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Immunit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면역의 개념

2- 방어기전

3- 면역반응

4- 면역의 종류 및 면역법

본문내용

적응증
i)항체 결핍증
ii)혈소판 감소증(refractory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ii)immune neutropenia
② 특이면역 혈청글로블린: 특이면역 혈청글로블린은 약리학적, 생물학적으로는 표준면역 혈청글로블린과 동일하다. 그러나 예방접종을 받거나 특정 질병에서 회복되고 있는 사람의 혈청에서 만들어져서 특이항체의 역가가 높아 특정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모든 혈청 글로블린의 이름은 적응질환의 이름으로 명명된다.
가)종류
㉠Hepatitis B immune globulin(HBIG)
㉡Varicella-Zoster immune globulin(VZIG)
㉢Rabies immune globulin(RIG)
㉣Tetanus immune globulin(TIG)
㉤Vaccinia immune globulin(VIG)
③ 이종항체는 특정항원으로 접종한 동물, 주로 말의 혈청에서 얻어진다.
표 4-12 이종항체의 종류
종 류
출 처
목 적
Tetanus antitoxin(TAT)
Diphtheria antitoxin
Rabies immune serum
Botulism antitoxin




예방 및 치료
예방 및 치료
예방
치료
가) 부작용: 이종항체를 사람에게 투여하면 이종단백에 대한 과민반응이 일어난다.
㉠아나필락시(쇼크): 주사 후 수초 내지 수분 후에 나타난다.
㉡고열: 시간내에 나타난다.
㉢혈청병(serum sickness): 첫번째 주사 후 7일 내지 12일 후에 나타나며 과거에 투여 받은 적이 있는 경우에는 수시간 또는 수일내에 나타난다.
㉣말초신경염(peripheral neuritis) 같은 지연반응(delayed reaction)
5)과민성반응
인체는 외부환경 자극의 변화에 따라 신체의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날 때가 있다. 이것을 괴민성반응(hypersensitivity) 혹은 알러지반응(allergic response)이라 한다. allergy를 일으키는 항원을 allergen이라 한다. 이 allergen은 Ig E의 과다분비를 일으키고, mast cell이나 basophill에서 histamine과 같은 amine을 유리시킨다.
Allergen은 소화기나 호흡기를 통해서 신체내부로 들어가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킨다. 즉 allergen과 항체가 만나게 되면, allergic reaction이 중화되는데, 이는 혈액내에는 반응할 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대로 항체와 반응세포가 만나면 중성화가 일어나거나. 그렇지 않으면 세포에 장애를 일으킨다. 이런 장애로 독성화학물질(toxic chemicals)을 유리하여 특수 알러지반응(specific allergic reaction)을 일으킨다.
가)급성 과민성반응
한 번 allergen에 노출되었던 사람이 다시 allergen에 노출되면 가끔 몇 분, 몇 시간내에 급숙히 알러지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allergen에 대한 반응을 급성 과민성반응(immediate hypersensitivity)이라 한다. 초기 반응에서는 Ig E를 생산하고, mast cell이나 basophill의 표면에 Ig E가 결합하게 된다. Ig E가 allergen을 제거할 때까지 mast cell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 단지 mast cell은 Ig E가 결합하면 histamine이나 leukotriene같은 염증성물질을 세포되액에서 유리하는데, 이것을 탈과립(depranulation)이라 한다. histamine은 혈액내로 유출되어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leukotriene은 allergen과 반응 후 mast cell이나 basophill에 의해 합성된다. 이것은 allergen에 의한 국소부위의 반응 조절을 도와주기 위해 (eosinophil을 유도하는 eosinophil chemotactic faxtor의 유리를 촉진한다. 예를들면 활성화된 mast cell에서 분비된 화학적 물질의 유리 결과로 염증은 가볍게 되거나 아주 심하게 된다.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과 관련된 염증은 더욱더 호흡을 지속적으로 방해한다. 이런 상태를 천식(asthma)이라 한다.
대부분의 알러지반응(allergic reaction)은 국소적으로 염증을 일으킨다. pollen과 같은 염증반응에서는 allergens이 반응조직에 접촉되면 염증은 주로 비강점막에 나타난다. 고초열(hayfever)의 증상은 고초열과 눈에 눈밀이 고여있는 상태(water eye), 재채기(sneezing), 혹은 코를 훌쩍거림(sniffling) 등 눈과 호흡기도에 나타난다. allergy의 치료는 항히스타민약물(antihist-amine drug)로 조직이나 피부 및 혈액내에 histamine 농도를 줄이는 방법과 면역억제약물(immunosuppressive drug)인 steroid나 기관지천식약물인 cromoglycate 등으로 항체형성을 억제시킨다. 또한 몇몇 약물에 의한 탈감작(desensitization)을 일으키게 하거나, allergen에 의한 알레지반응(allergic response)을 감소하는 방법들이 있다.
나)지연 과민성반응
allergic reaction이 증식하는데 너무 오래걸리거나. 또는 표시되는데 오래 걸리는 것을 지연 과민선반응(delayed hypersensitivity)이라 한다. 이것은 T-lymphocyte에 의해 일어나는데, 감작이나 반응기전은 앞에 설명한 T-lymphocyte에 설명된 것과 같다.
지연성 과민반응은 정상적인 T-cell이 세포에 감염이나 암세포(cancer cell) 및 종양세포(tumor cell)에 직접 작용하는 기능과 차이가 없자. 지연 과민성반응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할 때 거부하는 신체의 반응이 여기에 속한다. 이 거부반응은 T-cell에 의해 조정된다. 공급자의 조직 거부는 이식받은 사람의 조직이 다를 때 조직이식에 있어서의 면역반응이다. 즉 공급자로부터 조직세포를 이식한 후, 수급자는 항원표면에 덮어 있는 이종세포에 대해 활동하는 T-cell를 생산한다. 이 T-cell은 이식된 조직에 이주하여 조직을 공격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2.0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