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선반사 유리
2* 건축장식용 유리의 특성과 기술
3* 판유리에 대한 기술자료<1>
4* 유리의 근원과 현대 유리미술
2* 건축장식용 유리의 특성과 기술
3* 판유리에 대한 기술자료<1>
4* 유리의 근원과 현대 유리미술
본문내용
니었다. 이 지역에서는 지리적 요건으로 다른 천연적인 자원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나무나 돌이나 철을 모두 인접지역으로부터 가져왔다. 이런 이유로 이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던 가장 많은 자원이 흙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도자기로의 제조 방법 등이 발전하게 됐다. 이렇게 흙과 관련된 작업이 매우 많은 발전을 하였으며 하나의 물체로부터 혼합되어 여러 가지 다른 재료를 만들어 내었다. 이것us이 특별한 모양을 가진 모자이크를 창조하여 실질적으로 건물 바닥이나 벽 등에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유리는 바로 이런 방법과 구조에 의해서 창조되어 나오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유리는 이미 확실하게 자리잡은 분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전통적인 기술과 방법들을 전해 받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 도자기이다. 수 천년 전부터 널리 알려진 도자기의 뛰어난 기술이 유리의 필요성을 구가하였다.
또 로스트 왁스(lost-wax)기법과 도가니로 쇳물을 부어 주물(Casting)하는 금속작업은 유리보다 훨씬 발전되어 있었다. 이런 기술의 어떤 부분은 유리를 만드는 기술에 응용되었다. 또한 여러 가지 종류의 돌이나 보석 등을 크기에 따라 자르고, 광내며, 화병에 구멍을 파는 등의 공구들도 유리를 가공하거나 작업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 응용되었다.
이같이 초기의 유리는 도자기로부터 모양을 도입하였고, 철과 같이 신속하게 작업하고, 돌 작업으로부터 자르고, 광내고, 구멍을 뚫는 기술들이 합하여졌다. 이렇게 유리는 도자기나 금속과 같이 발달도어 그와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금속 작업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유리 작업을 병행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확실히 유리라는 물체가 금속의 근본적인 형식을 뒤따라왔던 것으로 금속 주물 하는 방법을 비교해 보면 그것을 쉽게 알 수가 있다.
기원전 1500년과 100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으로 유리가 널리 꽃 피우고 있을 때,. 유리를 만드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능력은 불투명하고, 광택이 나며 귀중한 보석이 아닌 하늘 빛이나 빨강, 혹은 파랑 빛이 나는 비누돌 일종이나 흑요석, 마노 등 딱딱한 자연석으로 줄무늬나 돌이 쌓여 있는 모야 등 얼룩덜룩하고 조잡스러운 종류의 돌 색깔들을 흉내내는 것이었다. 유리를 다루는 기술과 공구들이 발전함에 따라 이런 것들을 솜씨 있게 만들어 처음으로 유리다운 유리로 발전시켜 나가기에 이르렀다.
당시에 유리를 만들었던 사람들은 이 분야의 선구자들로서 유리를 만드는 기술은 비밀에 붙여졌으며, 다른 공예품과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유리를 만드는 데 행해졌던 엄격한 성전의 의식이나 제사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는 실질적인 부분과 일부분의 불가사의한 것들 때문이었다. 이러한 유리를 개발하고 연구하기 위해서 부유층 계급의 지원과 받았는데 당시로서는 대단히 세련되게 만들어진 유리 색깔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나타냈다.
그때의 유리라고 하면 구슬이나 목에 거는 부적 또는 장식용 액자와 의식을 행할 때 쓰는 봉 등으로 이런 것을 만드는 모든 원료들은 유리를 만드는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 뜨겁게 녹인 유리물을 갑자기 찬물에 넣어 산산이 부서지게 만들고 여러 가지 색유리를 만들기 위해서 몇 가지 종류의 가마를 만들어 용도에 다라 사용하였다.
또 가마 속에 있는 유리도가니를 집게로 들어서 넓적한 판 위에 부어 부적가락과 같은 것으로 젓거나 혼합해서 특별한 효과를 얻었다. 이때 막대를 이용하여 표면을 눌러보아 유리의 점성을 확인했다.
그 당시의 사람들은 특별히 점성이 다른 유리를 시각적으로 보아 세 단계로 나누어서 유리의 움직임을 확인했는데 막대기로 유리를 찍어서 떨어뜨려 보기도 하고, 실처럼 가늘고 길게 늘여보거나, 높은 열에서 녹은 유리를 굵게 코일이나 뱀처럼 늘어뜨리곤 했다. 이는 빨갛게 달아오른 색깔의 정도를 보고 유리의 점성을 파악하여 유리를 휘거나 당기고 부어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었다.
