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청소년 문화의 정의와 특성
1) 청소년 문화의 정의
2) 문화의 특징
3) 청소년 문화가 중요한 이유
3. 그들은 왜 스타를 모방하는 것인가?
1) 스타를 모방하는 이유
2) 청소년들이 더욱 스타를 모방하는 이유
6. 결론
# 참고 문헌 #
2. 청소년 문화의 정의와 특성
1) 청소년 문화의 정의
2) 문화의 특징
3) 청소년 문화가 중요한 이유
3. 그들은 왜 스타를 모방하는 것인가?
1) 스타를 모방하는 이유
2) 청소년들이 더욱 스타를 모방하는 이유
6.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던 여중생에 비해 수가 적었으며, '기념할 만 하다고 생각하다' 라는 항목에도 14명이나 응답하여 여고생들이 여중생들보다 스타의 패션을 모방하는 데 더 신중함(?)을 보여 주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항목의 차이가 더 많은 것은 모방할 수 있는 아이템의 종류가 더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유행에 더 민감한 성향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6. <결론>
일반적으로, 기성세대들은 청소년들이 스타의 패션을 따라 함으로써 지나치게 많은 낭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무분별하게 모방을 하여 각자의 개성을 잃게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한다. 하지만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청소년이 비록 스타의 패션을 모방하는 경향이 많긴 하나 실태 자체는 기성 세대들이 염려하고 있는 것 만큼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우선 모방하는데 드는 비용 자체가 그다지 많지 않았고, 또 스타의 패션을 모방한다고 해도 그것은 일부 악세서리나 헤어 스타일이 대부분으로 청소년들이 각자 지니고 있는 개성 자체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또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거리에 나가서 자신과 똑같은 패션을 한 사람을 발견하면 창피하다거나 기분 나빠 하는 등,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내가 좋아하는 스타가 하는 거니까, 남들이 하는 거니까 나도 하자' 라는 비 주체적인 인식으로 스타의 패션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이걸 내가 해 보면 다른 사람보다 돋보일 수 있을 것이다' 라는, 즉 남들과 차별화되고자 하는 심리로 인해 스타를 모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호기심 많은 10대들은 똑같은 디자인, 똑같은 색상의 교복 아래 억눌린 '자신들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다. 그 가운데 유행을 앞서 가는 '스타 따라잡기' 심리가 숨어 있는 것이다. 같은 교복이라도 학교마다 스커트와 바지 길이가 각기 다르듯이 똑같은 유니폼이라도 자신의 몸에 맞게 고쳐 입는 그런 개성들이기 때문에 아직은 덜 익은 자신의 패션감각을 '연예인 모방하기'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런 결과는, 기성세대들의 걱정처럼, 청소년들을 상품의 판매 대상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소비 성향을 부추기기 위해 모방 심리를 조장하는 상술에 청소년이 현혹되고 있다 - 는 시각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청소년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성인이라 여겨지고 있는 20대나, 30대, 40대의 기성세대들 역시 매스 미디어가 양산하는 이러한 고도의 상술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방에 따르는 지나친 과소비 같은 문제는 단순히 청소년들의 소비를 억제하려 하는 방향이 아닌, 사회의 전반적인 풍토를 개선하는 쪽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공부 안하고 연예인만 따라 한다고 걱정하는 어른들이 많은데 이것을 문제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연예인 모방을 통해서 청소년들이 각자의 개성을 찾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 주었으면 한다. 청소년기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크는 것이니 말이다.
