되나 매월 지속적으로 동 횟수를 시행함은 타당하지 아니하며 적정한 혈량 유지를 평가하기 위해 혈청내 BUN의 재 순환율 검사는 필요하므로 정기적으로 실시 시 3개월에 1회 정도 인정
추천자료
간경화 환자 실습사례보고서(Case study)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에 관한 간호사례연구보고서
중환자실보고서( 1. aspiration pneumonia 2.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e ( type Ⅱ)
일반화학검사, 혈액검사, 빈혈관련검사
MMPI - 다면적 인성검사
MMPI - 다면적 인성검사
웩슬러지능검사
(A+ 레포트) 다면적 인성검사(MMPI) 결과 해석 방법
(A+ 레포트) 다면적 인성검사(MMPI) 결과 해석 방법
[검사][혈액검사][뇌혈류검사][심전도검사][견관절검사][경두개검사][FTC ISO검사][혈액][뇌...
[검찰][검사][인권침해][정치검찰][가정폭력사범][미국기소재량][미국]검찰(검사)의 인권침해...
[심리검사 (A+)] 투사적 검사 로쟈검사(로샤검사 : Rorschach Test) -잉크반점(inkblot) 검사...
[심리검사 및 측정 공통] 자신에게 필요한 심리검사 2가지를 선택하여, 심리검사를 받고 검사...
호흡기내과 실습지침서 (인플루엔자 및 폐렴 ) 간호사정, 진단, 문헌고찰,약물,검사실 등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