국내 최초 유리조형대학원 첫 수업진행-국민대학교
뜨거운 용해로와 캐스팅로 등이 커다란 소음을 내며 돌아가는 유리스튜디오에서 대여섯 명의 학생들이 뜨거운 열기에 아랑곳 하지 않고 진지한 모습으로 유리를 말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서너 명의 학생들이 모여 열심히 토론 하고 있다. 모두들 표정이 활기차며 진지하다.
올해 국내 최초로 설립된 유리조형대학원의 첫 수업은 이렇게 진지한 학생들의 모습속에서 시작됐다.
지난해 국내유리조형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디자인대학내에 유리조형과정을 두고 유리조형의 기초 이론부터 실기까지 강의를 진행하던 국민대학은 올해 유리조형학과정에 대학원을 설립했다.
“유리조형의 역사가 10년이 넘는 국내에서 유리조형 작가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원의 설립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습니다”
이 대학원의 교수를 맡고 있는 유리작가 민병덕씨는 국내에서 유리를 배우고 싶어도 해외유학 밖에는 마땅한 길이 없었던 학생들에게 대학원 설립은 무엇보다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대부분 일반미술대학에서 타 분야의 미술을 전공한 학생들로 구성된 국민대 대학원은 처음으로 시도되는 대학원과정인 만큼 몇 가지 독특하고 참신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첫째로 강의 계획을 학생들과 교수들이 머리를 맞대고 함께 짜는 것이다.
“학생들의 창조적인 의견이 무엇보다 중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교수의 일방적인 진행보다는 학생들이 실제로 궁금해 하고 배우고 싶어하는 살아있는 강의안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취지로 대학원의 학생들은 나름대로 강의 계획안을 작성해서 교수와 상의하고 이를 토대로 강의 계획서를 진행하고 있다.
또 다른 것은 국내유리조형의 기초를 다진다는 의미에서 이 대학원에서 배우는 모든 과정을 상세하게 정리 하나의 종합적인 유리조형 안내책자로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유리조형의 안내서가 될만한 이렇다 할 교재가 없어요. 강의를 중심으로 누구나 배우기 쉽고 상세한 책자를 만들 계획입니다.”
외국에 비해 걸음마 단계를 걷고 있는 국내 유리조형의 현실에서 국민대 유리조형대학원이 유리조형을 끌고 갈수 있는 견인차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 이 대학원의 교수와 학생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유리는 바로 이런 방법과 구조에 의해서 창조되어 나오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유리는 이미 확실하게 자리잡은 분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전통적인 기술과 방법들을 전해 받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 도자기이다. 수 천년 전부터 널리 알려진 도자기의 뛰어난 기술이 유리의 필요성을 구가하였다.
또 로스트 왁스(lost-wax)기법과 도가니로 쇳물을 부어 주물(Casting)하는 금속작업은 유리보다 훨씬 발전되어 있었다. 이런 기술의 어떤 부분은 유리를 만드는 기술에 응용되었다. 또한 여러 가지 종류의 돌이나 보석 등을 크기에 따라 자르고, 광내며, 화병에 구멍을 파는 등의 공구들도 유리를 가공하거나 작업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서 응용되었다.
이같이 초기의 유리는 도자기로부터 모양을 도입하였고, 철과 같이 신속하게 작업하고, 돌 작업으로부터 자르고, 광내고, 구멍을 뚫는 기술들이 합하여졌다. 이렇게 유리는 도자기나 금속과 같이 발달도어 그와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금속 작업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유리 작업을 병행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확실히 유리라는 물체가 금속의 근본적인 형식을 뒤따라왔던 것으로 금속 주물 하는 방법을 비교해 보면 그것을 쉽게 알 수가 있다.
기원전 1500년과 100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으로 유리가 널리 꽃 피우고 있을 때,. 유리를 만드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능력은 불투명하고, 광택이 나며 귀중한 보석이 아닌 하늘 빛이나 빨강, 혹은 파랑 빛이 나는 비누돌 일종이나 흑요석, 마노 등 딱딱한 자연석으로 줄무늬나 돌이 쌓여 있는 모야 등 얼룩덜룩하고 조잡스러운 종류의 돌 색깔들을 흉내내는 것이었다. 유리를 다루는 기술과 공구들이 발전함에 따라 이런 것들을 솜씨 있게 만들어 처음으로 유리다운 유리로 발전시켜 나가기에 이르렀다.