<참고문헌>
[청소년학 총론] 양서원/한국청소년학회/1999
[사춘기의 이해] 박아청/교육과학사/2000
[청소년의 심리와 이해] 임명식, 한상철/학문사
[청소년 심리학] 김기정 편역/문음사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user.chollian.net/~mypc21/c5.htm
http://www.metro.seoul.kr/kor/clicmetro/0007-1/lovefamily/03_1.html
http://lycos.co.kr
http://my.netian.com/~kih007/
6. <결론>
일반적으로, 기성세대들은 청소년들이 스타의 패션을 따라 함으로써 지나치게 많은 낭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무분별하게 모방을 하여 각자의 개성을 잃게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한다. 하지만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청소년이 비록 스타의 패션을 모방하는 경향이 많긴 하나 실태 자체는 기성 세대들이 염려하고 있는 것 만큼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우선 모방하는데 드는 비용 자체가 그다지 많지 않았고, 또 스타의 패션을 모방한다고 해도 그것은 일부 악세서리나 헤어 스타일이 대부분으로 청소년들이 각자 지니고 있는 개성 자체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또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거리에 나가서 자신과 똑같은 패션을 한 사람을 발견하면 창피하다거나 기분 나빠 하는 등,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내가 좋아하는 스타가 하는 거니까, 남들이 하는 거니까 나도 하자' 라는 비 주체적인 인식으로 스타의 패션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이걸 내가 해 보면 다른 사람보다 돋보일 수 있을 것이다' 라는, 즉 남들과 차별화되고자 하는 심리로 인해 스타를 모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호기심 많은 10대들은 똑같은 디자인, 똑같은 색상의 교복 아래 억눌린 '자신들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다. 그 가운데 유행을 앞서 가는 '스타 따라잡기' 심리가 숨어 있는 것이다. 같은 교복이라도 학교마다 스커트와 바지 길이가 각기 다르듯이 똑같은 유니폼이라도 자신의 몸에 맞게 고쳐 입는 그런 개성들이기 때문에 아직은 덜 익은 자신의 패션감각을 '연예인 모방하기'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런 결과는, 기성세대들의 걱정처럼, 청소년들을 상품의 판매 대상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소비 성향을 부추기기 위해 모방 심리를 조장하는 상술에 청소년이 현혹되고 있다 - 는 시각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청소년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성인이라 여겨지고 있는 20대나, 30대, 40대의 기성세대들 역시 매스 미디어가 양산하는 이러한 고도의 상술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방에 따르는 지나친 과소비 같은 문제는 단순히 청소년들의 소비를 억제하려 하는 방향이 아닌, 사회의 전반적인 풍토를 개선하는 쪽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공부 안하고 연예인만 따라 한다고 걱정하는 어른들이 많은데 이것을 문제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연예인 모방을 통해서 청소년들이 각자의 개성을 찾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 주었으면 한다. 청소년기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크는 것이니 말이다.
<참고문헌>
[청소년학 총론] 양서원/한국청소년학회/1999
[사춘기의 이해] 박아청/교육과학사/2000
[청소년의 심리와 이해] 임명식, 한상철/학문사
[청소년 심리학] 김기정 편역/문음사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user.chollian.net/~mypc21/c5.htm
http://www.metro.seoul.kr/kor/clicmetro/0007-1/lovefamily/03_1.html
http://lycos.co.kr
http://my.netian.com/~kih007/
키워드
추천자료
독서를 통한 청소년 여가문화 선도
사이버 세계와 청소년 문화
‘청소년’ 휴대전화 문화에 관한 리포트
청소년과 인터넷 (게임셧다운제,게임중독,게임산업,인터넷문화,인터넷게임).PPT자료
[프로그램개발과평가, 사업계획서 프로포절]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사회적응프로그램 - 사업명 ...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또는 관심 갖는 청소년문화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
[아동복지론] 아동 청소년 문화의 특징과 의미
오늘날 아동 청소년의 문화가 가지는 특징을 서술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시오.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또는 관심 갖는 청소년문화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
청소년 성문화에 대하여 설명하고, 바람직한 성문화 형성 방안을 제시하시오
제4차 산업혁명과 청소년문화의 변화에 대한 장단점을 논하고 대안을 제시하시오.
나는 과연 어느 세대속에 속하는지 살펴보고 본인이 속한 세대와 현재 청소년세대의 특징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