당시에 유리를 만들었던 사람들은 이 분야의 선구자들로서 유리를 만드는 기술은 비밀에 붙여졌으며, 다른 공예품과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유리를 만드는 데 행해졌던 엄격한 성전의 의식이나 제사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는 실질적인 부분과 일부분의 불가사의한 것들 때문이었다. 이러한 유리를 개발하고 연구하기 위해서 부유층 계급의 지원과 받았는데 당시로서는 대단히 세련되게 만들어진 유리 색깔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나타냈다.
그때의 유리라고 하면 구슬이나 목에 거는 부적 또는 장식용 액자와 의식을 행할 때 쓰는 봉 등으로 이런 것을 만드는 모든 원료들은 유리를 만드는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 뜨겁게 녹인 유리물을 갑자기 찬물에 넣어 산산이 부서지게 만들고 여러 가지 색유리를 만들기 위해서 몇 가지 종류의 가마를 만들어 용도에 다라 사용하였다.
또 가마 속에 있는 유리도가니를 집게로 들어서 넓적한 판 위에 부어 부적가락과 같은 것으로 젓거나 혼합해서 특별한 효과를 얻었다. 이때 막대를 이용하여 표면을 눌러보아 유리의 점성을 확인했다.
그 당시의 사람들은 특별히 점성이 다른 유리를 시각적으로 보아 세 단계로 나누어서 유리의 움직임을 확인했는데 막대기로 유리를 찍어서 떨어뜨려 보기도 하고, 실처럼 가늘고 길게 늘여보거나, 높은 열에서 녹은 유리를 굵게 코일이나 뱀처럼 늘어뜨리곤 했다. 이는 빨갛게 달아오른 색깔의 정도를 보고 유리의 점성을 파악하여 유리를 휘거나 당기고 부어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었다.
국내 최초 유리조형대학원 첫 수업진행-국민대학교
뜨거운 용해로와 캐스팅로 등이 커다란 소음을 내며 돌아가는 유리스튜디오에서 대여섯 명의 학생들이 뜨거운 열기에 아랑곳 하지 않고 진지한 모습으로 유리를 말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서너 명의 학생들이 모여 열심히 토론 하고 있다. 모두들 표정이 활기차며 진지하다.
올해 국내 최초로 설립된 유리조형대학원의 첫 수업은 이렇게 진지한 학생들의 모습속에서 시작됐다.
지난해 국내유리조형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디자인대학내에 유리조형과정을 두고 유리조형의 기초 이론부터 실기까지 강의를 진행하던 국민대학은 올해 유리조형학과정에 대학원을 설립했다.
“유리조형의 역사가 10년이 넘는 국내에서 유리조형 작가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원의 설립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습니다”
이 대학원의 교수를 맡고 있는 유리작가 민병덕씨는 국내에서 유리를 배우고 싶어도 해외유학 밖에는 마땅한 길이 없었던 학생들에게 대학원 설립은 무엇보다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대부분 일반미술대학에서 타 분야의 미술을 전공한 학생들로 구성된 국민대 대학원은 처음으로 시도되는 대학원과정인 만큼 몇 가지 독특하고 참신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첫째로 강의 계획을 학생들과 교수들이 머리를 맞대고 함께 짜는 것이다.
“학생들의 창조적인 의견이 무엇보다 중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교수의 일방적인 진행보다는 학생들이 실제로 궁금해 하고 배우고 싶어하는 살아있는 강의안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취지로 대학원의 학생들은 나름대로 강의 계획안을 작성해서 교수와 상의하고 이를 토대로 강의 계획서를 진행하고 있다.
또 다른 것은 국내유리조형의 기초를 다진다는 의미에서 이 대학원에서 배우는 모든 과정을 상세하게 정리 하나의 종합적인 유리조형 안내책자로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유리조형의 안내서가 될만한 이렇다 할 교재가 없어요. 강의를 중심으로 누구나 배우기 쉽고 상세한 책자를 만들 계획입니다.”
외국에 비해 걸음마 단계를 걷고 있는 국내 유리조형의 현실에서 국민대 유리조형대학원이 유리조형을 끌고 갈수 있는 견인차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 이 대학원의 교수와 학생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추천자료
지식은 나눌수록 커진다
오리엔트문명의 미술
gap sensor
일본 음식문화
콜래보 경제학을 읽고 - 변화하는 부와 네트워크의 패러다임
[뇌졸중][뇌졸중 증상][뇌졸중 예방][뇌졸중 치료]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
인스턴트식품(가공식품)의 문제점에 관하여
중세 유럽 건축물의 특징과 조선후기 상업건축물
1930년대 모더니즘 시와 ‘구인회’의 발족
[케이스스터디, 녹내장, 자연분만]녹내장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C...
여드름의 예방과 치료
[브랜디] Brandy(브랜디)의 어원과 종류 - 코냑(꼬냑), 알마냑(아르마냑), 오드비 등